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피복재 종류에 따른 환경요인과 수량성

        김호철(Ho Cheol Kim),정석기(Sek Gi Jung),이정현(Jeong Hyun Lee),배종향(Hyang Jong B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8 No.3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피복재 종류에 따른 생산성 차이에 주요 환경요인의 영향 정도를 분석을 위해 유리온실과 플라스틱필름온실의 환경요인 누적데이터를 수집하여 수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리온실은 외부광량과 수량 간 정의상관을 나타내었고, 100MJㆍm?² 당 300~500gㆍm?²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산온도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수량 예측 모델 개발에 있어서는 적산온도가 외부광량보다 가능성을 높게 나타내었다. 최대 순광합성은 유리온실에서 16.83μ㏖ㆍm?²ㆍs?¹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14.93μ㏖ㆍm?²ㆍs?¹ 보다 13% 정도 높았다. 단위 광량당 생산성은 유리온실에서 플라스틱필름온실보다 46%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위 기간당 생산성도 유리온실에서 플라스틱필름온실에서 보다 47% 높게 나타났다. 수량에 대한 광, 온도, CO₂에 의한 분석 결과 상대수량계수, 수량증가계수, 수량감소계수 및 최대수랑계수는 유리온실에서 플라스틱필름온실보다 각각 25%, 73%, 34% 및 49%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리온실에서 파프리카 재배 시 플라스틱필름온실에 비해 생산성은 높으나, 환경요인의 급격한 변화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analysis effect of environment factors on productivity of sweet pepper according to greenhouse covering material (glass, plastic film), this was investigated. In glasshouse, outside l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ield as that 100MJㆍm?² of outside light increased 300~500gㆍm?², also cumulative temperature was same tendency. On possibility of model development for yield estimate cumulative temperature was high than outside light. According to covering material, leaf photosynthesis, productivity per outside light and term in glasshouse was more high 13%, 46%, and 47% compared with plastic film house, respectively. Result of analysis of effect of light, temperature, and CO₂ on yield, relative yield coefficient, yield increment coefficient, and yield reduction coefficient in glasshouse were more high 25%, 73%, and 34% compared with plastic film house, respectively. Hence, sweet pepper's growing in glasshouse compare with plastic film house had more productivity, but that had more sensitivity to charge of environment factors.

      • KCI등재

        과채류 컨설팅에 대한 농가, 컨설턴트 및 컨설팅업체 간 견해 비교 분석

        김호철(Ho Cheol Kim),최준혁(Jun Hyuk Choi),정석기(Sek Gi Jung),이용범(Yong Beom Lee),배종향(Hyang Jong B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8 No.3

        국내 주요 과채류 농가, 국내외 컨설턴트 및 컨설팅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컨설팅 실태와 개선방향을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농가는 생산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컨설팅은 반드시 필요하며, 방문에 의한 컨설팅을 원하였다. 그러나 컨설턴트의 현장경험과 지식수준에 대하여는 신뢰성이 낮았다. 또한 컨설턴트의 과중한 업무로 방문 시 충분한 시간을 할여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적합한 컨설팅을 위해서는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3자간 공통 문항 결과에서는 계약기간(답변: 연간계약), 컨설팅 적정 수단(답변: 방문), 방문 시 컨설팅 시간(답변: 2~3시간) 등에 대하여는 대부분 공통적인 답변이었다. 그러나 일부 농가에서는 방문 시 컨설팅 시간을 연장하기를 원하였다. 컨설팅 공급자(컨설팅업체, 컨설턴트)와 수요자(농가) 간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계약금 결정방법(답변: 가계약 금액컨설팅 내용과 질)과 현재 정부 보조금 지원(답변: 적정확대)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survey on fruit and vegetables farms (FM), consulting companies (CC), and the consultants (CT) to investigation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s in consulting part of horticulture. In results of survey on FM, FM chose 'necessity' on consulting for learning of production skill and 'field visit' in means of consulting. FM had a low trust on experience and knowledge of CT and answered that FM had not enough time for consulting by reason of over-work of CT, chose 'necessity' on crop registration system. In results of common questions among FM, CC, and CT, same answer of questions were term of contract (answer: yearly contract), means of consulting (answer: visit), consulting time per a visit (answer: 2-3hours). Different answer between supplier (CC, CT) and consumer of consulting were decision method of contract price (answer: provisional contract ≠ contents and the quality of consulting), percentage of government subsidy (answer: propriety ≠ step-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