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릭터를 활용한 홍보매체의 만족도와 태권도장 애호도와의 관계

        전현근(HyeonKeun Jeon) 한국무예학회 2015 무예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캐릭터를 활용한 홍보매체의 만족도와 태권도장 애호도와의 관계를 실증 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서울지역에 소재한 태권도장의 관장, 수련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총 271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게 한 후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교차분석,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것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태권도장의 캐릭터 활용실태 는 출신대학의 캐릭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캐릭터의 소재는 동물이 가장 많았고 캐릭터의 내용은 태권도 동작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홍보매체에 대한 만족도는 인쇄매체, 옥외매체, 의복매체에서 변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고 미디어 매체에서는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부모와 수련생 간의 홍 보매체에 대한 만족도는 미디어매체와 옥외매체에서 차이가 발생하였고 인쇄매체와 의 복매체에서는 만족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부모와 수련생 간의 인지적 애호도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였고, 태도적 애호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넷째, 홍보매체에 대한 만족도가 인지적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옥외매체, 인쇄매 체, 미디어매체의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의복매체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태도적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쇄매체, 미디어매체, 의복매체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옥외매체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check customers' satisfaction with publicity activity media using characters and to make proof of relations between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loyalty to Taekwondojang. For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total 271 persons including masters. existing trainees, and their parents in Taekwondojang in Seoul and they all were told to answer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Later, that data was processed by crosstabul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13.0 system.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it i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in using characters in Taekwondojang. Masters in Taekwondojang used specific characters of universities they had graduated from. Secondly, it is about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publicity activity media.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ity activity media: printed media, outdoor media, and clothing media. there are, but, not the differences about satisfaction in multimedia. Thirdly, it is about satisfaction with publicity activity media between the trainees and their parents: trainees' satisfaction with publicity activity media and their parents' were different in multimedia and outdoor media, but they are not different in printed media and clothing media. Lastly, it is about the effects that satisfaction with publicity activity media has in the cognitive loyalty; outdoor media, printed media, and multimedia in seque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cognitive loyalty. Clothing media, however, were analysed not to influence the cognitive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