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時代 風格批評 硏究 : 『破閑集』과 『補閑集』을 대상으로

        정시열 한국어문학회 2004 語文學 Vol.0 No.83

        This thesis is a study on style criticism which appeared in Lee-Inro's 『Pahanjib』 and Choi- Ja's 『Bohanjib』. 『Pahanjib』 and 『Bohanjib』 were created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A style criticism is based on a critic's aesthetic feeling. And the form is composed of one, two or four letters. According to this study's result, the first, 『Bohanjib』's style criticism is professional than 『Pahanjib』's. The second, 『pahanjib』's poetics is concerned with a composition way which composes a poem And 『Bohanjib』's poetics is concerned with a poetic formation.

      • KCI등재후보

        家書에 나타난 退溪의 心理에 대한 一考 -長男 寯에게 부친 서찰을 대상으로-

        정시열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퇴계학논집 Vol.- No.13

        본고는 退溪 李滉이 長男 寯에게 보낸 家書에 나타난 그의 심리적 양 상에 대한 연구이다. 장남에게 보낸 퇴계의 현전 가서는 500통을 상회 하며, 기간상으로는 不惑인 1540년부터 考終하던 1570년까지 약 30년 이다. 본고에서는 이들 서찰 가운데 40세에서 55세까지 보낸 160여 통 을 대상으로 했다. 퇴계가 70세에 고종했음을 고려할 때 이 15년간은 전반기에 해당하는 시기로서 관직에 매여 운신의 폭이 자유롭지 못한 퇴 계를 대신해 젊은 장남이 집안의 온갖 일처리를 맡아서 하던 때였다. 병 약한 퇴계가 그나마 외부 활동을 하던 이 기간 동안 준은 弱冠의 청년에 서 서른을 훌쩍 넘겨 장년에 접어들었는데, 그는 진로가 결정될 중요한 시기에 학업에 전념하지 못하고 집안의 대소사를 관장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들을 바라보는 퇴계의 심사가 편치 않았으리라는 점은 자명 한데, 본고에서는 그 구체적 양상을 기대와 실망이라는 상반된 두 감정 의 공존, 집안을 단속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기인한 섬세함, 혈육에 대 한 믿음과 정서적 의존이라는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장남에 대한 퇴계의 기대와 실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 펴보았다. 學?家의 병행을 피할 수 없는 장남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이해 했던 퇴계였지만, 사대부로서 자식이 학문적으로 성공하는 모습을 보고 자 하는 기대를 접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 결과 퇴계의 뇌리 속에 는 준에 대한 기대와 실망이라는, 병립하기 힘든 두 감정이 공존하는 상 황이 지속되었다. 제3장에서는 세심한 성품의 소유자로서 집안을 관리하 는 데 정성을 다했다는 측면에서 퇴계의 심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 았다. 퇴계에게는 자신이 지녔던 가문 수호의 의지와 그에 따른 중압감 을 집안 대소사에 대한 섬세한 조율로 해소하고자 한 측면이 있었다. 물 론 퇴계의 심중에 자리한 이러한 의식은 아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다. 제4장에서는 장남에 대한 퇴계의 신뢰와 정서적 의존에 대해 구체적으 로 살펴보았다. 퇴계는 자신의 안부와 감정 상태, 그리고 잡다한 신변사 를 아들에게 전함으로써 부자간의 정을 돈독히 하고, 정서적 공유점을 만들어 나가고자 했다.

