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참여동기가 교육만족, 자기효능감,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조남규 ( Namgyu Cho ),김태연 ( Taeyeon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참여동기가 교육만족, 자기효능감,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온라인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이용한 성인이며,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18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했다.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참여동기 중 활동지향이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참여동기 중 활동지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참여동기가 지속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교육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교육만족은 지속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자기효능감은 지속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온라인 문화예술 교육플랫폼 이용자의 참여동기 중 활동지향과 지속이용의사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과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tivation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 us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us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onlin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218 adults and used for actual analysis. Data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18.0 and AMOS 18.0,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otivations for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 users' participation, activity orientation has appeared to affect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motivations for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 users' participation, activity orientation has appeared as a factor affecting self-efficacy. Third, it has appeared that users' motivations for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s do not affect their intention to keep using them. Fourth, it has appeared that the satisfaction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s users affects their self-efficacy. Fifth, it has appeared that the satisfaction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s users affects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m. Sixth, the self-efficacy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s users has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m. Seven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oriented and continuous users among the motivations for users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tforms.

      • KCI등재

        코로나 이후 무용 공연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전략적 활용 : 텍스트 마이닝의 네트워크와 토픽 모델링 분석

        조남규 ( Namgyu Cho ),김혜림 ( Hyehreem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무용 공연 소비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이후 국내 무용 공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 트랜드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무용 공연 예술 관련 온라인 댓글과 뉴스 텍스트를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토픽 모델링 분석으로 코로나 전후의 무용 공연예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 및 소비 행동 변화의 주요 요인과 이를 유형화하여 코로나 팬데믹 이후 무용 공연예술의 경영 활동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에는 ‘가요’, ‘클래식’, ‘배우’, ‘합창’, ‘역사’ 등과 같은 코로나 이전에 찾아 볼 수 없는 주요 단어들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이후에는 특정한 공간으로 관객을 유인하는 새로운 공연 문화가 나타났고, 새로운 장르로서 융·복합 공연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코로나 이후 융·복합 무용공연의 다양성을 늘리고, 온라인 공연 플랫폼 등을 통해 온라인 공연을 확대시키며, 새로운 무용 공연 장르 개발을 통해 관객층을 확대시키는 전략이 무용 공연대중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umers of dance performances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to see the change in perception, attitude, and trend of domestic dance performances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exts from online comments and news related to domestic dance performa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COVID-19. In particular, by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in factors of th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s and consumption behavior toward dance performa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se were typified to suggest implications related to the business management of dance performance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COVID-19, there are many new key words that cannot be found before COVID-19, such as 'pop', 'classic', 'actor', 'chorus', and 'history'. In addition, after COVID-19, attracting audiences to a specific space seemed to be a new performance culture, and convergence and complex performances were seen as a new genr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opularization by increasing the diversity of convergence and complex dance performances, expanding online performances through online performance platforms, and expanding the aud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dance performance genres.

      • KCI등재

        국내 문화예술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생태계 현황 및 사례 비교 분석 연구

        조남규 ( Namgyu Cho ),최자인 ( Jain Choi )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따른 문화예술분야의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사회적경제를 통한 각 나라별 해외 기업들의 정책 및 유형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국내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발전 및 개선을 도모할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시장원리주의 정책기조는 경쟁 원리의 과도한 적용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 간의 신뢰, 지역사회와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던 공동체성을 점차 무기력화 시키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현 사회는 지금껏 우리가 접한 적이 없는 수준의 심각한 격자 사회, 즉 양극화 사회가 되었고, 실업, 고용불안, 환경파괴 및 저출산 등의 심각한 사회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공유가치 창조를 실현해 나가기 위한 발전된 기업형태의 육성과 함께 새로운 예술 가치를 모색하는 사회적경제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였다. 사회적경제는 양극화 해소와 일자리 창출 등 공동 이익과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상호협력과 사회연대를 바탕으로 사업체를 통해 공동의 수익을 창출하여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드러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육아, 교육 등 인간생애와 관련된 영역에서 경쟁과 이윤을 넘어 상생과 나눔의 삶의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출산과 육아, 예술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 국고지원사업에만 의존하는 경제적 어려움, 최근 COVID 19 사태까지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구조에 의한 경력단절과 같은 여러 사회적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예술가들의 정서는 점점 피폐해지고 다른 방향성을 찾게 되며 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를 추구하게 되었고, 사회적경제 기업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문화예술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협동조합, 각종 시민단체의 연대와 협력 정책 및 유형 사례를 중심으로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사회적 경제기업의 양적, 질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domestic social economy companies by analyzing the policies and case studies of foreign companies in each country through social economy as a way to cope with the socioeconomic problems in the culture and arts field caused by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The current market principle policy stance is gradually weakening the trust among members of our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communities and community due to excessiv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and as a result, the present society is at a stage which we have never encountered. It became a seriously grid society, that is, a polarized society, and caused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employment insecurit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low birthrate. These problems led u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social economy seeking new artistic values along with fostering a developed enterprise form to realize the creation of shared values. The social economy can solve problems exposed in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by creating common profits through businesses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nd social solidarity for the realization of common interests and social values such as resolving polarization and creation of jobs. In life-related area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ay of life of win-win and sharing beyond competition and profit. In addi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artists faced a number of social problems such as childbirth and childrearing, shortage of jobs for artistic youth, economic difficulties relying solely on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career breaks caused by the reality structure that suffers from the recent COVID-19 crisis. They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verished, and found a different direction, and have pursued a social economy through cooperation, and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s of overseas social economy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arious civic groups, focusing 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policies and types of cases in order to suggest a qualitative improve plan for the domestic culture, art and social problem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국내 공연예술 시장에 미친 영향

