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좋은 수업 만들어 가기: 해석학적 질문과 대화를 통한 실행연구

        전가일 ( Ga Il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에서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실천을 하고 그 노력의 과정을 성찰한 실행연구다. 이 연구는 좋은 수업을 위해 이 연구에서 이뤄진 실천의 과정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또한 좋은 수업의 원천을 교수와 학생간의 해석학적인 질문과 대화로 보고 수업에서의 질문과 대화를 통해 학생들의 존재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연구를 위한 실천과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2013년도 1학기 강좌인 ‘유아동작교육’ 수업을 중심으로 2013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수업일지와 수업관찰자료, 학생 면담, 중간 강의평가 분석 보고서, 수요조사와 성찰노트 같은 수업 생산물 등이다. 연구결과,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실천을 시기와 변화의 흐름에 따라 ‘질문으로 학생들 만나기’, ‘대화를 통한 배움의 즐거움으로 초대하기’, ‘학생들의 눈으로 환원하기’의 세 가지로 주제화했다. 또 한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실천의 경험이 학생과 교수에게 가지는 의미를 ‘배움의 상호 텍스트성 만들기, ‘교육적 접촉과 선물’로 이해했다. 이 연구는 많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전문대학에서의 좋은 대학 수업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 본인의 수업을 통한 실천의 구체적 과정을 드러냈다는 점,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학생과 교수에게 가지는 의미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ction research implemen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in community college is to practice and examine the procedure for making good less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will describe the process of making a good lesson plan tampering with it. Considering the origin of a good lesson as the hermeneutic questions and conversa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the research tried to look into conversations within the context of lessons to identify the meaning of students`` presenc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data gathering, it was carried out by a researcher, who is currently an assistant lecturer in a community college, during the ``child movement education course`` from the first semester of March 2013 to August 2013. All the data is from the lecture notes, observation data, interviews with students, midway lecture assessment analysis report, demand survey, and self-examination output within the lessons. Actions toward good teaching and learning are categorized into 3 topics, “Meeting students with questions”, “Conversational invitation to the enjoyment of learning” and “Reducing with the eyes of students,” depending on the time and change flow. Also the meaning that the experience of action gave to students and teacher was identified as ``making learning intertextuality`` and ``pedagogical contact and gift.`` Despite its flaws, this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 in terms of executing “good lessons” in community college, exhibiting the processes of the researcher`s lessons in detail and demonstrating an effort to make good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o make it significant to students and teacher.

      • KCI등재

        장애 영유아용 스마트 디바이스 AAC 앱 사용경험을 통한 AAC 사용의 어려움과 그 의미에 관한초점집단(F.G.I.) 사례 연구

        전가일 ( Ga Il Jeon ),김호현 ( Ho Hyun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이 연구는 본격적인 장애 영유아용 스마트 디바이스 AAC 도구로 개발된 <말해주기>앱의 사용경험을 통해 장애 영유아와 가족 및 교사들이 스마트 디바이스 AAC 도구를 일상에서 대안적인 의사소통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구체적 어려움은 무엇이며, 장애 영유아와 가족들에게 있어 대체의사소통(AAC)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과연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내 유치원 학급과 통합어린이집의 교사 10인과 부모 9인이 유아용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AAC인 <말해주기>앱을 사용한 뒤 설문지 조사 및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구조 코딩한 결과, 부모와 교사가 경험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AAC 활용의 어려움은 소통체계로서의 단순함 미비, 콘텐츠의 부족, 기관생활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정적 가치판단, 높은 기회비용의 문제, 사용대상의 한정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AAC 사용의 의미는 ‘대체의사소통보다는 언어교육으로서의 용도 전환’, ‘진정한 소통에 대한 의미 찾기’, ‘소통을 위한 마지막 보루’였음을 이해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는 드물게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된 AAC 시스템의 사용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 국내에서는 이제 개발 단계에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AAC 시스템의 사용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AAC 활용의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그 사용의 의미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rough experience of <Let me tell you> application developed as a smart device-based AAC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specific difficulties when using a smart device-based AAC as a alternative communication tool in everyday lives and the meaning of using AAC device for the families. 10 teachers and 9 parents from special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F.G.I) after having experienced the Smart Device based-AAC for their children, <Let Me Tell You> App, developed by a Korean company. After the data were structurally coded, the difficulties of Smart Device based-AAC use are drawn as 1) simplicity as communication 2) insufficient contents 3) difficulties in using 4) negative valuation on Smart Device 5) high price 6) high opportunity cost. The meaning of Smart Device based-AAC use are also drawn as 1) as speech teaching not AAC 2) finding the meaning of authentic communication 3) last resort for communication.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tri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mart Device based-AAC use developed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at is still in developmental stage in Korea, and specifically examine the difficulties of Smart Device based-AAC use from the stakeholders’ points of view.

