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센다이(仙台)시 교외 지역 주민들의 거주지에 대한 인식

        장양이 ( Yang Yi Ch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3

        Urban development has changed in light of the emerge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ne of its typical models, the compact city, reduces suburban areas by revitalizing central urban areas. Japan has been influenced by the compact city model because of its decrease in population and its aging society. Sendai city is a good example of this. It indicates the shift in urban development policy by accepting the concept of the compact city. This research examines the direction of Sendai`s suburban development by surveying residents of a suburban housing area in Sendai city via a questionnaire survey. I selected Hagurodai and Katsura as the suburban survey areas because of their difference in amenity maintenanc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two housing area dwellers generally desired settling their housing area. For settlement condition Hagurodai and Katsura dwellers required commonly for purchasing food reserves, accessing medical services, and public transportation.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amenity maintenance is necessary for improving sustainability in suburban area.

      • KCI등재

        한·일 중학교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내용 비교 분석

        장양이 ( Yang-yi Ch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내용에 대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교육과정상의 편성, 도시 관련 내용의 등장 빈도, 교과서 서술 내용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지리 영역은 주제 중심이며 일본은 지역 중심으로 되어 있어 편성 방식이 다르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는 도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별도의 단원이 존재하며, 일본은 지역별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도시의 등장 빈도는 도시 관련 문장과 도시명의 등장 빈도로 파악하였다. 도시 관련 문장의 경우 우리나라는 도시 단원, 일본은 간토 지방 단원에 집중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의 내용 집중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도시명의 등장 빈도는 두 나라 모두 대륙별로 유럽과 아시아의 도시가 높은 편이었지만, 일본 교과서의 도시명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났다. 서술 내용에서 우리나라는 핵심적인 내용이 효율적으로 정리되어 있지만, 일본은 지역별로 비슷한 현상에 관한 서술이 중복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 교과서 문장 서술에 여러 사례 도시가 포함되고, 관련 자료도 비교적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This study compares the contents of urban geography in the middle school Geography section of Social Stud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comparison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urban-related contents, and descriptions in the textbook. Korea has adopted a subject-oriented curriculum, whereas Japan is more region-oriented in its approach. Moreover, Korea has a separate chapter that deals directly with urban geography, while Japan included these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regional explanations. The frequency of urban-related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iterations of urban-related sentences and city names. Although the frequency of urban-related sentences is concentrated in the urban chapter in Korea and in the Kanto chapter in Japa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ent in Korea is overwhelmingly high. Notably, the appearance of European and Asian city names is high in both countries; however, there are more diverse city names in Japan. Finally, for the descriptions, Korea is efficiently organized in this aspect, having included key contents. By contrast, Japan’s descriptions tended to overlap when similar phenomena existed in different regions. In Japan, various case citi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s, and the related data presented are relatively diverse.

      • KCI등재

        중국 천진에 대한 재외한국학교 학생들의 지역 인식: 천진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양이 ( Yang-yi Chang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1

        세계화 시대에 따라 해외로 진출하는 동포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자녀를 위한 교육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재외한국학교는 외국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현지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교육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천진에 거주하는 천진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천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중학교 1, 3학년 및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천진의 이미지에 대하여 건축물이나 특정 지역과 같은 인문 환경 요소 중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저학년 학생일수록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소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고학년일수록 장소감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심상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주로 지점이나 위치 등의 점(點) 형태로 공간을 인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평소 생활은 한인촌 내부에서만 이루어지는 폐쇄적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심상지도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재외한국학교 학생들의 현지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를 고려하여 지리 수업을 계획한다면 학생들에게 현지에 대하여 다양한 지식을 제공하는 수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An overseas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as the Korean population overseas increases with globalization.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in Tianjin is an essential institution where Korean children can learn about local areas. This research investigated Korean students’ understanding of Tianjin. With the target audience as students in the 7th, 9th, and 11th grades, the methods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revealed four main results. First, the students had high images in humanities factors such as certain buildings and town-names. Second, the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showed high levels of cognition of the generally well-known places, whereas students in the higher grades had a stronger geographical sensitivity. Third, the students’ image maps showed that their regional understandings were conceived based on dots with locations and spots. Finally, the students’ daily life had been extremely limited in Korean towns, and this tendency was reflected in their image maps. These results support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ianjin and are useful for planning geography classes to teach the overseas Korean students about various knowledge of their loc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