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정책관점에서 바라본 한국과 일본의 아동복지수당제도에 관한 연구

        전유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심화되고 있는 출산율 문제에 아동에 대한 기존의 소득적 정책에서 한국과 일본의 두 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아동복지혜택의 사회적 서비스망과 관련하여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가정에 지원책이 될 수 있는 더 나아가 현재의 저출산 고령화시대를 적극적인 방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선별적 아동복지를 시행해 왔으며 2018년 9월부터는 준보편적인 아동수당이 지급된다. 이는 인구감소 방지와 가정의육아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문재인정부의 아동복지의 큰 시사점을 주었으며,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아동수당을 도입하고 있고, 각 나라별로 다양한 세제혜택을 자국민에게 지원하고 있다. 일본 또한 아동수당제도는 아동을 양육하는 자에게 아동수당을 지급함으로써 가정생활의 안정에 기여하고 다음 세대 사회를 담당할 아동의 건전한 육성 및 자질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1972년부터 시행해왔다. 2010년 정부 차원의 비전을 제시하며 더 포괄적으로 아동수당 및 아동의 복지에 대한 인적투자와 미래에 대한 사회재생산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더불어 아동에 관련된 문제는 단순히 아동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부모와 가족체계, 그리고 지역과 국가전체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복지권의 실현을 도모해 본다. There are two pursposes of this study. One is for suggesting effectual measure in realtion to social service network of the child welfare benefit to support the Korean double-income family. And the other is for developing way to solve exisiting socu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 The government of Korea have kept the selective child welfare policy and they will begin. This stance and action got the present government of Korea realize the implication to prevent the decline in population and reduce the burden if childcare in family. Most of OECD countries have introdeced the children’s allwoance, and their citizens have favorable tax treatment. For instance, the government of Japan serves stability of family life by giving children’s allowance to the breeders. Amd the governmnet of Japan has implemented it with the purpose of bringing up child well since 1972. And the researcher is sincerely to plan fulfill of the welfare right of children. Because this study will suggest the vision of the Korea government in 2010 and facilitate the social reproduction and the welfare of children. Moreover, because the social problems in relation to the children have great effect on parnetal systm, family system, region, and whole country.

      • SCOPUSKCI등재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유림(Jun, Yu Rim) 한국복지실천학회 2020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가 직면하는 직무만족관련 일 만족 요인, 심리적 만족 요인이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서울시 및 경기도, 인천시 지역에 입소시설인 노인요양시설에 종사중인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3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의 외향성 요인(β=.16, p<.05), 친화성 요인(β=.21, p<.01), 정서적안정성 요인(β=-.23, p<.001)은 종속변수인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격유형 하위요인 중에서 외향성, 친화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정서적인 안정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외향성 및 친화성의 성격요인이 강화될수록,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완화될수록 직무성과 또한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격유형의 외향성 요인(β=.17, p<.01), 친화성 요인(β=.18, p<.01)은 종속변수인 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외향성 및 친화성 성격요인이 일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외향성 및 친화성의 성격요인이 강화될수록 일 만족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성격유형의 성실성 요인(β=-.13, p<.05), 정서적안정성 요인(β=-.45, p<.001)은 종속변수인 심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 하위요인 중에서 성실성 및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심리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성실성 및 정서적안정성의 성격요인이 완화될수록, 심리 만족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성격유형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일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단계, 2단계, 3단계 검증에서 성격5요인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3단계에서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친화성(β=.13, p<.05), 정서적안정성 요인(β=-.20, p<.001)이, 매개변인인 일 만족(β=.44, p<.001)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인 성격유형 중 친화성 요인이 강화될수록, 정서적안정성 요인이 약화될수록 매개변인인 일 만족 요인을 강화시키게 되며, 이는 최종에는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무성과는 상승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성격유형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심리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단계, 2단계, 3단계 검증에서 성격5요인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3단계에서 성격유형의 외향성(β=.15, p<.05), 친화성(β=.19, p<.01), 정서적안정성 요인(β=-.12, p<.05)이, 매개변인인 심리 만족(β=.23, p<.001)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인 성격유형 중 외향성 및 친화성 성격요인이 강화될수록,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약화될수록 매개변인인 심리 만족 요인을 강화시키게 되며, 이는 최종에는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무성과는 상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 중에서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가 사회복지 분야에서 선행연구는 전무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별 성격유형의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일 만족, 심리 만족 요인이 개인별 성격유형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검증됨으로서 성격유형과 직무만족이 새로운 연구로서의 가치를 부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sonality type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an effort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work satisfaction factor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f a psychological satisfaction factor on job performance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that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are workers who work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city of Seoul, Gyeonggi Province and the city of Incheon, and the data from 35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1, the extraversion factor(β=.16, p<.05), the agreeableness factor(β=.21, p<.01) and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β=-.23, p<.001) of the personality types exercised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at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job performance becomes better when th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personality factors of care workers are strengthened and when the emotional stability personality factor is weakened, becaus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types, th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factors affected job performance positively and because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 affected it in a negative way. Thus, Hypothesis 1 was accepted as the personality types impacted on job performance. Second, the extraversion factor(β=.17, p<.01) and the agreeableness factor(β =.18, p<.01) of the personality types exercised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that w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factors affected work satisfaction in a positive manner.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work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comes higher when their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personality types are elevated. Thus, Hypothesis 2 was accepted because the personality types affected work satisfaction. Third, the conscientiousness factor( =-.13, p<.β 05) and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β=-.45, p<.001) of the personality types exerted influence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at was the dependent variable. A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types. the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personality factors had a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comes higher when their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personality factors are weakened. Thus, Hypothesis 2-2 was accepted because the personality types affected psychological satisfaction. Fourth, a three-sta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s of work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job performance, and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1st, 2nd and 3rd stages of testing. In the 3rd stage, the agreeableness factor(β=.13, p<.05) and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β=-.20,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types and work satisfaction(β=.44, p<.001) that was the mediation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e work satisfaction factor which is the mediation variable is more reinforced when the agreeableness factor is more strengthened among the personality types that are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when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 is more weakened, and it ultimately could be said that job performance perceived by care workers themselves becomes better. Thus, Hypothesis 3-1 was accepted because work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job performance. Fifth, another three-sta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job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