      • KCI등재

        의료화된 조산 체험의 의미 탐구

        전가일 ( Ga Il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조산 체험을 통해 의료화된 출산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다. 연구자 자신의 조산 체험을 통해 의료화 조산 경험과 그것이 여성에게 가지는 의미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자기체험적 연구이며, 궁극적으로 그 경험 속에 있는 현존재의 존재의미를 묻고자 하는 연구라는 맥락에서 존재론적 탐구이다. 이 연구는 의료화된 조산 경험과 그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 일화(anecdote)라는 글쓰기 형태에 주목하여 조산 체험의 과정을 7개의 일화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글 자체가 조산 체험의 과정을 오롯이 살려내는 일종의 연행적(performative) 작업이 되도록 노력했다. 연구 결과 조산체험의 과정은 병원 찾기 과정에서의 거부당함(“그래도 오시겠어요?”), 입원 과정에서의 홀로됨(“이제 그만 모두 가주세요.”), 출산 결정 과정에서의 소외(“그냥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출산 순간의 물화(“그런데 배가 왜 이렇게 작아?”), 아기와의 만남에서의 분리(“절대 만지지 마세요”)으로 주제화되었다. 또한 이 과정 속에서 여성이 경험한 의료화 출산의 의미는 ‘권력화된 의료세계에 내던져진 소외’와 ‘배와 자궁으로 환원되는 신체의 물상화’ 마지막으로 ‘고통의 변증법인 책임감’으로 이해하였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자 자신의 조산 체험을 일화쓰기라는 독특한 체험 사례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여성의 삶에서 의료화 출산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phenomenological self lived-experienc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experience of medicalized childbirth based on the researcher`s own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childbirth. This study is also an ontological inquiry in the context that it ultimately asks the meaning of existence of Dasein in the experience. Considered to be the appropriate way to reveal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medicalized childbirth taken through the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birth, anecdote was used as writing form. The process of the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childbirth was divided into 7 anecdotes. This attempt is to make this research a performative task that entirely revealed the researcher`s premature childbirth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lived-experience was thematized into ‘rejected while searching for a hospital(“Do you still want to enter?”)’ ‘separated while being hospitalized(“Please leave, everyone”)’ ‘alienated while making birth decision(“Leave it to an expert”)’ ‘objectized at the moment of birth(“Why is the stomach so small anyway?”)’ and ‘separated from the baby(“Never touch the baby”).’ The meanings of the medicalized childbirth a woman experienced were comprehended as ‘alienation, thrown’ ‘versachilchung of body reduced to stomach and womb’ and ‘dialectical responsibility of pain’ Despite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intends to help understand the meaning of medicalized childbirth experience on the lives of women by revealing the researcher`s own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childbirth in the form of anecdote.

      • KCI등재

        관객 없는 지휘의 자유 :유아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가일 ( Ga Il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연구의 유일한 참여자인 슈의 혼자놀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이다. 혼자놀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혼자놀이를 발달의 미성숙과 연결시킨데 반해 이 연구는 참여자 슈의 혼자놀이를 통해 혼자놀이 현상의 속성과 혼자놀이 체험이 유아에게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슈의 혼자놀이 경험을 각각 시간, 공간, 관계, 몸의 네 가지 실존체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는 혼자놀이를 통해 재미와 차이를 생성하는 시간성, 놀이 속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공간,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 창조적으로 모방되는 관계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현상적 특징을 통해 참여자의 혼자놀이 경험의 의미를 살핌으로서 자유와 몰입이라는 혼자놀이의 근본적인 속성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아이들의 놀이에 관한 또 다른 질문들을 생성하며, 우리 삶의 여러 현장에서 혼자 놀고 있는 “한 아이”를 이해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n solitary play experienced by Sue, the only participan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solitary play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solitary play to children in contrast to the view of solitary play as developmental immaturity by existing studies. For this reason, qualitative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I analyzed solitary play experience into four existentials which are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s: Sue has experienced that the time generates interest and difference; the space is recreated in the play; the body is free from other`s eyes, and the relationship is creatively imitated.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fundamental attributes of solitary play; freedom and immersion. Through this study, more questions on children`s play can emerge and we can understand "only child" who plays alone in many fields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