      • KCI등재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노인간병에서 가정요리(家庭料理)의 의미

        정시열 한국언어문학회 2022 한국언어문학 Vol.122 No.-

        This article has contemplated the significance of home cooking appearing from the text of <I Eat with My Mom Every Day>, a record of home care by a son of 60 years old who nursed his mother in her 90s for 9 years. Under this article, the home cooking means the dishes that are personally cooked by the son who had the nursing of his mother. Two conspicuously impressive matters during this nursing period are fact that the son who was turning into his own senior years folded up his social life to personally take on the nursing of his mother and the fact that he personally learned and developed cooking in contemplating of his mother’s health during the period in a way of taking care of their meals. He began his nursing for fulfilling his filial duty or ethical obligation as a son, and for the purpose of practicing Banpojihyo, he naturally learned how to cook and it has become the only way of communication with his mother since there was no other way of communication due to his mother suffering from the senile dementia. His mother who was really good at cooking retrieved her sharpness of yester years only during the mealtime as she expressed all phases of life through food, and she came up with her sharp critiques with clear pros and cons. While exchanging such dialogue and sensitivity, the author was able to wipe off his adverse emotion of regrets, resentment, anger or the like arising during the time of nursing. Furthermore, his passion and immersion on cooking ventilated sentiment and purified emotion and it also functioned as the catalyst to cure the devasted mind and body, namely, restoring the wounded mind. While living along with his mother in a space of apartment, the author had to accept the distance away from his social activities, including ordinary exchanges with his own family and this part was led to the declin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owever, he was able to recover his status unexpectedly for engaging in diverse activities through a way out in cooking. As such, the motivation for him to start cooking was to serve his mother well, but with the time of nursing prolonging, his endeavor paved the way of communication with his mother who the normal dialogue would be difficult as well as a salvation for himself, and this article has analyzed the text by paying attention to such points.

      • KCI등재

        사진작가 김영갑이 걸어간 일이관지(一以貫之)의 구도자적 여정 - 자전적 에세이집 <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 <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정시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3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 aspects of passion and tenacity for photography by looking into the text of "Fascinated by the Island, Obsessed by the Film" and "It was I that was in the Island", autobiographical essay collections left by photographer Kim Young-gap(1957-2005), to consider his attitude towards photography and his thoughts and comments as an artist that took pictures of Jeju Island only. Unde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develops discussions in three aspects: the maximization of artistic spirit and self-actualization, intentional isolation and immersion, and salvation that comes in response and exhaustion. First, to him, photography was a process of self-actualization to find his original self that had been tinged by the world and lead an independent life. Second, He was able to overcome human loneliness in two ways, isolation and immersion, and focus on photography in Jeju. Third, Kim Young-gap’s life spent in Jeju Island was a time of longing and waiting for a response, and the response he waited for was not recognition and praise at the world level but awakening and awareness arising from within himself. His body was exhausted after all, but through Gallery Dumoak, he could be saved. Kim Young-gap was involved in photography for more than 20 years as he took pictures in and out of Jeju Island from 1982, settled there in 1985, and then passed away at the age of 48. To him, Jeju Island was a religion, photography was a process of asceticism, the camera was the topic, and photography was the outcome of asceticism. He broke the shell surrounding him through his own dedication and immersion in photography and opened his eyes for a new world throug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hat he encountered all of a sudden, and taking that as an opportunity, he came to build “Kim Young-gap Gallery Dumoak”. The 20 years he spent in Jeju Island were a period of the journey as a truth seeker who lived for his own calling for photography and waited for a response. 본고에서는 사진작가 김영갑(1957∼2005)이 남긴 자전적 에세이집인 <섬에홀려 필름에 미쳐>, <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텍스트로 하여 사진 작업에 임하는그의 자세와 제주도만을 촬영한 작가로서의 생각과 언급들을 고찰함으로써 사진에 대한 열정과 집념의 구체적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하에 본고에서는 예술혼의 극대화와 자기 구현, 의도적인 고립과 몰입, 응답으로 다가온 구원과 소진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첫째, 그에게 있어 사진 작업은 세파에 옅어진 자신의 본래면목을 찾고, 독자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기 구현의 과정이었다. 둘째, 그는 고립과 몰입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인간적 외로움을 넘어서고, 제주에서의 사진 작업에 집중할 수 있었다. 셋째, 제주에서 보낸 김영갑의 일생은 응답에 대한 갈구와 기다림의 시간이었는데, 그가 기다린 응답은 세상 차원에서의 인정과 찬사가 아닌 자기 내면에서 솟아나는 각성과 자각이었다. 결국 그의 육신은 소진되었지만 그는 갤러리 두모악을 통해서 구원받을 수 있었다. 1982년부터 제주도를 왕래하며 사진을 찍다가, 1985년 제주도에 정착하여, 2005년 48세를 일기로 작고하기까지 김영갑은 20여 년에 걸쳐 제주도에서 사진작업을 했다. 그에게 있어 제주도는 종교였고, 사진 작업은 수행의 과정이었으며, 카메라는 화두였고, 사진은 수행의 결과물이었다. 그는 사진에 대한 헌신과 몰입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껍질을 깼으며, 갑작스레 만난 루게릭병을 통해 새로운 세상에 대해 개안(開眼)했고, 이를 계기로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을 건립했다. 그가 보낸 제주도에서의 20년 세월은 사진에 대해 스스로가 부여한 소명을 위해 살아가며, 응답을 기다렸던 구도자적 여정의 기간이었다.

