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권순만(Kwon, Soon-Man),전순득(Jeun, Soon-Deuk),고재욱(Ko, Jea-Ug)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5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6 No.-

        본 연구자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관리를 매개로 양질의 사회복지 서비스제공을 위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노인복지시설 178개 소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감정노동과 위험요인은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직무만족과 위험요인 간에는 부(-)의 감정노동 전체는 직무만족 전체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2.521, p<0.05). 즉 감정노동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1단계에서 감정노동은 위험용인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매개변수인 위험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독립변수인 감정노동은 직무만 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위험요인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하여 감정노동해소 방안을 적극적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ers would like to study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for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provided by social workers mediated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risk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enrolled in 178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ocial worker positions. (-) Por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studies showed a correlation exists of emotional labor and the risk factors were correlated to the presence of the positive (+).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ealth appeared to affect risk factors of (t = -2.521, p <0.05). t is full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entire section(+). That emotional labor is higher, the lower job satisfaction can see that. Results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EN Having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factors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labor in step 1 was found positive (+) effects on risk acceptance. In the second phase, part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 appeared to influence the (-). In the third step, the parameters of risk factors were affecting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i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not to affect job satisfaction. That emotional labor is a risk factor for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were seen to be fully mediated effects. Therefore, elderly welfare facilities will be actively reviewed relieve emotional labor measur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