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외적 보상 요인과 교사의 교직 만족 및 몰입과의 관계 : 광주, 전남 초·중등 교사를 중심으로

        장래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내·외적 보상 요인이 광주, 전남 초?중등 교사들의 직주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했다. 그들의 직무 만족도와 몰입도는 각각 M=3.97, M=3.70 이었다. 직무 만족에 대한 5 개의 내재적 요인-성취, 일 자체, 책무성, 인정, 성장 가능성 등과 5개 외재적 요인-직업안정, 직무환경, 보수, 감독기술, 인간관계 등의 통합적 영향력은 R=.563, R²=.317로 유의했다. 이 10개 요인들의 통합은 직무 만족 변화량의 31.7%를 설명하고 있었다. 상대적 중요성(β)은 일 자체, 성장 가능성, 보수 순이었다. 그 통합이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도 R=.759, R²=.576로 유의했다. 이들 통합은 직무 몰입의 변화량에 대하여 57.6%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상대적 중요성은 일 자체, 성장 가능성, 인간관계, 성취 순이었다. 나머지 요인들의 중요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교사들의 직무 몰입도가 만족도를 밑도는 것은 그들이 직무에 만족한 만큼 몰입하지 않는 것이므로 그들이 교육 활동에 보다 몰입할 수 있도록 내·외적 조건을 정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 그들의 직무 만족을 위해 일 자체, 성장 가능성, 보수를, 직무 몰입을 위해서는 일 자체, 성장 가능성, 인간관계, 성취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는 보상 전략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학습동기 요인들과 학습전략 또는 자기핸디캡경향 사이의 인과구조

        고영춘,장래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used to assess a model of science learning strategy (or self-handicapping tendency) based on goal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during science lessons from two middle schools. In the optimal model Ⅱ-2 of this research, the learning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use of self-efficacy, achievement need, and learning strategy.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need.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but presen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self-handicapping tendency and entity theory of intelligence. The achievement need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The entity theory was negatively related to achievement need but represen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self-handicapping tendency. Th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strategy Aside from indirectly affecting the learning strategy through self-efficacy. the learning goal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strateg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affected the learning strategy directly but was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entity theory. The learning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achievement need were positive predictors of self-efficacy, but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a negative predictor. The learning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were positive predictors of achievement need, but the entity theory was a negative predictor.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a negative predictor of entity theory. The learning goal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predictors of learning strateg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entity theory were positive predictors of self-handicapping tendenc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learning strategy or self-handicapping tendency in science are discussed. Alth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of the motivations to learn and learning strategies in science education are established as mentioned above, a more systematic study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and to lower self-handicapping tendency in different courses may be needed. 본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또는 자기핸디캡경향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각 관계된 변인들 간의 경로모형을 연구모형 I과 연구모형 II의 기본모형으로 설정했다. 이 연구모형의 관점에서 과학교과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정밀한 분석을 통해 학습전략 또는 자기핸디캡 경향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모형 I과 연구모형 II 중에서 연구모형 II가 채택되었고 이 모형의 주요한 통계적 적합도 지수들을 확인하여 분석하면서 경로를 추가했고 1차 수정한 결과, 연구모형 II-1의 구조방정식모형이 본 연구의 완전모형으로 선택되었으나, 이 모형을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p≤.05의 경계값인 |±1.96| 보다 작은 값인 12개의 경로들이 제거됨으로써 연구모형 II-2의 구조방정식모형이 본 연구에서 최종적인 최적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즉 목표지향성의 변인이 ‘자기효능감, 성취욕구 및 지능신념’의 변인을 매개로 하여 ‘학습전략 혹은 자기핸디캡경향’으로 향하는 연구모형 II-2의 구조방정식모형이 본 연구에서 최종적인 최적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이 채택된 모형은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및 성취욕구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나 수행회피목표는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숙달목표와 자기효능감은 학습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수행회피목표와 지능신념이 자기핸디캡경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아울러 학습전략은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지능신념과 성취욕구’의 변인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자기효능감 및 직접적인 숙달목표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자기핸디캡 경향은 수행회피목표의 변인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지능신념 및 직접적인 수행회피목표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았다.

      • KCI등재

        직무 만족 및 불만족 요인이 중학교 기술담당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성일,장래찬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5 satisfaction and 5 dissatisfaction factors on technology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from 122 technology teachers of the junior high schools in Chon-nam province, were analyzed and tes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satisfaction factors and dissatisfaction factors on job satisfaction. Pearson r,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on p<.05 or more by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technology teachers was M = 3.85 at Likert scale. Their satisfaction levels were 3.76 with compounded satisfaction (motivation) factors and 3.28 with compounded dissatisfaction (hygiene) factors. The former is .48 higher than the latter. In the satisfaction levels of individual factors, responsibility was first, work itself second, and supervision skill subsequently went down.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se factors were higher than neutral(M = 3.00).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levels of payment and work environment were a little lower than neutral. The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atisfaction factors than the dissatisfaction factors R = .726 and R² = .527 were found betwe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combination of 10 factors-achievement, work itself, responsibility, recognition, opportunity for growth, recognition, job safety, work environment, salary, supervision skill, human rel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ccountable for the change of the dependent variable-the job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각각 5 개의 만족 요인과 불만족 요인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 했다. 이를 위해서 전남 지역의 중학교 기술담당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별, 학교 위치 등의 배경 요인과 직무만족을 설문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r, t 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유의도 수준 p < .05 이상에서 분석, 검증했다.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 평균은 Likert 척도에서 M = 3.85로 나타났다. 만족요인 들에 대한 그들의 만족도는 M=3.76, 불만족 요인들에 대한 만족도는 M=3.28로써 만족요인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개별적인 요인들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책무성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일 자체, 감독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만족도 수준은 모두 중도인 M=3.0보 다 높았다. 그러나 보수와 직무환경 요인은 중도보다 조금 낮았다. 교사들은 불만 족 요인보다 만족 요인에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10개의 만족-불만족 요인들(성취, 일 자체, 책무성, 인정, 성장 가능성, 직업안정, 작업환경, 보수, 감독기술, 인간관계)의 조합은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 중 만족 요인들의 조합이 불만족들의 조합보다 더 높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