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카자흐스탄의 주요 교역국에 대한 수출변동 분석

        조계용(Kye-Yong Cho),조정란(Jung-Ran Cho),모수원(Soo-Won Mo),이광배(Kwang-Bae Lee)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0 기업과 혁신연구 Vol.43 No.3

        카자흐스탄은 천연자원에 기반을 두는 경제구조로 인해 국제유가의 등락에 크게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수단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원유와 광물과 같은 에너지 자원에 대한 생산•수출 의존도가 높아 카자흐스탄의 주요 수출국인 이탈리아, 네덜란드, 프랑스, 스위스, 한국에 대한 수출에서 광물성 연료(fuels)의 수출이 무려 95%에 달하고 있다. 5개국에 대한 수출의 거의 대부분을 광물성 연료가 차지하고 있다. 이에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적용하여 카자흐스탄의 수출변동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카자흐스탄의 대이탈리아 수출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하여 경쟁력 효과가 세계시장효과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가지며 수출증가요인임을 보인다. 대중국 수출에서 경쟁력효과가 변동의 주요인이나 수출감소로 작용하며, 대러시아 수출과 대네덜란드 수출변동에서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며 수출증가요인임을 밝힌다. 대프랑스와 대스위스에서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을 전적으로 결정하나, 대프랑스 수출에서는 증가로 작용하나 대스위스 수출에서는 감소로 작용함을 보인다. 대한국 수출변동에서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의 대부분을 담당할 뿐 아니라 수출을 증가시키는 강력한 요인임을 밝힌다. Kazakhstan’s economic growth during the 2000s has been driven primarily by natural resources. During that time, Kazakhstan’s economy experienced two economic booms, one in 2001-07 based on both expanded oil output and rising oil prices, and one in 2010-14, based on resurgent oil prices. Kazakhstan’s economy grew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13.9 percent between 2010 and 2018 and experienced significant structural transformation over 2000-18. However, most new jobs were in nontradable services sectors, where productivity growth was slow. The 2014 decline in oil prices was a wakeup call that intensified the urgency of addressing the weaknesses of a growth model based on oil and nontradable services. Structural reforms are now an imperative, not an option. The decline in oil prices revealed that while Kazakhstan’s economic model was inclusive, it was not sustainable. Structural reforms were necessary to shift the base of economic growth from nontradables to the production of tradables.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reveals that for Kazakhstan’s exports to Italy, China, France, Netherlands, Russia, Switzerland and Korea the competitive effect is much stronger than the world market effect sinc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mpetitiveness effect is by far closer than that of the world market effect. However, the competitive effect plays a positive role in Italy, Russia, Netherlands, France, and Korea, while Kazakhstan’s competitiveness has a negative value in China and Switzerl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