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의 자연환경규제 인식유형에 따른 규제순응 차이에 관한 연구

        안승호 ( Seung Ho Ahn ),채명기 ( Myung Ki Chai ),이헌재 ( Hun Jea Lee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2 유통정보학회지 Vol.15 No.1

        최근 자연환경 보호 및 개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를 공급망에서 반영하기 위한 유통산업의 역할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통산업에서 자연환경 보호와 관련하여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라는 사회의 요구는 자연환경 규제와 관련된 제도적 환경의 변화라고 보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의 방식으로 규제의 순응을 고려할 수 있으며 순응을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 보는 관점을 제시한다. 기업의 내부적 요소로서 자연환경 규제에 대한 기업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 유형이 기업의 대응 방안의 선택 즉 규제 순응에 대한 의사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 사회적 책임의 정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자연환경규제에 대한 기업의 순응과의 관계, 자연환경규제에 대한 기업 인식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실증적 연구 부분에서 자연환경규제에 대한 기업의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자 사회과학분야의 문헌연구와 실제 담당 경영자와의 현장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조사 결과들을 종합하여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변수를 파악하고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 항목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설문 항목을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로 군집분석을 시행하여 규제 인식의 유형에 따라 기업을 분류하였고 이들 집단 간의 환경규제 순응의도에서 차이가 나는 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자연환경 규제에 대한 인식은 경제적 인식, 사회적 인식, 그리고 규범적 인식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아울러 환경규제 인식 유형에 따라 구분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율규제 및 강제규제에 대한 순응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자율규제 및 강제규제와 관계없이 가장 높은 순응의도를 보이는 집단은 사회적 인식을 보이는 기업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인식을 보이는 집단은 가장 낮은 순응의도를 보였다. The Korean general publics are more interested in the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role of distribution industries becomes more important in improving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issues in the contex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CSR) and compliance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nstead of the normative and technical approaches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issues as the corporate responses to the chang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e study identified the nature of CSR,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types of corporates` regulatory perceptions. For the empirical study, the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to classify the types of perceptions.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compliance levels of firms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were influenced by types of corporation`s regulatory perception(normative, social and economic) and regulation types(self regulations and enforced regulation). The firms which have social perception tended to show a higher compliance level with self-regulation than the firms which have other types of perce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