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힌두성(Hindutva)’의 개념 규정과 문화민족주의 간의 상관관계 연구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13 印度硏究 Vol.18 No.1

        힌두와 힌두이즘의 성격을 규정하는 문제는 한편으로는 근대 국가로서 인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제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를 비롯해 다른 사회들과 구별되는 인도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제이다. ‘힌두’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은 정치권과 학계, 각종 사회조직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벌어지는데, 이렇게 대립되고 경쟁하는 이데올로기들은 다양한 대중매체들을 통해 일반대중에게 전달되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여론들은 선거라는 장을 통해 인도 사회의 발전방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각종 정책들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1980년대 이후 소위 문화민족주의로 불리는 현상이 인도 국내뿐 아니라 해외의 인도 교민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나고있다. 문화민족주의에는 쌍그 빠리바르가 주도하는 힌두 우익의 힌두뜨바 이념도 있지만, 이와는 별도로 국가로서의 인도, 혹은 역사적-문화적 실체로서의 인도에 초점을 맞춘 소위 세속적 문화민족주의도 뚜렷하다. 또한 신중간계급에서 쌍그 빠리바르가 주도하는 힌두 근본주의의 반(反) 이슬람적이고 전투적인 노선이 큰 지지를 못 받는 데 비해, 세속적이고 부드러운 문화민족주의는 광범위한 호응을 받는다. 이처럼 힌두-힌두이즘의 성격 및 힌두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과 힌두 문화민족주의의 보급이라는 두 과정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진행되면서, 현대 인도 사회가 변화하는 방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인도 국내외 여러 지역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힌두 정체성 논쟁과 문화민족주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 KCI등재

