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 분절 급상승 심근경색 환자들의 단기 재발 사망 예측

        임광현(Kwang-Hyeon Lim),류광선(Kwang-Sun Ryu),박수호(Soo-Ho Park),손호선(Ho-Sun Shon),류근호(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10

        현대 사회는 서구화된 식생활 패턴과 흡연, 비만 등의 원인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급성심근경색은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해외 선진국에서는 임상생리학적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자국민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급성심근경색의 발병 및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에 적합한 급성심근경색 예후 진단 예측 시스템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KAMIR(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 받은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예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ST분절 급상승 심근경색 재발 환자들의 단기 사망률 예측모델을 찾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의해 추출된 속성 집합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원시 데이터 보다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인공신경망의 경우 다른 분류기법들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ST 분절 급상승 심근경색 재발 환자들의 단기 사망률을 예측함으로써 향후 고위험군 환자들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cardiovascular disease has increased by causes such as westernization dietary life, smoking, and obesity. In particular, th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occupies 50% death rate in cardiovascular disease. Following this trend, the AMI has been carried out a research for discovery of risk factors based on national data.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agnosis minor suitable for Korea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classifier for short-term relapse mortality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 based on prognosis data which is supported by KAMIR(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rough this study,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ANN i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predicting the short-term relapse mortality of patients who hav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lso, data set obta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highly efficient performance than existing data set. So, it is expect to contribute to prognosis estimation through proper classification of high-risk patients.

      • KCI등재

        소프트웨어 신뢰도 품질측정 방안에 관한 연구

        류광선(Kwang-Hyeon Lim),손호선(Kwang-Sun Ryu),류근호(Ho-Sun Shon),임광현(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12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국제 표준인 ISO/IEC 9126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이루는 품질 특성과 부특성들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 표준에서는 신뢰성의 부특성인 성숙성, 오류허용성, 복구성, 준수성에 따라 품질평가 항목이 메트릭으로 제시되어져 있다. 그러나 제시되어 있는 이 신뢰성 평가 항목은 수리적인 어려움과 데이터 수집에 따르는 문제점으로 인해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품질 속성별로 구체적인 테스트 기법을 개발하여 품질을 측정 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즉,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발 방법인 생명주기별 테스트 활동과 기법을 정리하여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해당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가장 중요한 품질특성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세부 평가항목에 대해 활용 가능한 테스트 기법과 체크포인트를 적용함으로써 품질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방법은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신뢰도 품질측정 방안으로써 ISO/IEC 9126의 신뢰성 평가항목이 내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International standard for software quality evaluation, ISO/IEC 9126 defin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b-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quality of the software. Also, in this standard, the quality assessment items are presented in metrics based on maturity, fault tolerance, recoverability and compliance which are sub-characteristics of reliability. However, this reliability assessment items which are presented are not applied now due to the mathematical difficulties and the problems caused by collection of data.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introduces measures to develop a specific test technique by quality attributes and to measure the quality. In other words, the detailed guidelines are presented to be utilized as a standard by summarizing test activities and techniques by each development life the most commonly used. The SW quality results are derived by assigning weights to software in order of the most important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software using checklist that can be easily utilized and applying test technique that can be utilized for detailed evaluation items and checklist. This improves problems that include reliability assessment item of ISO/IEC 9126 as the measures to measure new reliability quality of software.

      • KCI등재

        A Design of Feature-based Data Model Using Digital Map 2.0

        류근호(Cheng Hao Jin),이훈(Hyeong-Soo Kim),김형수(Xun Li),김성호(Keun-Ho Ryu),임광현(Kwang-Hyeon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7

        공간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날로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공간 객체들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게 되었다. 지금까지 수많은 공간데이터 모델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모델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런 데이터 모델들은 단지 특정된 기능을 위해 구축되었거나 혹은 구축은 용이하지만 효과적인 관리가 어렵고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치지도 포맷은 도엽기반으로 되어 있어 구축은 용이하나 데이터 활용이어렵고 대부분의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도엽기반의 수치지도2.0에 기반한 객체기반의 연속 데이터 모델을 구축함으로서 모델 구축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관리하기 편리하고 많은 응용분야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데이터 모델은 도엽단위가 아닌 객체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갱신비용이 낮고 신속한 갱신이 가능하다. 또한 지형지물들 사이의 연관관계에 의하여 자동 검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갱신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데이터 모델의 적용성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기존 데이터 모델들로 표현하기 어려운 객체기반 관리시스템의 특성들에 대하여 제안된 모델이 효율적으로 적용가능 하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검증하였다. In With increase of a demand on the spatial data, the need of spatial data model which can effectively store and manege spatial objects becomes more important in many GIS applications.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e spatial data model. Several data models were proposed for some special function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s. Digital Map is one of spatial data model which is being used in Korea. The existing Digital Map is based on the Tiles. This approach needs more cost in its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based seamless data model with Digital map 2.0 which is based on Tiles. This model can be easily constructed and managed in the large databases so that it is able to apply to any systems. The proposed model u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features to correct updated data and the Unique Feature IDentifier(UFID) also makes system to search and manage the feature data more easily and e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