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D Printing 출력물의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한 최적의 출력조건에 대한 연구

        김성기(SeongGi Kim),김승언(SeungEon Kim),김찬중(ChanJung Kim),김학준(HakJun Kim),정상민(SangMin Chung),지승한(SeungHan J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FDM 방식으로 제작된 3D printing 제품은 접근성이 좋아 많은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FDM 방식은 출력 시간이 길고, 인장강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D printing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D printing 출력물의 인장강도와 출력 품질은 향상시키고, 출력 시간, 재료 소모량은 줄여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 채움 밀도, 출력 속도 조건을 고려해 최적의 출력 조건 도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은 내부 채움 밀도 60%, 출력 속도 60mm/sec이다. 3D printing products manufactured by FDM method are widely used in many industries due to their good accessibi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on 3D printing is continuously being mad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and print quality of 3D printing prints and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by reducing printing time and material consumption, a study was conducted on deriving optimal print conditions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infill density and printing spe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optimal conditions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are 60% of infill density and 60mm/sec of printing sp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