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취약계층과 안전계층 노인에서 우울증상과 인지기능 저하가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훈(Kyung Hoon Suh),최경화(Kyung-Hwa Choi),황재연(Jae Yeon Hwang),임경미(Kyung Mi Yim),전영주(Yeong Ju Jeon),김형준(Hyung Joon Kim),한창환(Chang Hwan Han),류성곤(Sung Gon Ryu)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5 사회정신의학 Vol.20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인구 집단에서 취약성에 따라 우울 증상과 인지 장애가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방 법 : 총 347명의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모집하여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정보, 가족관계, 건강 상태, CAGE 점수, 스트레스 정도,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인지 장애와 자살 사고는 각각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 자살생각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결 과 : 취약 계층에서 자살사고의 유병률은 18.5%, 안전 계층에서는 8.2%였다. 취약계층에서의 우울 증상은 자살사고와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 6.1, 95% confidence interval : 1.93 to 19.33). 결 론 : 본 연구에서,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에 있는 취약 계층의 노인이 안전 계층의 노인에 비해 자살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이 결과는 미래의 정신 보건 정책이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에 있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중요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on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population, according to vulnerability. Methods : A total of the 347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and information on their sociodemographics, family relationships, health status, CAGE (Cut down, Annoyed, Guilty, Eye-opener) scores, stress levels, and score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Cognitive impairment and suicidal ideation were evaluated by using the Mini Mental Status Exam-Korean version (MMSE-K) and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respectively. Results :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in the vulnerable group was 18.5% and in the secure group was 8.2%. The pres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vulnerable group wa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Odds ratio : 6.1, 95% confidence interval : 1.93 to 19.33).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in the vulnerable group consisting of low-socioeconomic status elderly individual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afety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ture mental healthcare policies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with low-socioeconomic status.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환자와 접촉한 후 격리된 병원 근로자에게서 나타난 격리 방법에 따른 정신증상의 차이

        김형준(Hyung Joon Kim),임경미(Kyung Mi Yim),황재연(Jae Yeon Hwang),성수정(Su Jeong Seong),박지원(Ji Won Park),손경훈(Kyung Hoon Son),전영주(Yeong Ju Jeon),한창환(Chang Hwan Ha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연구목적 : 유행성 감염질환 발생 시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병원 직원들은 우울, 불안, 급성 스트레스 장애 등 정신건강문제를 겪을 수있는데, 특히 격리된 직원의 경우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병원 직원의 격리방법에 따라 정신건강문제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정신증상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유행 시, 감염환자와 접촉한 병원 직원들은 집이나 병원 내 격리 병실에서 격리되었다. 서울의일 종합병원에서 격리되었던 병원 직원 전수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는 MERS 환자에게 노출된 지 약 1달후, 격리가 해제된 지 약 2주가 지난 시접에 진행되었으며, 인구학적 정보 및 격리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문항과, 우울, 불안, 급성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한 다음 설문이 포함되었다: 1) 환자 건강 질문지-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2) 상태-특성 불안 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3) 스탠포드 급성 스트레스 반응 질문지(Stanford Acute Stress Reaction Questionnaire, SASRQ). 결 과 : 거주지에 자가 격리되었던 군에 비해, 병원 내 격리 군에서 유의한 우울증상(PHQ-9≥10점)을 더 많이 보였고(19.7% vs 70.0%, p< 0.001), 급성 스트레스 장애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7.3% vs 25.0%, p=0.014). 우울 증상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학적 요인 등을 보정한 회귀분석 결과, 병원 내에 격리될 경우(OR=6.342, 95% CI=1.853-21.708, p=0.003), 그리고 격리 기간이 길수록(OR=1.153, 95% CI=1.036-1.285, p=0.009). 유의하게 우울증상의 위험이 높았다. 결 론 : 병원 내 격리 방식과 긴 격리기간은 우울증상의 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내 격리 시, 격리 후 정신건강문 제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중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면밀한 관찰과 적절한 격리방식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During the 2015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utbreak in Republic of Korea, health care workers (HCWs) that had contact with infected patients were quarantined, either at home or within a hospital quarantine ward. The current study aimed to compare psychiatric morbidities of HCWs quarantined in different locations.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ll 146 quarantined HCW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Republic of Korea, about a month after exposure to a MERS patient and about 2 weeks after release from quarantine. Collected data included demographics and responses to the following instruments to assess depressive symptoms, anxiety, and acute stress, respectively : 1)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2) Spielberger’s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3) Stanford Acute Stress Reaction Questionnaire (SASRQ). Results : Hospital quarantined HCWs were more depressive (p<0.001), more likely to be diagnosed with acute stress disorder (p=0.014).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being hospital quarantined [Odd ratio (OR)=6.342, 95% CI=1.853-21.708, p=0.003], and between depression and longer quarantine duration (OR=1.153, 95% CI=1.036-1.285, p=0.009). Conclusion : Hospital quarantined HCWs were likely more depressed and having acute stress disorder. Being hospital quarantined and longer duration of quarantin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Within-hospital quarantine should be carefully installed and closely monitored to minimize psychological distress and maximize chance of timely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