        인도의 최근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격리와 배제’의 성격: 1990년대 이후 델리와 수도권지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21 印度硏究 Vol.26 No.2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델리와 수도권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 과정에서, 중간계급의 새로운 소비문화와 생활양식에 따라 일어나는 여러 형태의 공간적 재편 현상에 주목한다. 대규모 슬럼 철거, 중상층 주택가의 대문 세우기, 요새화된 고급 아파트단지 등 세 현상을 중심으로 첫째, 노동빈민에 대한 공간적 격리와 배제가 일어나는 양상을 분석하고, 둘째, 이 분석을 토대로 이러한 격리와 배제의 기본적인 성격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본론에서 우선 델리의 모든 도시개발과 계획의 기준인 델리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슬럼의 형성사와 철거 실상을 정리하는데, 델리의 슬럼은 1960년대 이후 도시개발과 건설을 위해 대대적으로 진행된 대규모 토목건설사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의 묵인하에 공공용지에 형성된, 즉 “계획된 불법성”의 산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슬럼 철거로 인해 수많은 빈민이 도심에서 변두리로 밀려나는 ‘강탈에 의한 축적’ 현상이 분명하게 나타나지만, 이와 동시에 비합법적인 주거지역들을 대거 합법화함으로써 빈민과 이주노동자를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중상층 주거지역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행해진 대문 세우기 현상을 분석해서 첫째, 대문 세우기가 빈민을 주거지역에서 밀어내려는 공간적 격리와 배제의 한 과정이고, 둘째, 이 과정은 주민위원회가 주도하고 정부가 바기다리사업을 통해 적극 지원해서 순조롭게 이루어지며, 셋째, 하지만 대문을 세운 후에도 빈민이 주거지역을 드나들면서 여러 서비스노동을 제공하는 일이 계속되기 때문에 공간적 격리와 배제는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요새화된 고급 아파트단지는 경비원이 24시간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할 뿐 아니라 단지 안에 온갖 생활편의시설들이 갖춰져 있어서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매일 단지를 드나드는 수많은 서비스노동자들 없이는 일상생활이 제대로 유지될 수 없는 공간이다. 이 때문에 요새화된 아파트단지 주변마다 노동빈민들의 슬럼이 형성되며, 공간적인 격리와 배제는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상의 분석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슬럼은 정부와 중간계급의 필요에 의해 형성, 유지된 공간이며, 따라서 슬럼 철거가 아니라 적절한 관리와 유지가 정부와 중간계급이 지향하는 바이다. 둘째, 빈민에 대한 공간적인 격리와 배제가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는 중간계급의 생활방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빈민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중간계급과 노동빈민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빈민을 격리하고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공간에서 적절히 관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이다. 셋째, 델리에서 카스트, 종교, 지역, 직업 등에 따라 집단적으로 분리된 주거지역이 형성된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근의 주택가 대문 세우기와 요새화 현상은 ‘계급과 돈’이라는 새로운 기준이 더해져서 공간이 재편되는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various forms of spatial reorganisation taking place in Delhi and National Capital Region since the 1990s in relation to the new consumption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middle class. By dealing mainly with three important phenomena of spatial changes, i.e., large-scale demolition of slums, gating in residential areas and, fortified high-end apartment complexes, we aim to First, analyse the process of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against the labouring poor, and Second, identif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in this region. In chapters II and III, we first examine the history of slum formation with relation to the Master Plan for Delhi, the final authority for all the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in and around Delhi. Slums in Delhi were allowed to be formed on public lands with the tacit approval of the government and the Delhi Development Authority (DDA), which needed to secure stable supply of labour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drive after the 1960s and, in this sense, slums in Delhi are the products of “planned illegalities”. Moreover, although we can clearly identify the process of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to be firmly in place by observing the large-scale demolition of slums and eviction of the poor to the peripheries of Delhi, we must pay due attention to the fact that even larger-scale regularisation of unauthorised colonies has been taking place simultaneously to absorb the poor and migrant labourers. In chapter IV,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gating in middle and upper residential areas after the late 1980s, we find the following. First, gating is a process of segregating and excluding the poor from middle and upper residential areas. Second, RWAs take the lead of this process with active support of the government through Bhagidari Program, resulting in the smooth execution of gating. Third, despite the existence of gates, the poor still continue to go in and out of the area to provide various services, which clearly shows that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is possible only in limited degrees. At first glance, fortified high-end apartment complex, with security guards controlling all comings and goings for 24 hours and all kinds of facilities being available inside the complex itself, seems to be completely segregated from the outside world. But, in truth, everyday life in the complex cannot be maintained properly without the various services provided daily by numerous labourers coming from the outside. Because of this interdependency, there usually arise slums of poor labourers in walking distance around almost all fortified apartment complexes, which shows the imperfect nature of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even in these strongly fortified residential areas. Through the analyses in this article, we submit the following three points as our conclusion. First, slums are formed and maintained because both the government and the middle class need their existence and, therefore, these ruling partners basically want to properly control and maintain slums, not to completely demolish and exclude them. Second, spatial segregation and exclusion against the poor cannot be achieved successfully in the first place, becaus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poor are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middle class status and lifestyles. Since the middle class and the labouring poor need each other in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interdependency, proper regulation of the poor living in adjacent place is far more important than segregation and exclusion. Third, if we consider the long history of the pattern of residential separation in Delhi by religion, caste, region, occupation, etc., then the recent phenomena of gating and fortif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ntinuum of this tradition, reorganising Delhi’s urban space according to the all powerful new criteria of ‘class and money’.

      • KCI등재
      • KCI등재

        인도 신중간계급의 사회경제적 성격 및 ‘기타후진카스트’ 집단과의 관계 연구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14 印度硏究 Vol.19 No.1

        이 글은 최근 인도 신중간계급(New Middle Class)의 사회경제적 성격을 1990년대의 경제개혁 이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거시적인 사회변화와 관련시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이 글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 소비, 직업 등에 관한 거시적인 지표들을 통해 중간계급의 규모와 구성, 기본적인 경제적 성격을 정리하고, 이와 관련해서 신중간계급의 성격을 요약한다. 둘째, 신중간계급의 사회경제적 성격에서 기존의 중간계급과 구별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이 집단의 대표적인 이미지인 소비문화를 통해 살펴본 후, 이와 관련된 이념적 지배력을 힌두 문화민족주의적 경향을 통해 분석한다. 셋째, 신중간계급의 사회적 구성이 카스트와 어떤 식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통해 OBC 집단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계급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은 매우 다양한데, 1990년대 이후 절대숫자나 총인구에서의 비율 모두 크게 증가했다. 이 중에서 고급 소비문화의 주인공으로 그려지는 신중간계급은 사실상 중간이 아니라 신흥부자(new rich)라는 이름이 더 적합한 상층 집단이며, 넓은 의미의 중간계급의 약 1/5 정도에 불과한 엘리트층이다. 둘째, 신중간계급의 특징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고급 소비문화와 서구식 개인중심적 생활방식의 주체라는 점이다.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널리 선전되는 신중간계급의 전형적인 이미지는 고소득 도시전문직, 높은 교육수준과 유창한 영어 사용, 고급 주택가에서 값비싼 여가생활과 해외여행을 즐기며 핵가족과 자녀 교육을 매우 중시하는 젊은 세대이다. 즉 신중간계급은 세계화시대에 부강한 인도를 대표하는 새로운 ‘소비자-시민’으로 이상화되는 것인데, 근본적인 문제는 현재의 인도 사회에서 이러한 고급 소비문화를 즐길 경제적 능력과 기회가 소수의 상층카스트 힌두들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며, 또한 신중간계급이 주도해서 유포하는 소비문화가 무슬림을 비롯한 소수집단들을 배제한 힌두 중심의 문화민족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독립 후 토지개혁과 녹색혁명의 혜택을 입은 상당수의 ‘기타후진카스트’(Other Backward Castes)들이 중간계급으로 진입했으나, 현재의 신중간계급은 상층카스트 출신이 인구비례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고, 절대다수가 도시거주-고등교육-전문직 엘리트라는 성격을 보인다. 즉 최근 인도 사회의 사회경제적 주도권을 위한 경쟁에서, 기타후진카스트는 상층카스트에 비해 집단적으로 뒤처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힌두 지참금 관습의 구조적 성격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1

