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플랫폼 시대의 VOD광고 내용규제에 대한 고찰

        정지영(Jeong, Jiyeong),표시영(Pyo, Siyoung) 한국정보법학회 2016 정보법학 Vol.20 No.2

        본 연구는 멀티플랫폼 미디어 환경에서 발생하고 있는 광고 규제 공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최근 미디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IPTV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에서 유통되는 VOD광고를 둘러싼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반적인 국내 광고규제의 법체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논하고, 이어 광고 시장의 산업적 논의를 더한 후 실질적인 규제가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VOD광고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총 308건의 방영중인 VOD광고를 살펴본 결과, ‘광고시간대 위반’, ‘전문기관 심의필 부재’, ‘시청자 오인 가능성’, ‘필수 정보 부재’, ‘선정성 및 유해성’ 등과 같은 문제들이 드러났다. 이를 토대로 멀티플랫폼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 규제 공백으로 인한 실질적인 문제점에 접근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관련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전문가가 VOD광고의 시장 가치를 인정하고 향후 시장에서 더 각광받을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VOD광고가 시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플랫폼별 비대칭 규제 시스템으로 인하여 규제 공백이 발생하고 있 는 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광고 산업 전체를 바라보는 측면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공급하는 플랫폼 사업자는 광고 규제에 있어 같은 수준의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것에 공감했다. 이와 같은 전문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미디어 기술 환경 변화에의 효율적 대응과 사업자 자율적 규제 확립을 위하여 새로운 플랫폼의 광고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사후심의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플랫폼별 전문성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규제 체제의 도입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continu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multi-platform media environment, due to the absence of advertisement regulations. Notably, This research wants to focus on the problems surrounding recent advertisements through IPTV and VOD online video streaming services. In order to carry this out, firstly, we will discuss and analyse the national advertising regulations and the problems that are occurring, furthermore add viewpoints through the eyes of the industry to highlight the impracticality of the regulation. To understand the problem in detail, by viewing 308 VOD advertisements, we have found following breach of regulations: ‘Advertising time violation’, ‘Proof of review from recognised organization’, ‘Mis-judgement from the viewers’, ‘Absence of critical informations for viewers’, ‘Inappropriate level of sexual and hazardous materials’. Following this up, we have interviewed professionals related to this matter in order to understand and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occurring through absence of media regulations.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 has revealed that, majority of the professional acknowledged the market value of VOD advertisements, and the future market looked promising, they were also knew and were concerned about the arising problems due to lack of regulations for VOD advertisements compared to the current platform. Also they agreed that by viewing the advertisement industry as a whole, those who operate platform business who provides same contents must fall under and share the same level of regulation law with advertisements. When we look at researches based on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for efficient action and voluntary establishments of regulation within businesses, suggestions of new platform businesses going through a thorough post-review by the Korean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were made, and discussions on implementation of regulation systems based on platform professionalism were made.

      • KCI등재

        국내 초등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쟁점과 정규화에 대한 탐색적 논의

        정지영(Jiyeong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무엇인지, 어떻게 공교육제도에서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공론화의 토대가 되는 탐색적 논의를 하고자 했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서 미디어가 생애주기 전반을 관통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무엇일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공교육 현장에 있는 교수자와 학생의 학부모 그리고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지금의 단편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은 국어 교과에 한정하여 적용토록 구성되었기에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 요소를 고르게 포함하지 못한 채로 기존 교과의 학습활동 수준에 그치는 한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에는 미디어 학습과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방안 등의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공교육에서 정규화가 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차원에서 미디어학과 국어교육학의 이분법적인 접근에서 벗어난 통합적인 관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민관 협력체가 결성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 제도적 차원에서 이수 시수 의무화, 교과 내에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추가,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 등이, 실질적 운영 차원에서는 전문 강사 육성, 중고등학교 과정과의 연계 등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try an exploratory study that was the basis of public debate on w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s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ow it can be systematically conducted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o empirically examine w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s needed for those who pass through the entire life cycle as a digital native generation. As a result, the current fragmentary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was limited to Korean language subjects, indicating a limit to the level of learning activities of existing subjects without evenly including detailed elements of media liter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fact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include media learn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measures. Above all, in order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to become regularized in public education, an integrated perspective away from the dichotomous approach of media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and for this, a public-private partnership must be formed.

      • KCI등재

        가짜뉴스의 형식적.내용적 특징과 여론 형성력: 가짜뉴스가 가지고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표시영 ( Siyoung Pyo ),정지영 ( Jiyeong Jeo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20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공공의 이익인 사회적 법익을 침해하며, 미등록의 비언론사인 동시에, 허위정보를 의도성을 가지고 생산 및 배포하는 저널리즘 양식의 가짜뉴스’ 콘텐츠의 형식적·내용적 도식과 여론 형성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89개의 분석대상 콘텐츠 중 91%에서 ‘언론인 출신 혹은 관련 전문가’를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었고, 형식은 전통적인 언론보도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89개의 콘텐츠는 모두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고 있었는데, 최초보도에서는 대체로 이를 명백하고 단언적으로 보도한 반면, 그 외의 콘텐츠에서는 주로 간접적으로 허위의 사실로 유도하는 형태로 보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체로 ‘주제적 프레임’을 사용하여 심층성을 높이고자 하였고, 뉴스 프레임은 가짜뉴스 특성상 ‘의혹/고발’ 프레임이 과반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불안’, ‘분노’ 정서가 많았고, 이를 ‘단일관점’에서 ‘부정적’ 논조를 활용하여 다소 강하게 보도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한 설득 효과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89개의 콘텐츠 중 정보원이 있는 경우는 52.8%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출처를 밝히는 경우는 전체의 18%밖에 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가짜뉴스의 형식적 · 내용적 도식 특징이 이용자로 하여금 진실로 인식하거나 동조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법제도의 사각지대에 있으면서 협의의 범주에 해당하는 가짜뉴스’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에서 논의한 대응 필요성이 있는 가짜뉴스 콘텐츠에 대한 방안을 크게 가짜뉴스 가이드라인 보완, 생산자 및 유통자에 대한 자율규제강화, 그리고 이용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분류하여 논함으로써, 정책적 대응뿐만 아니라 이용자 스스로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장기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l and content schema of ‘fake news in media coverage that infringe on public interest and distribute false information with intent,' and implications for public opinion formation. Analyzing 89 news items that disseminated false information, 91% were found to have been carried out by ‘former journalists or related experts,’ and their format was similar to that of traditional media news. Most of the 89 news items reported false information clearly and assertively, while some alluded to false information indirectly. Fake news items generally aimed to increase depth by using subjective ‘topic frames,’ and more than one-half of them utilized ‘suspicion/accusation’ frames. The news items expressed ‘anxiety’ and ‘anger’ sentiments, and increased their persuasiveness among viewers by using ‘negative’ arguments from a ‘single point of view.’ As few as 52.8% of the news items cited information sources, and only 18% actually revealed their source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formal and content schemas of most fake news contain risk factors for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Effective countermeasures are thus needed to address the regulatory blind spot represented by fake news. This study enumerates a three-pronged response, consisting of the adoption of supplementary fake-news guidelines, strengthening of self-regulation of producers and distributors, and enhancing of users' media literacy. Long-term responses also entail enhancing users' self-reliance with respect to identifying fake new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