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이 비장애 형제의 자아개념과 장애 형제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윤아(Jung Yoon Ah),조민국(Cho Min Kook)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심리운동이 비장애 형제의 자아개념과 장애 형제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Y시에 위치한 발달 센터에 다니는 장애 형제의, 비장애 형제 7명을 대상으로 심리운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약 3개월이었으며, 심리운동을 주 1회로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비장애 형제의 자아개념과 장애 형제에 대한 행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아동 7명의 총점수로 살펴보았을 때 자아수용, 자아존중, 자아신뢰 모든 영역에서 사후점수가 증가하였다. 장애 형제에 대한 행동 평정검사에서도 아동 7명의 총점수가 수용에서는 감소하였지만, 지지에서는 상승하였고, 적대와 당황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심리운동 시간에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부모님과의 면담을 통해 검사 결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각 아동의 변화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조기에 비장애 형제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과 장애 형제와의 관계를 위한 예방적 차원으로 움직임 활동을 기반으로 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on the self-concept and the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y of non-disabled siblings Method: A psychomotorik program was conducted on seven children aged 6 to 10 years of age who were non - disabled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attending a child development center located in Y City. The psychomotorik class was conducted for 50 minutes each, for a total of 12 sessions per week for about 3 month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concepts and the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y of non-disabled siblings. However, in terms of total scores of seven children, post scores were higher than before in all areas of self-acceptance, self-esteem, and self-reliance. Also, the total scores of the seven children of the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y of non-disabled siblings showed a decrease in acceptance but increased in support and decreased in hostility and embarrassment. In addition, during the psychmotorik program, the researcher’s diary and interview with the parents were able to observe the changed appearance of each child, which is difficult to identify by the test result.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early psychomotorik program based on movement activity was used as a preventive level for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concept and relationship with disabled br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