        힌두 지참금 관습은 가족과 친족, 마을생활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 브라민 중심의 이데올로기 등뿐 아니라, 전반적인 인도 사회의 변화와 근대화 과정, 카스트 집단들 간의 신분상승 경쟁 등, 인도 사회와 문화의 밑바탕을 이루는 제도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원형적인 제도이다. 브라민의 혼인에서 깐야단 의식과 함께 지참금을 건네는 관습은 역사적으로 뿌리가 깊지만, 오늘날 ‘지참금 살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전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소위 ‘악의 지참금’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시장화폐경제의 확산과 자본주의의 발달, 농업을 비롯한 다른 분야의 경제적 발전, 그리고 조직화된 부문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의 증가 등을 토대로 하여 널리 확산되었으며, 특히 경제적 기회가 확대되는 1980년대 이후 더욱 심각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카스트 내혼제의 원칙에 따라 행해지는 혼인은 원칙적으로 동등혼 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여자를 주는 쪽 집단이 여자를 받는 쪽 집단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불평등 관계는 혼인이 지속되는 동안 각종 의례 때마다 신부 쪽에서 신랑 쪽으로 일방적으로 건네지는 선물들을 통해 물질적으로 표현된다. 지위가 같던 두 친족집단이혼인을 한 후 불평등한 관계로 바뀌고 이 관계가 지속되는 것은, 브라민의 이상적인 혼인 형태라고 규정된 깐야단 혼인과 밀접히 관련된다. 마누법전에는 생리를 시작했는데도 결혼시키지 않은 딸을 둔 브라민은 딸이 생리를 할 때마다 살인과 마찬가지 죄를 짓는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본다면 딸을 받아주는 사위는 장인이 엄청난 죄를 짓지 않도록 구제해주는 은인이기 때문에 신과 마찬가지로 경배해야 할 대상이 된다. 즉 신랑 쪽 집단은 신부 쪽 집단에게 은혜를 베푸는 우월한 입장으로서, 경배를 받을 자격이 있을 뿐 아니라 깐야단과 함께 따라오는 온갖 종류의 선물을 받을 권리도 아울러 갖는 것이다. 힌두의 결혼식은 가족-친족집단의 지위와 관계망을 공개적으로 과시하고 확인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지참금은 자기 집단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 위신 등을 계산하고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일 뿐 아니라, 동시에 기존의 위계서열을 새롭게 평가-판단하고 재해석할 기회를 제공하는 첨예한 경쟁과 협상의 장이기도 하다. 카스트 집단들 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같은 카스트의 여러 친족집단들 간의 관계에서 지참금이 담당하는 이러한 구조적 기능에 주목한다면, 1980년대 이후 여성운동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지참금 반대운동에서 주장하는 남녀불평등과 여성 차별이라는 틀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지참금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힌두이즘과 카스트 제도에서 지참금 관습이 갖는 의미와 더불어, 현대 인도 사회 전반에 걸친 거시적인 변화의 경향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Dowry practice among the Hindus can be regarded as an 'archetypal institution' which has deep-rooted relationships not only with caste, kinship, family, village life, Brahmanic ideology, etc., but also with the macro processes of change in Indian society at large. Although kanyadan marriage and dowry practice have a long history among the brahmins and upper castes, the so-called 'dowry evil' is a relatively modern phenomena which became all pervasive social problem only after the modernization of Indian society, with the penetration and expansion of monetary and market economy,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industry and agriculture, and the rapid growth of organized sector in recent times. In theory, marriage among the Hindus is expected to be an isogamy because of the principle of jati endogamy. But in practice, the wife-givers are regarded as definitely inferior to the wife-takers, and this inferiority is expressed materially as the continuous flow of numerous gifts from the bride's side to the groom's as long as the marriage relationship continues. The logic of this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wife-givers and the wife-takers originating from marriage is provided by the kanyadan ideology in Hinduism. According to the Manusmrti, a brahmin who keeps an unmarried daughter after puberty amounts to monthly committing as grave a sin as the murder of a child! In this regard, the man who takes a daughter as his legitimate bride from her father should be regarded by the latter as a divine saviour like god, and deserves utmost respect and dan without any obligation to reciprocate. At the same time, marriage among the Hindus is an all-important opportunity through which the socio-religious, politico-economic status and networks of one's family and kinship group are publicly displayed, contested, and confirmed by others. In this cultural setting, dowry is not only the most effective and conspicuous instrument in asserting the status, honour and prestige of the concerned marriage parties, but also an intensively competitive arena in which the present hierarchical structure is interpreted anew through complex processes of acute negotiation and competition. If we keep in mind th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owry practice among the Hindus, we can understan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main slogans of anti-dowry campaigns targeting gender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Indian society. I argue that in order to correctly tackle the 'dowry evil', we must go deeper and try to understand it in relation with Hinduism and caste system as well as the general changes in contemporary Indi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인도 달리뜨 운동의 국제화와 "인권" 문제: 국내 운동과의 관계에서 드러난 한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채성 ( Chae Seong Jeong ) 한국인도학회 2011 印度硏究 Vol.16 No.1