        채수정 ( Suejung Chae ),조남규 ( Namgyu Cho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전염성 질병이 국내 공연예술 시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 전후 국내 공연예술 시장을 살펴보기 위해 공연예술 통합전산망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공연예술의 공급 측면에서 개막편수, 공연건수, 상연횟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공연예술의 수요 측면에서 예매수, 매출액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2020년부터 국내 공연예술 시장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급격히 위축되었다가 2021년부터 회복세에 돌아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의 유행에 대응하는 모습은 공연예술 장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극, 뮤지컬, 클래식 장르는 예매당 평균매출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위기에서 회복하였다. 뮤지컬 장르는 상연당 예매수가 증가하였으나 클래식과 무용, 복합장르는 상연당 예매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슷한 전염성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국내 공연예술 시장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o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I collect data from Korea Performing arts box office Information System to examine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outbreak. Regarding the supply of performing arts, the number of opening episodes, the number of performances, and the number of stages were used for analysis. From the demand side of the performing arts, data on the number of reservations and sal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rapidly contracted in terms of supply and demand from 2020, when the coronavirus began to spread in earnest in Korea and then returned to recovery from 2021. The response to the COVID-19 epidemic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forming arts genre. The theater, musical, and classical genres recovered from the crisis by increasing average sales per reservation. The number of reservations per performance for musical genres increased, but for classical, dance, and complex genres, the number of reservations per performance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d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can systematically respond when a similar infectious disease occur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립남도국악원의 지역 문화원형 무대화에 대한 연구 : 진도씻김굿을 중심으로

        이지은 ( Jieun Lee ),조남규 ( Namgyu Cho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진도씻김굿과 채정례본 씻김굿의 개괄적 내용을 살핀 후, 남도 민속 문화인 씻김굿에 대한 활용과 레퍼토리 개발 양상을 국립남도국악원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립남도국악원이 채정례본 씻김굿을 토대로 제작된 <국립남도국악원 씻김굿>과 <굿극-씻금>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립남도국악원 씻김굿>과 <굿극-씻금>은 채정례본 씻김굿과 굿의 연행에서 유사성이 있지만 무대화 작업을 통해 씻김굿의 원형과 특질을 유지하면서 연극적 요소를 수용한 서사구조와 연희적 요소의 강조를 통해 대중화에 한발 다가가려고 노력한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국립남도국악원 씻김굿>과 <굿극-씻금>의 변용과 창작 행위는 지역문화 활용 콘텐츠 개발에 성공적 사례라 할 수 있으며, 남도민속 문화의 전승과 레퍼토리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Sitgim Gutis a shamanistic ritual to appease the soul of ancestors. In this study, we aim to study the application patterns and repertoire development of National Jindo Gugak Center Sigim Gut which is the folk culture of southern provinces by the Jindo National Gugak Center with following a general view of Jindo Sitgim Gut and Chaejeongrye Sitgim Gu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National Jindo Gugak Center Sigim Gut with Gutgeuk-Sitgeum in which both are produced by the Jindo National Gugak Center by incorporating Chaejeongrye Sitgim Gut. The two versions show similarities in a aspect of following the order of performance from the Chaejeongrye Sitgim Gut as the originality, but the center tried to take a step closer to popularizing the ritual by narratives and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tgim Gut through staged work. These effort of creative transformation leads successful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succeeding traditional folk culture of southern provinces and expanding the repertoire.

      • KCI등재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진정성리더십이 강사신뢰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오경은 ( Kyungeun Oh ),조남규 ( Namgyu Cho ) 한국무용과학회 202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진정성리더십이 강사신뢰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254명의 중·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의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진정성 리더십이 강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진정성 리더십에 속하는 4개의 하위요인 중 진실한 태도 하위 요인이 강사 신뢰의 친밀성 요인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진정성 리더십에 속하는 4개의 하위요인 중 인간적 소통 하위요인이 강사 신뢰의 공정성 요인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정성 리더십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진정성 리더십에 속하는 4개의 하위요인 중 진실한태도, 자기성장노력, 균형적지도행동이 교육만족의 교수행동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진정성 리더십에 속하는 4개의 하위요인 중 인간적 소통이 교육만족의 무용능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정성 리더십은 교육만족의 교육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강사 신뢰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강사 신뢰에 속하는 2개의 하위요인 친밀성, 공정성 모두 교육만족의 교수행동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전통무용 강사의 강사 신뢰에 속하는 2개의 하위요인 친밀성, 공정성 모두 교육만족의 무용능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사 신뢰는 교육만족의 교육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라는 직위를 지니고 활동하는 무용 지도자들의 교수학습 환경을 이해하고 이들의 역량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고 강사의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현 될 수 있는 교육 환경 개선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on trust in instructors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54 middle and high school dance stud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instructor tru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authentic leadership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the sincere attitude sub-facto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timacy factor of instructor trust. And among the four sub-factors belonging to the authentic leadership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the human communication sub-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airness factor of instructor trust.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authentic leadership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sincere attitude, self-growth effort, and balanced teaching behavior influence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behavior.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And among the four sub-factors belonging to the authentic leadership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human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dance ability. Additionally, authentic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La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instructor trust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t was found that both intimacy and fairness, two sub-factors of trust in instructors among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teaching behavior. In addition, the two sub-factor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trust in instructors, intimacy and fairness, were both found to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dance ability. In addition, trust in instructors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