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eliefs and Knowledge of the Public about People Who Stutter: Age and Sex Comparisons

        전희정(Hee Cheong Ch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일반인이 말더듬는 사람(PWS)에게 보이는 신념과 지식의 정도를 연령과 성별에 따른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신념과 지식 사이의 상관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98명의 일반 성인이었다. 대상자는 POSHA-S의 하위범주인 ‘PWS에 대한 신념’에 속한 문항과 Alabama 말더듬 지식 검사(ASK) 문항에 답하였다. POSHA-S에 응답한 자료는 ‘특성/성격’, ‘도움의 출처’, ‘말더듬의 원인’, ‘잠재력’의 네 개 구성요소로 분석하였으며, 구성요소의 평균을 계산하여 ‘PWS에 대한 신념’ 점수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ASK 점수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루어졌다. 결과: POSHA-S의 ‘PWS에 대한 신념’ 점수와 그 구성요소인 ‘특성/성격’, ‘말더듬의 원인’, ‘잠재력’ 점수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도움의 출처’는 50대 이상 집단이 20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ASK 점수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WS에 대한 신념’의 구성요소인 ‘말더듬의 원인’과 ‘잠재력’ 점수와 유의하지만 낮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PWS에 대한 일반인의 신념은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중립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지만 각 구성요소 내에서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PWS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말더듬 관련 지식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일반인이 PWS에 대한 부정적 신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eliefs and assess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eople who stutter (PWS) in the Korean public. Methods: The responses of 298 Korean adults were collected for the ‘beliefs about PWS,’ one of the subcategories in the Public Opinion Survey on Human Attributes-Stuttering (POSHA-S). The subcategories consisted of four components (traits/personality, help source, cause, and potential). The four components and the ‘beliefs about PWS,’ which is the mean score of all componen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mong ages (four groups) and sex. The Alabama Stuttering Knowledge test (ASK) score was also compa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or main effect between age and sex for the ‘beliefs about PWS’ and three of the component (traits/personality, cause, potential) scores. However,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lp source,’ where the group over 50 years of ag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than the 20-year-old group. The ASK score did not indicate any effect bu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SK and ‘cause’ scores and the ASK and ‘potential’ score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regardless of age or sex, beliefs about PWS held by the public were not negative in general, although they were not very knowledgeable about stuttering/PWS. Providing more interpersonal and educational support regarding stuttering would help the public increase their positive beliefs about stuttering.

      • KCI등재

        유창성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과 말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전희정(Hee Cheong Chon),고도흥(Do Heung Ko),신문자(Moon 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는 4, 5세 유창성장애 아동 10명과 정상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비유창성 유형(전형적 비유창성, 비전형적 비유창성)과 말속도(전체말속도, 조음속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했던 비유창성 유형은 삽입(평균 4.3회)이었으며, 전형적 비유창성이 전체 비유창성 유형의 86.36 %로 나타났다. 유창성장애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했던 비유창성 유형은 음절반복(평균 5.7회)이었으며, 비전형적 비유창성이 전체 비유창성 유형의 54.09 %로 나타났다. 전형적 비유창성은 제시상황간에, 비전형적 비유창성은 아동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상 아동의 전체말속도는 놀이상황에서 평균 4.94SPS(Syllables Per Second), 과제상황에서 평균 3.66SPS였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은 놀이상황에서 평균 4.84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3.36SPS였다. 정상 아동의 조음속도는 놀이상황에서 평균 5.07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3.99SPS였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은 놀이상황에서 평균 5.26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4.32SPS였다.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제시상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의 경우 놀이상황에서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stuttering children with nonstuttering children in terms of (a) the domain of typical disfluency, (b) the domain of atypical disfluency, (c) the overall speech rate, (d) the articulation rate, and (e) the relation of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disfluency type of stuttering children was ‘syllable repetition’ and that of nonstuttering children was ‘interjection’. Second, in the domain of typical disflu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the story telling context were observed in both group. In the domain of atypical disflu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in each context. Third, the mean overall speech rate was 4.84SPS(Syllables Per Second) and 4.94 SPS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3.36SPS and 3.66 SPS in the story telling context, for the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respectively. In both child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and story telling contexts in the overall speech rate. Fourth, the mean articulation rate was 5.26SPS and 5.07 SPS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4.32SPS and 3.99 SPS in the story telling context, for the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respectively. In both child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and story telling contexts in the articulation rate. Fifth, the stuttering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speech rate between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in both contexts. However, the nonstuttering children did not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speech rate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 KCI등재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일반인의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비교

        전희정(Hee Cheong Ch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일반인이 말더듬는 사람에 대해 보이는 자기반응을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과 연령 간 비교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226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는 POSHA-S의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범주에 속하는 문항에 답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POSHA-S의 분석방법을 따라 -100점에서 +100점으로 변환되었으며, 변환된 점수를 사용하여 '수용/도움', '사회적 거리/연민', '지식/경험', '지식의 출처' 구성요소 점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구성요소 점수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점수를 산출하였다. 결과: '수용/도움', '지식/경험', '지식의 출처'의 점수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거리/연민'점수는 남성집단에서 20대 집단이 40대 집단과 50대 이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하위점수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일반인에게서 나타난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은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부정적이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말더듬 혹은 말더듬는 사람과 관련된 '지식/경험'의 부족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반인은 말더듬는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 연령대의 남성집단은 어린 연령대의 남성집단에 비해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이해 정도나 친근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말더듬에 대한 교육 및 인식 증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ublic reactions to people who stut-ter (PWS) and to assess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reactions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226 normally fluent Korean adults. Their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 "Self-reactions to PWS," a subcategory of the Public Opin-ion Survey on Human Attributes-Stuttering (POSHA-S), were analyzed. The four compo-nents, 'accommodating/helping', 'social distance/sympathy', 'knowledge/experience', and 'knowledge source', were compared among four age groups and sex groups. The self-reac-tions to PWS score, which is the mean value of the scores of the four components, was also compa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or main effect in accommodating/helping, knowledge/experience, and knowledge sourc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sex in social distance/sympathy in that the levels of sympathy and impressions regarding PWS worsened with age increments in the male group. The self-reactions to PWS sco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teraction or main effect.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regardless of age or sex, public reactions to PWS were not positive. This was due in part to the respondents' lack of knowledge/experi-ence regarding stuttering or PWS, and could potentially influence the ability of PWS to achieve personal and/or professional fulfillment.

      • KCI등재
      • KCI등재
      • 성인과 아동 발화 내 음절반복 횟수와 단위반복수에 따른 청자의 말더듬 인식

        오선경(Seon Gyoung Oh),전희정(Hee Cheong Ch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tuttering when listening to speech that includes syllable repetitions, both from a child and an adult. Methods: Structured speech was collected from a pre-school-aged child and an adult, from which speech samples were made consisting of syllable repetitions at 1.5 times, 3 times, or 4.5 times per 100 syllables. In each of these samples, the syllable repetitions were further altered to have either one or two repetition units, for a total of six speech samples from each speaker. One-hundred and twenty participants (listen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Each group listened to a speech sample dyad, and provided their perception of whether the speaker was a person who stuttered. Results: When listening to speech samples with ‘2 repetition units+1.5 times per 100 syllables’, there were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listeners who regarded the adult as stuttering than there were those who regarded the child as stuttering. Conclusions: Listeners recognized syllable repetition in a more permissive manner when listening to the speech of a child than they did when listening to the speech of an adult.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repetitions and repetition units influenced listeners’ perception of stutt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