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녀 간 친밀성 서사의 젠더 정치 - 오정희와 백수린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미선(Jeong, Mi-seo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5

        여성 간 친밀성의 서사화 유형과 그 담론적 양상에 대해 물을 때, 모녀 관계는 친족의 경계 내부에서 가장 빈번하게 호출되는 문제적 유형이다. 본고는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대한 젠더 심리학과 페미니스트 사회학의 젠더화된 삶과 동일시 역학에 대한 성찰을 경유하여, 모녀 간 친밀성을 모의하는 오정희와 백수린의 서사적 사례들이 보여주는 젠더 정치적 면모와 차이 지점들을 분석했다. 여기에서 모녀 간 친밀성의 양식은 어머니와 딸 사이의 상상적 동일시의 구도로 표출되며, 주로 오정희의 사례에서 전경화되는 이러한 병리적 동일시는 ‘여성’과 ‘모성’에 대한 문화적 기대에 깃든 젠더화된 담론적 저변을 드러내는 마스터플롯으로서 형상화된다. 또한 백수린의 사례는 이러한 기존의 플롯들에 기반한 모녀 간 친밀성의 전략이 끝내 실패하게 되는 서사적 귀결을 보여줌과 동시에, 동일시의 역학으로 수렴되지 않는 친애의 친밀성 양식을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모녀 간 친밀성의 플롯들을 정치적 계쟁에 부친다. 이는 젠더 정치의 오랜 화두이자 동시대적인 의제로 자리하는 모녀 관계에 있어서, 여성 간 친밀성이 어떻게 새롭게 상상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과 함께 대안적 친밀성의 가능성 지대에 대한 탐색을 요청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very problematic type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terms of ‘female-female kinship’s narrative‘.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gender provide insights into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rough studies of gendered lives and identification dynamics―and mechanisms and differentiation patterns such as incorporation, projection, introjection, sympathy, empathy, etc―. This paper analyzes two narrative cases of Oh Jeong-hee and Baek Su-rin through the perspective of ‘kinship"s narrativ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gender and narrative aspects that can be observed in these two c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ttern of mother-daughter kinship is expressed in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composition between mother and daughter. This pathological identification, foregrounded in first novels, is described as a master-plot of the discourse underlying the cultural expectations of the gendered female subject. On the other hand, second novel shows the ending that the strategy of making the kinship of mother-daughter relations based on these plots will eventually fail, and also presents a new form of kinship that does not converge or reduce with the dynamics of identification. Through this the plots of kinship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are in political litige. This paper reemphasizes gender politics and contemporary aspects of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asks how ‘female-female kinship’ can be reimagined. And a search for the spatial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intimacy is called for.

      • KCI등재

        체르노빌 사고의 건강 영향

        정미선,진영우,Jeong, Mee-Seon,Jin, Young-Woo 한국환경보건학회 2011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7 No.4

        The Chernobyl accident was a terrible catastrophe for humanity. Scientists are in concurrence about an increase of thyroid cancer incidence among children, but not among adults, because even areas less contaminated by radiation have also reported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thyroid cancer. In this case, the rise might be due to a screening effect. There is no convincing evidence that the incidence of leukemia and solid cancer has increased among the exposed populations, but it still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Additionally, apparent evidence of decreased fertility and increased hereditary effects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general population. WHO suggested 4,000 people could have died or may die in the future among emergency workers and residents of the most contaminated areas, while Greenpeace insists there will be 93,080 victims around the world. The radiation dose due to Chernobyl was mainly low, so if its health effects are to be found, more long-term and welldesigned research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부모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효과: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정미선 ( Mi Seon Jeong ),윤경희 ( Kyung Hee Yo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부모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분노조절 향상과 부모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있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0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에게는 매주 2회씩 총8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두 집단 모두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평균비교와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한 부모의 분노조절프로그램은 부모의 분노조절 향상과 전체 부모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부모효능감 하위요인에서는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부모역할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부모로서의 불안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이 분노조절력 및 부모효능감 향상을 통해 자녀 양육에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arents`` anger control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A) theory. For the execution and effect verification of the parents’ anger control program, 30 mothers with adolescents were selected. After conducting pre-tests, 15 mothers were positioned in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each.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t to the control group. After applying the program on the experimental group, post-tests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Finally, comparison of averages and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were carried out to verify its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ing parents’ anger contro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on which the program was executed had improved parental efficacy. Sub-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sense of parental efficacy and parental ro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as par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

