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tributed Alamouti Space Time Block Coding Based On Cooperative Relay System

        송외(Wei Song),조계문(Kye Mun Cho),이문호(Moon Ho Lee) 大韓電子工學會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6 No.9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기지국, 세 개의 중계국, 하나의 수신국으로 이루어진 중계 기반 협동 시스템을 이용하는 새로운 분산 Alamouti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세 개의 중계국 중에서 선택한 두 개의 중계국과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기지국은 두 개의 빔(beam)으로 구성된 array를 사용하는 개별적인 두 개의 안테나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였다. 첫 번째 시간슬롯(slot) 동안, 기지국의 한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개별적인 두 개의 신호가 하나의 중계국에 의하여 선택되고, 더해지고, 증폭되고, 수신국으로 보내진다. 이 전송 기법은 중계국과 수신국 사이의 채널에서 생성될 수 있는 새로운 분산 Alamouti 시공간 블록 부호를 나타낸다. 심벌의 등가 행렬 표현을 이용하여 처노프(Chernoff) 상계(upper bound) 쌍 오류 확률(PEP)의 관점에서 제안된 시공간 블록 부호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신 신호 성능 관점에서 기지국의 두 개의 안테나 사이의 전력 배분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 ?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의 값이 2/3일 때에만 세 개의 중계국에서의 수신 신호가 같은 분산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수신국에서 더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기법에 비하여 중계국에서의 다이버시티 이득, PEP, 복잡성 관점에서 뛰어난 성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istributed Alamouti space-time block coding scheme using cooperative relay system composed of one source node, three relay nodes and one destination node. The source node is assumed to be equipped with two antennas which respectively use a 2-beam array to communicate with two nodes selected from the three relay nodes. During the first time slot, the two signals which respectively were transmitted by one antenna at the source, are selected by one relay node, added, amplified, and forwarded to the destination. During the second time slot, the other two relay nodes implement the conjugate and minusconjugate operations to the two received signals, respectively, each in turn is amplified and forwarded to the destination node. This transmission scheme represents a new distributed Alamouti space-time block code that can be constructed at the relay-destination channel. Through an equivalent matrix expression of symbols,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is proposed space-time block code in terms of the chernoff upper bound pairwise error probability (PEP). In addition, we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efficient α(0≤α≤1) determined by power allocation between the two antennas at the source on the received signal performance. Through computer simulation, we show that the received signals at the three relays have same variance only when the value of ? is equal to 2/3, as a consequence, a better performance is obtained at the destination.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conventional proposed schemes in terms of diversity gain, PEP and the complexity of relay nodes.

      • KCI등재

        비선형 3 User Tomlinson-Harashima 전처리 코딩

        모하마드 아부 하니프(Mohammad Abu Hanif),조계문(Kye Mun Cho),이문호(Moon Ho Lee),신태철(Taechol Shin) 한국전자파학회 201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논문에서는 세 명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채널 환경에서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모든 사용자, 채널에 대한 정보를 완벽하게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목적지 이외의 인접한 채널이나 사용자로부터의 간섭을 먼저 제거하여 목적지로 정보를 송신하여 각 사용자들은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비선형 전처리 부호화 기법을 소개하고, 이 중 가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Tomlinson-Harashima 코딩에 기반하여 전처리 부호화기를 설계하고, 이의 성능을 더티 페이퍼 코딩 기반의 전처리 부호화기의 성능과 비교 분석하였다. In this letter, in order to reduce the inter-channel interference at the transmitted side, we design the precoder based on Tomlinson-Harashima coding, which is well know for one kind of non-linear precoding schemes, for 3-user MIMO wireless systems. And its performance is also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Dirty Paper Coding based precoder.

      • KCI등재

        전주교통방송 가청권 확대를 위한 음영 지역 해소 방안

        김태훈(Tae-Hoon Kim),이문호(Moon Ho Lee),이미성(Mi Sung Lee),조계문(Kye Mun Cho) 한국전자파학회 201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논문은 전북권내 6개 시, 8개 군에 대하여 전주교통방송 FM 102.5 ㎒의 전계 강도 실측 데이터를 통해 현재 송출되는 프로그램들의 방송 수신에 관한 음영 지역들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전북권내 동부 산악 지역(남원, 순창, 무주, 진안, 장수)의 전계 강도 측정치가 매우 낮았다. 아울러 102.5 ㎒(전주교통방송)과 100.7 ㎒(전주 KBS) 및 99.1 ㎒(전주 MBC), 라디오 채널 3사 간의 전계 강도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한 자료를 통해 방송국 송신 공중선 출력의 차이가 음영 지역 해소에 있어서 어떤 상관 관계가 있고,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전주교통방송의 공중선 출력 증강의 안은 동부 산악 지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또한, 본 논문은 전주교통방송과 전북권내 동부 산악 지역 및 고창군에 다수의 FM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 106.9 ㎒(중계 주파수는 이와 다름)와의 전계 강도 데이터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했다. 그 결과, 다수의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의 경우, 동부 산악 지역에서 음영 지역 발생이 거의 없음을 전계 강도 측정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EBS와 KBS의 사례에서 확인했듯이 전주교통방송의 가청권(기준 48 ㏈㎶/m) 확대를 위한 동부 산악 지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써 전주교통방송 FM 팔공산 중계소 설치를 제안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shadow area of radio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being broadcast via FM 102.5 ㎒ in Jeollabuk-do consisting of 6 cities and 8-guns. The field strength data of FM 102.5 ㎒ was used with criterion of shadow area. As a result, the field strength of the eastern mountainous area in Jeollabuk-do was very low. We also measured, compared and analyzed the field strength of 102.5 ㎒(TBN-Jeonju), 100.7 ㎒(KBS) and 99.1 ㎒ (MBC) in Jeollabuk-do. Based on the field strength data, we tried to find what correlation exists and how much influence is between difference of antenna output power and solution of shadow area. In result, enhancement of antenna output power is not solution in terms of reducing the shadow Area of 102.5 ㎒(TBN-Jeonju). In addition, we measured, compared and analyzed the field strength of 102.5 ㎒(TBN-Jeonju) and 106.9 ㎒(EBS). In fact, the relay stations with 104.1 ㎒, 104.9 ㎒, 105.3 ㎒ and 107.5 ㎒ of EBS FM has a number of FM relay stations in the eastern mountainous area of Jeollabuk-do.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EBS almost did not have shadow area in the eastern mountainous area of Jeollabuk-do based on the field strength data. As in the case of EBS and KBS, we suggest installing TBN-Jeonju FM relay station with the best solution to reducing the shadow area to extend the audible range of TBN-Jeon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