      • KCI등재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자전적 에세이집 <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 <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정시열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60 No.-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meaning of Jeju Island which is projected in Photographer Kim Young-Gap’s autobiographical essay collections, <Fascinated by the Island, Obsessed by the Film>(1996) and <It was I that was in the island>(2004). Kim Young-Gap was born in Buyeo, Chungcheongnam-do in 1957 and settled in Jeju Island in 1985 after coming in and out of the island frequently from 1982. And 20 years later, on May 29, 2005, he ended his six-year struggle with Lou Gehrig’s disease and passed away in gallery Dumoak he had founded. Published in 1996, 10 years after entering the island, <Fascinated by the Island, Obsessed by the Film> is a book that contains the reason for entering the island and his early life in there. It was written as the intermediate examination over his Jeju life. Published in 2004, a year before his death, <It was I that was in the island> is a book written in anticipation of his own end. It can be said to be the last summary of his 20 years in Jeju. Jeju Island was more than a place for photography for Kim Young-Gap. Jeju Island served as various spaces for him until he established himself as the existence of ‘Dumoak’ that means Mt. Halla in his status as a stranger, not a native. This article considers the spatial meaning of Jeju Island for Kim Young-Gap in three aspects: ‘communication and healing’, ‘cutting connections and cultivation’, and ‘self-fulfilling prophecy and rest’.

