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에 의한 사지 손상에서 사지 구제를 위한 자가정맥을 이용한 동맥 재건술의 결과

        전무헌,이영근 대한수부외과학회 202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e patients with major vascular injuries in the traumatized extremity and underwent arterial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vein grafts for limb salvage.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outcomes of arterial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vein graft in patients. Methods: From February 2015 to April 2017, a study was retrospectively analyzed 13 patients with limb injuries caused by significant arterial damage and underwent arterial reconstruction using vascular autografts for limb salvage. Such as cause, Mangled Extremity Severity Scores (MESS), ischemic time, length of the grafted vein, reconstructed arterial status, and survival statu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patients analyzed, nine patients’ injuries were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three industrial accidents, one fall down. Mean MESS was 6.2 (range, 5–8) and mean ischemic time was 12.3 hours (range, 5–25 hours). As arterial reconstruction, seven patients underwent posterior tibial artery reconstruction, three underwent popliteal artery reconstruction, two underwent anterior tibial artery reconstruction, and one underwent radial artery reconstruction; the greater saphenous vein was grafted in 12 reconstruction cases. Mean length of the grafted vein was 4.9 cm (range, 3–10 cm). All patients have salvaged injured limbs. Conclusion: Artery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vein graft is an efficient treatment method when vascular damage cannot be directly repaired during limb salvage. 목적: 외상에 의한 손상으로 사지 구제를 위해 손상된 동맥의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환자에서 자가정맥을 이용해 동맥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이에 동맥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15년 2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사지 구제를 위해 자가정맥을 이용하여 손상된 동맥의 재건술을 시행한 1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손상의 원인, Mangled Extremity Severity Score (MESS), 허혈시간, 재건 동맥, 재건에 이용된 정맥의 길이, 재건된 동맥의 상태, 그리고 사지 구제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손상 원인은 교통사고 9예, 산재 사고 3예, 낙상 1예였다. MESS는 평균 6.2점(범위, 5–8점), 평균 허혈시간은 12.3시간(범위, 5–25시간)이었다. 재건된 동맥은 후경골동맥 7예, 슬와동맥 3예, 전경골동맥 2예, 요골동맥 1예였으며, 이식에 사용된 정맥은 12예에서 대복재정맥이었다. 평균 길이는 4.9 cm (범위, 3–10 cm)였다. 전 예에서 사지 구제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외상에 의한 사지 중요 동맥 손상에서 직접 봉합할 수 없는 경우 자가정맥 이식을 이용한 동맥 재건은 좋은 치료 방법이다.

      • KCI등재

        주상골 불유합에 대한 관절경적 골이식술 및 Kirschner-강선 고정술

        이영근,전무헌,이하송 대한수부외과학회 2020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5 No.2

        Various surgical techniques, such as corticocancellous or cancellous bone graft and other vascularized bone grafting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treat scaphoid nonunion. However, open grafting with dissection of wrist capsule and ligaments damages the joint and hence can lead to increased stiffness of the wrist and hand. Arthroscopic assisted bone grafting and percutaneous fixation have advantages such as minimal surgical trauma to the scaphoid blood supply and its ligament connection and provide a thorough wrist assessment, comprehensive approach for scaphoid nonunion and its sequelae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This article brief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natomy of the wrist and scaphoid, and reviews the technique of arthroscopic bone grafting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scaphoid nonunion. 주상골 불유합을 치료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개방적 골이식 방법들이 소개되어왔다. 하지만 개방적 방법들은 수근관절막과 인대 손상을 유발해서 관절의 강직을 초래할 수도 있다. 관절경적 골이식술 및 경피적 고정술은 주상골의 혈액공급 및 주상골에 연결된 인대들에게 외과적 손상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진 방법이다. 또한 최소 침습으로 수근관절을 평가하고 주상골 불유합과 동반된 추가적인 손상을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본 종설에서는 주상골 불유합 치료에서 관절경적 골이식술이 왜 필요한지 수근관절 및 주상골의 해부학적 측면에서 알아보고, 주상골 불유합 치료에 대한 관절경적 골이식술 및 경피적 Kirschner-강선 고정술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