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 구성원들의 연봉제 수용성

        정화향(Zheng Hua Xiang),이정원(Lee Jeong Won),장은미(Chang Eun mi)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2

        연봉제의 도입과 실행은 조직 차원의 변화이기에 구성원들의 수용성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도입 혹은 실행과정에서 구성원의 수용성에 대한 연구, 특히 수용에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는 회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 또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다루는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다시 불거진 연봉제 실효성에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정보 교환(information exchange) 관점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연봉제 수용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연봉제의 수용성은 제도 특성 자체에 대한 인지는 물론, 제도와 관련된 조직과 구성원 간 정보 교환 및 비대칭 현상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각에서, 신호이론(signaling theory)과 불확실성 감소이론(uncertainty reduction theory)을 기반으로, 연봉제 관련 커뮤니케이션이 연봉제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안에 연봉제를 도입한 18개 기업의 199명 직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봉제의 특성(성과급 비율의 적정성 인지)은 연봉제 수용성(도구성 인지 및 정서적 몰입) 중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호 이론에 기반을 둔 정보제공 적절성에 대한 인지는 구성원들의 연봉제 수용성인 도구성 인지 및 정서적 몰입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급 비율의 적정성 인지와 조직구성원들의 정보추구행동이 상호작용하여 연봉제 수용성 중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plementing individual pay for performance(individual P4P) is an organizational level institutional change. Thus, its effectiveness depends on the employee acceptance of the practice. However, in wage system study, research on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and especially the role of information exchange or communication between organization and employees, is limited until today. The current research, based on signaling theory and uncertainty reduction theory, explored the predictors of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and individual P4P-related communic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rceived the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and individual P4P-related communication on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perceived instrumentality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thesis used a sample from both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s which are implementing individual P4P in Korea.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to individual P4P, and the perceived the quality of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on perceived instrumentality and affective commitment of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perceived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affective commitment to P4P was significan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