        김현 비평 연구

        정미선(Jeong, Mi-seo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8

        문학의 자율성 개념은 김현 비평의 핵심 테제로, 문학사회학과의 연관 속에서 의미를 획득한다. 일차적으로, 김현의 비평적 시각에서 문학의 자율성은 근대문학이라는 장르의 탄생에 원천 결부된 논제이자, 문화적 사실로서의 의미를 띤다. 이때 문학이 자율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대한 김현의 강조는, 문학 이념들을 가능케 하는 당대성의 장(Field), 즉 문학적 담론의 실천양상에 주목하게 한다. 김현이 관심하는 문학적 앙가주망의 방법론은 문학/사회라는 각 범주를 상수로서 전제하는 당대 문학 장에서의 순수문학/참여문학의 대립 구도 사이에 자신을 위치시킨다. 김현 비평에서 문학의 자율성 테제는 사회의 산물로서의 언어와 언어적 현실의 조형으로서의 문학이 길항하는 양가성의 장을 의미한다. 김현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작가의 사회학과 독자의 사회학 그리고 작품의 사회학이라는 문학사회학의 세 탐구 영역을 제시하며, 문화적 결정화 작용을 거꾸로 파헤치는 행위를 비평가의 책무로 제시한다. 이처럼 문학의 자율성 개념을 해석하는 김현의 비평 논리는 순수나 참여라는 문학의 이데올로기만으로 환원될 수 없는 문학과 사회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지속적인 통찰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비평사적 의의를 갖는 논제라고 할 수 있다. As a core thesis of Kim Hyun’s criticism, the concept of literary autonomy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s of literary sociology. literary autonomy is a topic that fundamentally associates with the birth of a genre called ‘Modern Literature’ and has a meaning as a cultural fact most of all. At this point, Kim Hyun’s emphasis on the fact that literature has autonomy makes us pay attention to the field of contemporaneity, that is, practical aspects of literary discourses. The methodology of literary engagement in which Kim Hyun takes interest makes him located in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between pure and engagement literature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literature premising each of literature and society as a constant. The thesis on literary autonomy means the field of ambivalence between language as a product of the society and literature as a form of linguistic reality. By the medium of language, he suggests three inquiry domains of literary sociology, while explaining all the behaviors of inversely looking into cultural crystallization actions as one of critics’ duties. Overall, since Kim Hyun’s critical logics i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literary autonomy requires a constant discer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that cannot be reduced only by different literary ideologies such as purity and engagement, it can be regarded as a topic still having a criticism-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역량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미선(Mise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개발하는데 실제로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 대학생들의 창의융합성,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 유무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 해 창의역량 수업을 수강한 집단과 수강하지 않은 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문제발견, 해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창의융합성,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유무가 문제발견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8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경북과 충북에 거주하는 대학생들 17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t-test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의역량 수업을 수강한 집단과 수강하지 않은 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로 창의융합성,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유무는 문제발견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창의융합성은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지만, 창의역량 수업의 수강유무는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if classes designed to develop the creative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ctually effective in developing such skills, as well as to confirm the impact of creative in competency, class experience of creative education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etween the students that take classes that emphasize creativity ability and those who do not take.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n creative convergence, creative capacity courses of creative courses on creative problem resolution. There were 170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Chungcheong-do provinc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took the courses and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test analysi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of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by group.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by the class of creative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the expectation relation of relative effect which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creative convergence, class experience of creative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o problem finding. Third, creative convergence w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an problem solving, but class experience of creative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o problem solving.

      • KCI등재

        창의역량 개발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CPS 모형을 중심으로

        정미선 ( Jeong Mi Se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역량을 개발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을 교양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에서 창의역량을 개발하는 수업들은 다양한 활동을 나열하기만 할 뿐 체계성이 갖추어지지 않는 것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의 체계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점수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통제집단 38명, 실험집단 40명으로 총 78명이었다. 수업은 13주로 진행되었으며, CPS의 단계별로 학습자의 활동을 제시하였다. CPS 수업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검증을 하였으며, 그 결과에서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문제발견과 문제해결 및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대학생들의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수업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개발시킬 수 있으며, 창의적 자기효능감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교양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과 전공 수업에서 예시가 될 수 있으며 창의력 수업을 하고자 하는 많은 교수자에게 교육방법과 내용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a collegiate course utilizing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and investigate its effect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model was applied to liberal arts classes to encourage the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we specifically set the criteria and contents of the class for creative capacity development,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compare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self-efficacy scores. The re were 78 students. There were 3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40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lass lasted for 13 weeks. Students' activities were presented at each stage of CPS in this study. Problem find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self-efficacy were used as the primary means of testing the influence of the model on student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repeat measurement variable analysis problem find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self-efficacy scores showed that a collegiate course utilizing CP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nts’ crea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systematic classes for that develop creative competency in university students can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enhance creative self-efficac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n examples, not only in liberal arts courses, but in various other fields as well. This may be applied to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for professors and students who wish to take creative classes.

