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

        전영환(Y. H. Jun),이근민(K. M. Rh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3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위해 고용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효과를 실증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장애인고용단의 행정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비교집단의 오염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에 비해 퇴사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는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한 기업체가 그렇지 않은 기업체에 비해 장애인의 고용증대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고용에 효과적임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조공학기기지원 대상을 취업자에서 구직자로 확대하고, 구직상담에서 직무배치에 이르는 일련의 고용서비스 전 과정에서 보조공학기기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effect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program that has purpose to maintain and promot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 administrative data constr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KEAD) was utilized. Propensity score matching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to minish sample selection bias caused by nonrandom sampling. As a result, turnover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s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 was lower compar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did not us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lso, in terms of company, for employment promotion effect on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ompany that provid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ny did not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Finall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ere effective in the employment area was confirmed.

      • KCI등재후보

        보조공학기기의 장애인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 효과

        전영환(Y. H. Ju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의 고용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고용효과는 분석단위에 따라 기업체는 고용증대 효과를, 장애인은 고용유지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2009년에 수행된 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실태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에서는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기업 규모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300인 미만 규모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제공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장애인의 고용증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유지효과는 50-299인 규모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한 장애인이 그렇지 않은 장애인에 비해 근속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조공학기기는 대기업보다 300인미만 중소기업에서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에 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보조공학기기 지원의 고용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mployment promotion and job retention effect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Data from the survey on status of the vocational life counselor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2009 was utilized. This study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effects of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job retention in the whole samples were not founded. Thereupon, this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ny size. For the employment promotion effect, the company which provid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ny which did not provide devices in the less than 300 persons sample. For the job retention effect, worker with disabilities who us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as longer than that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did not use devices in the 50-299 persons sample, Finally,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presented.

      • KCI등재후보

        취업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의 변화형태 분석

        전영환(Y. H. Ju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취업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형태의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3차년도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준모수적 집단 중심 접근방법(semi-parametric group based approach)을 적용하였다. 분석모형은 종속변수가 보조공학기기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이분형 척도(dichotomous scale)라는 특성을 고려해 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변화 형태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보조기기 지속사용 집단, 보조기기 중간사용 집단, 보조기기 사용 급감소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다항로짓분석으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학력, 장애유형, ICF,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가 잠재계층을 결정하는 데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which are based the change patterns i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use among worker with disabilities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gender, education, disability type, disability density,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ICF: IC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ES,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on determining latents classes. This study applied Nagin"s(1999) semi-parametric group based approach to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ecause dependant variable has dichotomous scale, logit model was used.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latent classes, which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 patterns as follows; assistive device continued use group, assistive device mid-level use group, assistive device sharp decline use group.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latent classes was tested by multinomial logi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disability type, ICF, SES,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Finally, the implications based on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 보조공학기기의 장애인 고용효과

        전영환(Y. H. Ju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의 고용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고용효과는 분석단위에 따라 기업체는 고용증대 효과를, 장애인은 고용유지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2009년에 수행된 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실태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에서 는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기업 규모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300인 미만 규모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제공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장애인의 고용증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유지 효과는 50-299인 규모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한 장애인이 그렇지않은 장애인에 비해 근속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조공학기기는 대기업보다 300인미만 중소기업에서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보조공학기기 지원의 고용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당한 편의(Reasonable Accommodation)가 장애인의 취업확률 및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전영환(Y. H. Ju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정당한 편의가 장애인의 취업 확률 및 직업유지에 영향이 있는 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장애인 고용차별 실태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취업확률은 로지스틱 회귀분석, 직업유지는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취업 확률의 경우 채용 시험 이후 단계의 정당한 편의는 장애인의 취업 확률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채용시험 이전 단계의 정당한 편의는 장애인의 취업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직업 유지 영향의 경우, 모집채용 편의, 사업장 접근성 편의는 고용유지에 영향이 없는 반면, 회사 방침 변경 및 직무조정은 직업유지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장애인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직업유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적으로는 정당한 편의에 대한 사업주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Reasonable Accommodation on the Employment Probability and Job Reten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urvey on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utilized. The methodologies used in the study are logistic regression estimating job probability, multiple regression to evaluate job retention. As a result, reasonable accommodation for initial ex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employment probability. While, exam process reasonable accommod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employment probability. For job retention, recruit accommodation, workplace access accommodation were not significant on the job retention. While, company regulation and job adjus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job retention. It is necessary to be provided with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mployment and strengthening job reten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is a need to support and expand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to the employer by the policy.

      •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

        전영환(Y. H. Jun),이근민(K, M, Rh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3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위해 고용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효과를 실증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장애인고용단의 행정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비교집단의 오염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조공학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에 비해 퇴사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는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한 기업체가 그렇지 않은 기업체에 비해 장애인의 고용증대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고용에 효과적임을 실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