      • KCI등재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의 인물됨과 처신에 대한 일고一考

        정시열(鄭時烈)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본고에서는 보백당 김계행의 인물됨과 처신에 대해 고찰했다. 보백당은 50세에 사헌부 감찰로 벼슬길에 나아가 20년 가까운 세월을 관직에 몸담았다. 외직인 고령현감에 부임한 것을 제외하고는 삼사로 일컬어지는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만년에는 대사성과 대사간을 지냈다. 비록 그의 노년이 연산군의 폭정과 사화, 중종반정 등 일련의 정치적 혼란과 맞물려 있었지만 그는 이러한 고난 가운데서도 고향에 세운 만휴정을 기반으로 자신의 심신을 수양하며, 화락하고 안정되게 가문을 이끌어 나갔다. 본고에서는 실기, 실록 등의 자료와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보백당의 인물됨과 처신을 ‘거중약경擧重若輕’의 실천, ‘난득호도難得糊塗’의 지향, ‘성문과정聲聞過情’의 경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했다. 그가 고루하고 편협한 사고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실질과 실제적 가치를 중시했던 인물임을 여러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집안에 보물은 없으니, 보물이 있다면 오직 청백뿐이다.”라는 그의 말처럼, 그는 개인적 치부를 통해 수십 년의 부귀영화를 기약하기보다는 유방백세流芳百世를 위해 청렴하게 처신했다. 이처럼 보백당이라는 칭호에 걸맞는, 명실상부한 인생을 살았기에, 비록 유고가 일실되어 전해지는 것이 영성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품은 당색黨色을 초월해서 후학들의 마음을 흥기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철종 무렵에는 이조참판을 거쳐 이조판서로 증직되었으며, 고종 때는 정헌공定憲公이라는 시호를 받기에 이르렀다. 환로에서 파란을 겪는 가운데서도 한결같이 자신의 신념에 따라 처신하며 천수를 누린 인물답게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그의 유풍은 후인들의 마음속에 전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Bobaekdang Kim Gye-haeng’s noble spirit and sensible deeds. Bobaekdang entered government service at the age of 50 as a Saheonbu Gamchal and maintained his public office for about 20 years. Except for his appointment as Goryeonghyeongam, on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posts, he passed through all the key posts referred to as Samsa: Saheonbu, Saganwon, and Hongmungwan. Also, in his later years, he served as a Daesaseong and Daesagan, too. In his senescence, he faced a series of political confusion, for example, Yeonsangun’s tyranny and massacre of scholars or Jungjongbanjeong, but despite all the hardships, he cultivated his body and soul grounded on Manhujeong built in his hometown and led his family amicably and stably. Based on review over advanced research as well as materials including Silgi and Silrok, this author has considered Bobaekdang’s noble spirit and sensible deeds in three aspects: practicing ‘Geojungyakgyeong’, pursuing ‘Nandeukhodo’, and avoiding ‘Seongmungwajeong’. From many parts of them, we can find the fact that he was not a person outdated or narrow-minded but a figure valuing those that are practical and substantial. He said, “I don’t have any treasure in my house, but if I have to choose one, it is integrity.” He never sought decades of wealth and prosperity from his personal embarrassment but always behaved himself for the sake of Yubangbaekse. Being true to the name, Bobaekdang, he lived his life integrally. Although his posthumous work is hardly left and not much has been transmitted up to now, we can still see his character was noble enough to motivate coming scholars regardless of factions. As a result, around the reign of Cheoljong, he was promoted from Ijochampan up to Ijopanseo, and in the reign of Gojong, he was finally granted the posthumous epithet of Jeongheongong. Going through all the hardships in his government service, he behaved himself consistently to his own faith and lived out his allotted span of life. Therefore, the survivals of his have been constantly maintained in the mind of later generations up until now although hundreds of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 KCI등재

        九思堂 金樂行의 漢詩 硏究

        정시열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7

        九思堂 金樂行은 18세기 영남의 유학자로서 136題의 漢詩를 남겼다. 본고에서는 구사당의 한시에 나타난 그의 내면세계를 살펴보았다. 그의 생애는 부친인 霽山金聖鐸의 유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일신의 많은 부분을 포기하고 무려 10년간 부친에게 혼신의 힘을 쏟았다는 사 실이 보여주듯이 그에게는 인생의 길을 선택하는 분명한 중심추가 있었 다. 어떠한 외풍과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인함을 지닌, 외유내강의 인물이 구사당이었다. 구사당은 부친을 모시는 데 자신의 30대 시절을 바쳤기 때문에 입신 양명하지는 못했다. 그가 학문적으로 대성할 자질이 있다는 師門의 칭 송이 있었지만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절대적 시간과 정신적 여력은 부 족했다. 도학자적 삶을 견지했던 구사당은 詩文에 큰 힘을 쏟지는 않았 으나 자신의 인생에서 인상적인 대목에 대해서는 시를 남기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이들 시를 통해 그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어떤 생각과 감 정을 가졌는가를 중심으로 그의 내면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확인했다. 첫째는 부친과 관련된 시에 자의식 과잉에 기인한 우울감이 짙게 배여 있다는 점이며, 둘째는 조화로운 삶에 대한 의지가 굳건했기에 인생에 대한 구도자적 균형감이 드러난다는 점이다. 그리고 셋째는, 세상과 일정한 거리를 둘 수밖에 없 었기에 그의 시선에 격절감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Gusadang Kim, Nak-Haeng is a scholar of 18th century in Yeongnam region who wrote about 130 Chinese poems. In this study, I searched Gusadang’s inner world by interpreting his Chinese poems. His life is closely related to his father Jesan Kim, Seong-Tak who was exiled. The fact that he devoted himself to his father for 10 years shows he had strong standards in making decisions in life. In short, Gusadang was a person who looked gentle but was tough inside and he remained firm in his faith even with outside pressure. He could not achieve glory because he spent time serving his father in his thirties. Although he heard compliments from others that he was talented enough to succeed as a scholar, he lacked time and mental energy to study. Also, he was a moralist and wrote some poems about impressive events in his life even though he did not fully devote himself to writing poems. In this study, I searched his inner world focusing on how he felt and thought about outside world by analyzing his poems. In conclusion, I found three characteristics from his poems. Firstly, depressed feelings are shown based on excessive self-consciousness in the poems related to his father. Secondly, his will to keep balance in life is shown because he wanted a harmonious life as a seeker after truth. Thirdly, a sense of isolation is shown because he had to keep a distance from outside world.

