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0년대 문학에 나타난 도시적 삶과 공간

        장희가 ( Jang Hee-ga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0 한국문화기술 Vol.28 No.-

        해방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성장해 온 도시는 한국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며 그 자체로 한국 사회의 명암을 압축적으로 제시하는 중요한 기호다. 따라서 현대인의 삶을 깊이 있게 통찰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대한 탐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1980년대 이후 도시가 보편적 삶의 공간으로 자리 잡으면서 문학에 도시성이 내재화되면서 2000년대 문학에 재현된 도시공간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해석은 새로운 접근이 요청된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는 2000년대 문학작품에 나타난 도시적 삶과 공간을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나타나는 개성 상실과 순환적 세계인식의 문제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2000년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도시와 도시민의 삶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게오르그 짐멜과 발터 벤야민의 도시 이론들을 원용하여 분석대상작의 공간들을 ‘개성 상실의 고독한 공간’과 ‘순환의 공간’으로 분류하였고 그에 나타난 현대 사회의 특성과 도시민들의 사회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도시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거리두기’와 ‘속내 감추기’, ‘지성화’와 ‘둔감함’이라는 특성을 내보이며, 2000년대 한국문학은 이 도시민의 특유한 고독을 재현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도시는 화려한 볼거리들과 그것들이 만들어내는 환등상으로 가득 찬 곳으로 나타나지만, 도시생활과 냉정하게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그것들을 전유하는 인물들은 공통되게 개성을 거세당한 채 물리적으로는 가깝지만 정신적인 거리를 좁히지 못하고 불완전한 산책자의 형상으로 등장한다. 2000년대 문학에 나타난 가난한 도시민들은 보다 나은 삶으로의 계층이동을 욕망하면서도 그것이 환등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불완전한 산책자로, 환등상에 홀린 군중이 되지도 못하고, 철저한 관조자도 되지 못한 채 도시를 산책하며 끝없이 순환하는 부조리한 세계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2000년대 한국문학작품에 나타난 도시적 삶과 공간이 보여주는 도시민의 문제와 세계 인식이 우리 시대를 반영하는 독특한 창작방법론이자 실천적 기법이라는 점을 본고를 밝히고 있다. A city that has grown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1930s is an important symbol of the light and shade of Korean society. It is also a must-explore space for insight into lives of modern people.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is a cit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on urban issues. In fact, studies have been reduced since the 1990s when the city has become a universal place of life. In literature, the space called a city with more than a simple background needs to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to analyze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the main textbook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pproaches the problem of loss of identity and the cyclical perception of the world by analyzing urban life and space shown in literary works of the 2000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urban theories of Georg Simmel and Walter Benjamin as a way of analyzing lives of urban and urban. Through this, the spaces shown in each literary work were categorized as ‘unanimous space of solitude’ and ‘space of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social perception of urbanites in various space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modern people living in cities, the center of money economy, as Simmel theorized, had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t a Distance,” “reserve,” “intellectualization”, and “Bluntness,” while urbanites were physically obsessed with loneliness that was stronger than ever, physically close but spiritual. Also, urbanites became strollers who wanted to move to a better life but realized that it was nothing more than a fantasy. Walter Benjamin, while keeping his distance from city life, saw those who passed them on as flaneurs.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flaneurs in literary in the 2000s recognized the absurd world in which they walked endlessly through the city, unable to become a phantasmagoria or control their ill-conceived fantasies due to their poverty. Through this analysis, we were able to learn about problems of urbanites and their world perceptions that urban life and space in literary works showed. We expect a wider understanding of modern urbanites through follow-up studies of more diverse urban lifestyles and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