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

        이후연(Lee, Hu-Yeon),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는 농촌지역 남녀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파악하고, 자기존중감, 불안 및 통제신념과 같은 사회심 리적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북도의 농촌지역 4개 군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중학생 630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의 분포를 보면 「중독위험군」이 24.1%를 차지하였다. 또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스마트폰사용 특성뿐만 아니라 자기존중감, 불안, 내적통제신념 및 외적통제신념과 같은 사회심리 적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키며, 내적통제신념을 향상시 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에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various related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life characteristics, school life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factors(self esteem, anxiety, locus of control)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given to 630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from May 1st to 31th, 2014.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smartphone addiction group among all subjects was 24.1%, and smartphone addiction is so complicatedly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chool life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to a greater extent, by self esteem, anxiety and locus of control. Therefore the effective strategy for decrease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quires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psychosocial factors.

      • KCI등재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이후연(Hu-Yeon Lee),백종태(Jong-Tae Baek),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그의 관련 요인을 명확하게 밝히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서 5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0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부터 8월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각 독립변수에 따른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분포를 알아보고, unconditional logistic model을 이용하여 각 독립변수마다 건강군에 대한 비건강군의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분포는 건강군이 67.2%, 비건강군이 32.8%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적인 부자유스러움과 IADL의 저하가 주관적 건강상태의 악화와 가장 큰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직업이 없고, 생활비를 정부로부터 보조받으며, 친척과의 접촉빈도가 낮고, 불안감이 있고,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낮고, 일상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군에서 주관적 건강감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신체적인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주변의 사회적 지지나 사회 심리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reas. The study subjects were 390 person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had lived more than 5 years in D city. Interviews from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rom June through August 2016. The distribution of self-rated health status was rated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with odds ratio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calculated using unconditional logistic models. As a result, 67.2% of the study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ere healthy, whereas 32.8% were unhealthy.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isability and lowered IADL greatly lowered self-rated health status. The group without an occupation, living expenses from governmental subsidies, frequency of relative contents is seldom, anxiety is high, subjective sleep quality is low, satisfaction of daily life is low, had low levels of self-rated health status.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is closely related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 KCI등재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모형의 검증

        이후연(Hu-Yeon Le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공분산구조분석을 이용하여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C시에 소재하고 있는 여자고등학교 학생 68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ver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관련변수들에 대한 우울수준의 평균치 비교 및 Pearson상관분석에 의한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우울수준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우울수준에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불안이었고, 그 다음으로 학업스트레스, 대인의존행동특성의 순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여자고등학생의 우울수준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절망감과의 인과관계가 성립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여자고등학생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우울 중재 프로그램개발에 학업스트레스, 불안 및 대인의존행동특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anxiety, interpersonal dependency, and hopelessness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level of depression. The study subjects were 684 students attending an all-female high school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etween November 1st, 2016 and December 31st,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ver. 21.0) program. The mean values of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wereobtain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all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in the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academic stress, anxiety, interpersonal dependency, and hopelessness. Thus, the level of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academic stress, anxiety, interpersonal dependency, and hopelessness.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on depression was the anxiety factor, followed by interpersonal dependency and academic str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stress, anxiety, interperson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hopelessnes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ould appear to be efforts to decrease their academic stress, anxiety, and interpersonal dependency.

      • KCI등재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련성

        이후연(Hu-Yeon Lee),백종태(Jong-Tae Baek),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 상자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를 553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에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와 한국판 다차원피로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 험 스트레스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 군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피로수준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및 주관적 건강상태. 수면시간, 커피음용 횟수, 외래진료경험 유무, 직장생활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7%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규 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tigue and its association with job stress among male workers engaged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study subjects were 553 male workers under 50 member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study surve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and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FS) during April,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risk fatigu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risk group of job stress than in the normal group of job stress. Fatig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The odds ratio of the high risk fatigue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igh risk group of job stress than in the normal group of job stress. The factors of influence with explanatory powers of 27.7% on fatigue included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subject health status, sleeping time, drinking coffee, job tenure, shift work, visiting out-patient department, sense of satisfaction in job life, and job stress. Fatigue was associated with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related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 KCI등재

        일부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우울수준에 관련된 요인

        백종태(Jong-Tae Baek),이후연(Hu-Yeon Le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노인들의 우울수준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도시지역 노인 3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자의 우울수준 평균 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혼자 사는 군에서, 월수입이 낮을수록, 생활비를 정부로부터 보조 받는다는 군에서, 만성질환이 있다는 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군에 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에서, 외출 빈도가 낮을수록,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ADL, IADL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군에서,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도가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조사 대상 노인들의 우울수준 (CES-D)은 ADL 및 IADL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수준 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력, 월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ADL, 자아존중 감 및 사회적 지지 순이었으며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54.1%이었다. 따라서 이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노인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2015 to August 31, 2015 of 386 elderly people in urban areas. The mean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s of higher age, lower educational level, living alone, having a lower monthly income, relying on government subsidy for their living expenses, having a chronic illness, lower state of subjective health, without regular exercise, poorer subjective sleeping time, lower frequency of going out, irregular eating habits, depending on some level of help for their ADL and IADL, and having lowe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e depressive symptoms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ADL and IADL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aningful variables related to their depressive symptoms were their education, month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ADL,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lso, according to the variables was 54.1% of depressive symptom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actice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as well as social support, is required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 KCI등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백종태(Jong-Tae Baek),이후연(Hu-Ye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경로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도시 4개의 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원 486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5일부터 1월 25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상담원의 우울수준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이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우울수준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 우울수준에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은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있었고,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수준을 낮추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콜센터 상담원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추고,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정신건강 중재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level of depression associated with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f call center representatives. The survey subjects were 486 representatives working in four call centers in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self-address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5th to 25th, 2017.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ression level of the representat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groups and higher in the low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ups.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th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had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whil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egatively influenced.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Therefore, to reduce the depression level of call center representative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well as to have a mental health mediation plan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일부 제조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박승경(Sung-Kyeong Park),이후연(Hu-Yeon Le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내용(직무의 요구도, 직무의 자율성) 및 직장의 사회적지지(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우울경향이 있는 자(CES-D 점수 16점 이상)는 21.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장의 사회적지지도별 CES-D 점수는 상사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CES-D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S-D 점수에 대한 설명력은 업무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이 추가됨에 따라 18.4%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상사의 지지도와 동료의 지지도가 추기됨에 따라 14.1%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업무의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epressive symptoms and to determine their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content and social support of manufacturing male workers. A total of 428 male workers were surveyed from July 1 to August 31, 2017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the results, the rate of the depression group was 25.1%. In terms of the CES-D scores by job stress contents, CES-D scores were higher in the high job demand group than in the low group and higher in the low job control group than in the high group. In terms of CES-D scores by social support, CES-D scores were higher in the low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group than in the high group. CES-D scor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demand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control,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In term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er job demand was associated with lower job control, and lower support of supervisors and coworkers gave high depression scores. Explanatory power for depression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18.4% according to job demand and added job controls.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14.1% with the support of supervisors and coworker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is highly correlated with job demand, job control, and support of supervisors and co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