      • KCI등재

        九思堂 金樂行의 祭文 硏究 −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 −

        정시열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9

        본고는 구사당 김낙행의 제문이 갖는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구사당은 18세기 영남의 유학자로서 지행합일과 실천궁행의 학덕으로 칭송받은 분이다. 구사당의 제문과 그의 스승인 밀암 이재의 서찰은 ‘구제밀찰’이라는 별호가 붙여질 정도였지만 현재 구사당의 제문에 대한 연구 성과는 전무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구사당의 제문 가운데 감정 표현이 특히 풍부한 3편을 논의 대상으로 했다. 제2장에서는 ‘미시적 관점에서 기억의 재구’라는 제목하에 구사당의 제문이 호소력을 갖춘 한 편의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를 밝혔다.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유할 수 있는 기억이 존재하는 데서 제문은 시작된다. 고인과의 일화가 제문이라는 무대에서 상세하게 재구성되는 데는 저자의 기억이 큰 역할을 한다. 제3장에서는 ‘고조된 감수성의 수사적 재구’라는 제목으로 제문에 필요한 수사적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문의 격을 높이고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사가 필요하다. 제문은 양식적 특성상 슬픔을 드러내는 글이지만 단순히 감정의 배출구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제4장에서는 ‘애상적 분위기의 서사적 재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향한 산 자의 손짓이 호소력 있는 이야기가 되기 위해서는 서술의 초점이 분명해야 한다. 구사당은 서술 방식을 명확히 한 상태에서 고인의 인품과 안타까운 죽음, 지난 시절의 인연과 남은 자의 그리움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제문은 글을 통해 고인을 애도하고, 산 자의 슬픔을 재현하는 장이다. 이렇게 재현된 글이 제문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호소력을 지녀야 한다. 본고에서는 제문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호소력이 진정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urce of appealing which Gusadang Kim Nakhae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equipped with. Gusadang was one of the Confucianists in Yeongnam during the 18th century and was praised for his scholarly virtue of jihaenghapil and silcheongunghaeng. Although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and his teacher Milam Lee Jaeui’s letters were even specially named as ‘gujemilchal’,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on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yet.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three pieces of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which are especially rich in emotional expression for discussion. Chapter 2 titled as ‘the Reconstruction of Memory in a Microscopic Perspective’ presents the reason why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recognized even as a piece of work equipped with appealing. Writing for ancestral rites begins from the point that there exists memory that can be shared by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In reconstructing the anecdote with the dead on the stage of ritual writing in detail, the writer’s memory plays an important role. Chapter 3 titled as ‘the Rhetorical Reconstruction of Elevated Sensitivity’ examines rhetorical devices needed for writing for ancestral rites. Proper rhetoric is needed to upgrade the dignity of the ritual writing and arouse sympathy from the readers. Although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supposed to express sadness in terms of its formal characteristics, it should not end up being a mere outlet of emotion. Chapter 4 looks into ‘the Descriptive Reconstruction of Lamenting Sentiment’. There should be a clear focus of description to make the gesture of the living towards the being not existing in the world any longer an appealing story. While maintaining a distinct way of description, Gusadang organizes the noble character of the dead, pitiable death, the precious bond in the past, and the longing of those left for the dead systematically.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a field to mourn over the death and reproduce the sadness of the living through writing. To make the text written in that way get to work as ritual writing properly, it should be appealing necessarily. This study has found the fact that such appealing that gives life to ritual writing is grounded on authenticity.

