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QAR (Quick Access Recorder) 데이터 분석 기반 B777 Hard Landing Trend Analysis

        정승섭 ( Chung Seung Sup ),김현덕 ( Kim Hyeon Deok ) 한국항행학회 202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5 No.2

        2019년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siation) 보고에 따르면 하드랜딩 사고 1건으로 인해 승객 4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는 항공기의 불안정한 접근 상태에서 무리하게 착륙을 시도하여 발생한 하드랜딩 사고로 파악되었다. 하드랜딩의 주요 원인으로 불안정한 접근, 조종사의 플레어(flare) 실수, 잘못된 계획,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QAR (quick access recorder)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국내 항공사의 B777 기종에서 발생한 24건의 하드랜딩 이벤트를 항공기 강하율(descent rate), 비행 강하각 (flight path angle), 활주로 시단 통과 고도 (threshold passing altitude), 초기 플래어 고도 (initial flare altitude) 등의 분석을 통해, 하드랜딩의 원인이 항공기 접지 전 낮은 비행경로 (low vertical path)와 조종사의 적절지 못한 플래어 시기(late flare)로 식별하였다. 이에 하드랜딩 이벤트 경감 및 항행 안전 증진 방안으로 항공기의 안정된 접근 (stabilized approach) 과 특히 200ft 이하의 고도에서 착륙 시까지 항공기의 낮은 비행경로가 되지않도록, 일정한 강하 각 유지를 위한 조종사의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2019 Safety Report, one accident involving hard landing has caused 41 deaths. The accident was analyzed to be caused by the pilots’ final judgement of making a forced the landing in unstabilized conditions. The factors leading to hard landings are unstabilized approach, misjudged flare, inappropriate planning, unexpected change in weather etc. This research aimed to look into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hard landings by utilizing the quick access recorder (QAR) data of 24 recorded hard landing incidents of B777, such as descent rate, flight path angle, threshold passing altitude, initial flare altitude etc. The main causual factors were derived to be low vertical path and late flare. In order to promote proactive an precautionary measures, stabilized approach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ntinuous monitor of flight path angle below 200 ft to maintain proper vertical path.

      • KCI등재

        B777 항공기 Final Approach Fix(FAF) 이후 Flight Level Change(FLCH) 사용 이벤트 경향성 분석

        정승섭 ( Chung Seung Sup ),김현덕 ( Kim Hyeon Deok ) 한국항행학회 202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5 No.3

        2013년 7월 아시아나 OZ 214편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SFO) 사고의 주요 원인은 조종사의 잘못된 접근 조작과 항공기 오토트로틀 홀드(autothrottle hold) 모드로 인해 자동 속도 컨트롤(control)이 불가함을 인지 못하였고, 복행 (go-around) 결심이 늦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B777 POM (pilot operation manual)에는 FAF (final approach fix) 후 FLCH (flight level change) 모드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본 연구는 QAR (quick access recorder)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국내 항공사의 B777 기종에서 2년간 발생한 44건의 해당 이벤트를 분석 한 결과, 정상 강하각 보다 높은 위치에서 조종사가 FLCH 모드를 이용하여 급하게 강하하는 과정에서 해당 이벤트들이 주로 발생하였으며, 항공기 베이스 선회 (base Turn) 시 정상 수직 경로(vertical path)보다 낮은 상태에서도 FLCH 모드를 지속 사용한 예도 있었다. 아울러 공항의 표고가 500 ft 이상의 높은 공항에서 이벤트 발생율이 높은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항공기 접근 시의 강하 계획(descent planning), 수직 경로(vertical path)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자동항법장치 사용 기준 및 안정 접근 항목(stabilized approach criteria)의 준수로 이벤트 경감방안 마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main causes of the July 2013 OZ 214 accident were poorly performed approach and the failure to recognize the autothrottle in the HOLD position which the automated speed control was not provided. The pilots late decision for go-around was also a critical factor leading to the accident. The B777 POM restricts the use of FLCH mode beyond the FAF. This research utilized the QAR data of an airline’s B777 fleet in the period of two years where 44 cases were found. In many cases, the FLCH mode was used for rapid descent from an higher than normal situation. In addition, in the base turn, continuous use of FLCH mode even when the path was below the glide path were observed. Airports with elevation above 500 ft MSL had a higher rate of occurrence. In this research, the proper descent planning and vertical path monitoring, and the adherence to the limitation set in the manuals and the stabilized approach criteria were re-emphasized as mitigation to reduce event occurences.

      • KCI등재

        한국형 운항승무원 피로관리 프로그램의 출두시간에 관한 연구

        이승영 ( Lee Seungyoung ),정승섭 ( Chung Seung Sup ),김현덕 ( Kim Hyeon Deok ) 한국항행학회 202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5 No.4

        항공산업의 발전에 따라 국제적으로 운항승무원의 피로 위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피로도 연구와 법 제정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미 미국, 유럽 등의 비행 선진국은 비행시간과 비행근무시간 규정을 운항승무원의 출두 시간, 이착륙 횟수, 휴식시간, 시차적응상태 등의 비행 환경을 반영한 최대 비행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적용 운항승무원의 피로도를 관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운항승무원의 비행 환경 및 비행 조건을 반영하지 않은 연속되는 일간, 월간, 연간 기준으로 최대 비행근무시간을 정하는 획일적인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피로 위험관리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선진 해외항공사 위주로 개발된 피로도 관련 법과 규정을 국내의 비행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적용할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본연구의 국내 운항승무원 피로도 관련 설문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미 해외에서 적용하고 있는 최대 비행시간 규정을 수정 없이 그대로 국내에 도입 및 적용하는 경우, 오히려 국내 운항승무원의 피로도는 증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국내의 비행 환경과 문화에 적합한 한국형 비행근무시간 제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significance of pilots' fatigue and the attributed risk management had continuously increased over time as the airline industry expanded. Research and legislation efforts associated with pilot fatigue are being taking place actively all over the world. In the developed world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etc., the airline pilot fatigue is already being managed by considering the show up time, the number of take offs and landings made, resting period, jet lag etc., when computing flight duty time. In Korea, the flight duty time is only limited by the total number of hours per given period regardless of the flight conditions and environment. Such lack of regulation demand development of a fatigue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survey taken from the airline pilots in Korea, it has been found that acquiring foreign policies directly may in turn, increase the risk of fatigue. This research suggest future studies regarding fatigue management program adapted exclusively to Korean domestic flight environment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