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 관련 가족지원 연구 동향: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이전과 이후 비교

        정광범(Jeong Kwang-Beom),이병인(Lee Byoung-In),김해선(Kim Hae-S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1984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시각장애 관련 가족지원 연구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가족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분석대상문헌은 31편이며, 선정된 문헌을 일반적인 특성, 연구 주제, 연구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가족관련 연구(조현근, 이병인, 2014)에 제시된 주제를 중심으로 54개의 변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가족지원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원리(Dunst 외 1988)에 근거하여 74개의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대상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하 장특법)(2007) 이전에 비해 성별, 중복장애유무, 출생 순위, 학력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한 연구가 증가하였고, 연구대상 유형에서는 교사를 포함한 전문가를 연구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증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에서 심층 면담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장특법(2007) 이전에 비해 가족-전문가 협력, 가족지원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장특법(2007) 이전에 비해 지역공동체 의식의 강화와 관련된 연구 내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각장애 관련 가족지원 연구 동향의 시사점과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basic data on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s of visual impairment between 1984-2007 and 2008-2018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2007). For the research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31 articles were analyzed. The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contents. Based on the principle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amily support (Dunst, Trivette, & Deal, 1988), the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with 54 variables based on the topics presented in the family study (Jo Hyun Geun & Lee Byoung In) 74 variab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ore studies on gender, presence of redundancy, birth order, & in case of the study subject typ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as an increase in-depth interview wi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family-professional cooperation & family support program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before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of 2007 (2007). Thir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a sense of community were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of 2007 (2007).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 directions of research trends on family support for visual impairment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