        최근의 국제화 운동은 불가촉천민의 차별과 불평등을 철폐하려는 목적은 공유하지만, 카스트 제도라는 틀 내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려 했던 기존의 운동이나 정책들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달리뜨 국제화 운동은 불가촉천민에 대한 차별이 카스트 제도에 고유한 문제가 아니라 인종 차별이라는 보다 일반적인 현상의 한 형태이며, 따라서 이것은 인도 사회의 특수한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인 ``인권``의 문제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국제연합을 비롯한 각종 국제기구들을 통해 인도 정부를 압박하여 불가촉천민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을 없애려는 노선을 따르는 것이다. 이것은 1990년대의 신경제정책 이후 인도 경제와 사회가 빠르게 개방되고 세계화되는 과정과 더불어 나타난 새로운 경향이며, 앞으로 인도 국내외의 다양한 불가 촉천민 운동들이 전개되는 과정과 내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의 주제들을 중심으로 국제화 운동의 성격을 분석한다: 첫째, 달리뜨 국제화 운동을 주도하는 집단과 운동의 전개과정 및 주요 쟁점들은 무엇인가; 둘째, 일상생활의 장에서 벌어지는 달리뜨 운동들의 주요 쟁점들은 무엇인가;셋째, 인도의 불가촉천민 문제를 해결하는 데 국제화 운동이 갖는 의의와 한계는 어떤 것인가. Recent international movements of Dalits share with various untouchable movements of the past the same purpose of remov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Untouchables and Untouchability. At the same time, these international movements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past movements in that they try to achieve the goal not in the frame of caste system but in quite different sphere, that i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United Nations or various Human Rights organizations. International Dalit movements regard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untouchables not as culturally and socially unique phenomenon of Indian society, but as a part of universal phenomenon of racial discrimin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m, caste discrimination should be dealt with not as a problem of Indian society per se, but as an universal problem of human rights violation. Based on the above perception, these movements have endeavored to pressurize the Indian government through various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 This strategy can be regarded as a result of the opening and globalization of Indian society and economy after the 1990s, and it will certainly influence on many kinds of untouchable movements both in India and abroad. This study trie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international Dalit moveme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o constitute the core group of international Dalit movements, which organizations do what kinds of activities in international as well as national environments, and what are the main issues of these movements?; Second, what are the main issues and concerns of ordinary dalit masses in the context of collective resistance against caste discriminations which occur everyday in numerous villages and neighborhoods in India; Third, what are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international Dalit movements in advancing the general march towards the collective liberation and empowerment of the Untouchables in In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