      • KCI등재

        예비 교사들의 창의력에 대한 신념과 창의적 수행

        정미선(Jeong, Mis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예비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창의력에 대한 신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창의적 신념은 창의력에 대한 암묵적 지식과 창의적 효능감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창의적 효능감과 창의적 수행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위치한 대학들에서 교직과목을 전공하는 학생들 160명이었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4개의 개방형 질문과 창의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창의적 효능감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창의적 효능감 수준의 상위 25%와 하위 25%를 나누어서 이들의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예비 교사들은 창의력을 독창성으로 확인하고 있었고, 그뿐만 아니라 창의력은 학습을 통해서 개발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 교사들의 창의적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창의적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창의적 행동을 취하는 방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창의적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프로젝트를 실제로 하기 전에 '사고전략'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창의적 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관찰과 모방'을 가장 높게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적 행동은 창의적 효능감의 기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which includes their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actual creative behavior in the sam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0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middle education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Daegu and the greater Kyungpook a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four open questions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ir perceptions of creativity. For analysis of the answers,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The top 25% and lower 25%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ir creative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d originality as the defining aspect of creativit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creativity for efficient education. Secondly, many prospectiv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often use thinking skills as a way of achieving creative behavior. Third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low creative self-efficacy and the high creative self-efficacy groups in terms of creative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creative behavior is a function of creative self-efficacy. Therefore, the target of education of creativity should be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concept of creativity should be taught as to include not only originality but also usefulness.

      • KCI등재

        1960년대 도시 소설의 장소상실과 기획 공간

        정미선(Jeong, Miseo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5

        근대의 도시 공간과 그 서사화 양상을 논할 때 ‘장소에서 공간으로’의 테제는 핵심적인 입론의 지점이다. 근대의 공간 이해는 구체적 ‘장소’ 개념에서 불안을 야기하는 추상적 ‘공간’ 개념으로 이동한다. 도시는 근대화 속에서 탄생하여 인간 삶을 구획하는 현실적 터전이자, 이와 같은 근대 공간론의 핵심적 표지로 있다. 따라서 공간과 장소는 우리에게 문제적 개념으로 있으며, 도시는 장소상실성을 함축하는 문제적 범주가 된다. 도시 서사의 주제를 탐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도시 서사는 장소상실의 의미항에서 머무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간-창출의 수행을 통해 장소성을 공간 속에 새롭게 이관하여 구현하려 한다는 점에서 기획 공간의 의미망에 근접한다. 소설의 서사 공간은 도시 공간에 처한 인간 삶의 양태를 문학적 기획과 구성을 통해 다각도로 형상화한다. 본고는 최인훈과 김승옥의 두 소설이 구현하는 모티프의 두 양상을 바탕으로 1960년대 도시의 장소상실과 기획 공간을 논한다. 최인훈의 경우 산책자 모티프의 변형을 통해 실향의 감각 속에서 도시 공간 내부의 이동을 관건으로 조망 공간의 서사적 기획을 드러낸다. 반면에 김승옥의 경우에는 고향/도시의 공간 구도를 순회하는 여로형 모티프를 통해 무진이라는 상징 공간을 마련하고, 고안된 장소 표지를 구성한다. 이들 각각의 기획 공간은 1960년대 도시 공간의 서사화 양상을 읽어낼 수 있는 두 단서로 자리한다. When we discuss the aspects of modern urban space and its narrative, the thesis of ‘from place to space’ is the essence point of the argument. Understanding of the modern space moves from the concept of specific ‘place’ to that of abstract ‘space’ that causes disturbance. The urban aspect, created in the modernization, is the realistic foundation that arranges human lives, and at the same time, is the essential landmark of the modern space theory. Thus, space and place exist as problematic concepts to us, and the urban aspect becomes a problematic category that implies placelessness. The reason why exploring the subject of urban narrative is meaningful resides here. Urban narrative gets close to semantic network of ‘projected space’ in that it, beyond semantic network of placelessness, intends to embody a ‘sense of place’ in space by executing ‘Ein-räumen’. Narrative space in novels formalizes aspects of human lives in urban space from various angles through literary plans and structures. This paper discusses placelessness and projected space appearing in novels of the 1960s based on two axes, Flàneur motif and journey type motif. Choi Inhoon, through change of the Flàneur motif, in the placeless sense, reveals narrative plans of ‘perspective space’ focusing on movements within urban space. On the other hand, Kim Seungok, through the journey type motif that circulates the space composition of countries/cities, provides ‘symbolic space’ called Mujin and creates the devised place landmark. To conclude, each ‘projected space’ exist as the two clues in the aspects of narrative figures to urban space in 196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