      • KCI등재

        默齋 李文楗의 『養兒錄』에 나타난 祖孫 葛藤에 대한 一考

        정시열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養兒錄}은 默齋 李文楗(1494-1567)이 손자를 양육하면서 남긴 기록물이다. {양아록}의 저자인 이문건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星州, 자는 子發, 호는 默齋, 休叟이다. 그는 靜庵 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와 을사사화를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경북 성주에 20여 년간 유배되었다가 결국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16년간의 기록인 {양아록}은 크게 3단 구성을 보인다. 먼저 제1단에서는 묵재 본인의 自序와 손자 출생 시의 기쁨을 담은 율시 한 수, 출생 당시의 상황과 改名에 대해 언급한 산문 한 편, 성주 목사와 조카 李爓이 보내준 축시가 등장하며, 제2단에서는 본격적인 양아의 내용을 35제의 시로 담아냈다. 그리고 마지막 제3단에서는 음주에 대한 경계, 가족에 대한 소개, 世系, 축원문, 자신의 성품에 대해 자책하는 글로 마무리 했다. 본고에서는 {양아록}에 나타난 조부와 손자의 갈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아록}의 여러 측면 가운데 유독 조손 간의 갈등에 초점을 둔 것은 서술의 주체인 묵재의 마음에 자리한 애증의 양가감정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양아록}에는 묵재의 심리적 추이가 잘 나타나 있는데, 특히 손자에 대한 사랑과 기대가 갈등과 실망으로 이행되는 모습을 보노라면, 인간관계에 존재하는 愛憎의 거리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연구 목적에 맞는 정확한 논의를 위해 제2장에서는 조손 갈등의 근본적 발생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조손 갈등의 구체적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갈등의 원인과 양상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성찰의 자료로서 {양아록}이 현대인들에게 주는 전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This study takes as its text {Yangarok}, the record written by Mukjae Lee Mun Geon (1494-1567) about his grandson rearing and examines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The reason it is focu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particularly among many aspects of Yangarok is that the paper notices the dual feelings of love and hatred lying in the mind of Mukjae,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Because the record of grandson rearing plainly reflects the dual elements of the grandfather, love and hatred,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 and hope and resignation, it shows the acute conflicts between the two persons well. At the time of the grandson’s birth, Mukjae went through a gloomy period both in family and socially. He had to taste tremendous frustration in the status as an exile pushed back from the center of the political world, and his only son was handicapped, so he could not expect his caring after that. Spending each day in such frustration, he faced the birth of his grandson just like a miracle. However, the excitedness and expectation he had in the beginning of the child raising were turned into disappointment and complaining as time went by. His change lets us think about the distance between love and hatred existing in human relations. This study analyzes Yangarok but is focu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randson for further discussion, so it attempts to understand Yangaro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irst of all, Chapter 2 of this article notices the fact that cause results in effect and examines the ultimate factors raising grandfather-grandson conflicts. Next, Chapter 3 considers the concrete aspects of grandfather-grandson conflicts. Based on the above examination on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 conflicts, Chapter 4 focuses on the value that Yangarok has as the material for introspection and lays the ground to think about the messages that this record implies for contempora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