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붓다와 그리스도의 죽음이 구현된 2~6세기 도상 고찰 -간다라 열반도(涅槃圖)와 십자가책형도(十字架磔刑圖)의 초기 도상을 중심으로-

        이해주 ( Lee Hai Ju ) 단국사학회 2023 史學志 Vol.63 No.-

        이 글에서는 간다라 열반도·십자가책형도의 초기 도상을 비교 고찰했다. 양자의 특징 파악을 위해 먼저 Ⅱ장에서 간다라 열반도에 표현된 붓다의 자세와 열반상이 등장하는 매체를 확인했다. 간다라 열반도상의 핵심은 사라쌍수 아래 놓인 침상에 오른쪽 옆구리를 대고 옆으로 누운 붓다이다. 그의 자세는 대략 여섯 종류로 나뉘는데, 이는 대체로 평범한 사람이 일상적으로 취하는 자연스러운 휴식 자세이다. 이러한 열반도는 불전도의 일부로서, 붓다의 생애를 구성하는 주요 사건들과 함께 사원 건축이나 스투파 등에 장식되었다. Ⅲ장에서는 십자가책형도의 그리스도 자세와 이것이 시각화된 매체를 살펴봤다. 그리스도는 십자가에 손목이 묶이거나 손발이 못질 당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그의 자세는 대략 세 종류로 나뉘는데, 처형당해 죽는 상황임에도 고통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고 당당한 모습이다. 이러한 십자고상은 6C 이전의 교회 미술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고 신자 개인의 신앙생활과 관련된 소규모 공예품에 주로 표현되었다. IV장에서는 양 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했다. 공통점으로 양자 모두 예배대상의 죽음을 표현함으로써 육신의 죽음이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을 얻는 방편임을 표방했고, 양식 면에서 헬레니즘·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꼽았다. 차이점으로는 네 가지를 서술했다. 첫째, 붓다와 그리스도가 주는 인상이 대비된다. 열반도는 두 눈을 감고 누운 붓다의 평온한 얼굴을 통해 열반의 종교적 경지를 암시하는 반면, 십자가책형도는 두 눈을 뜨고 고통받는 흔적이 없는 당당한 풍모로 부활을 보여준다. 둘째, 등장인물의 규모와 그들의 감정 표현 양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열반도에서는 다수의 인물이 붓다의 죽음을 마음껏 애도하거나 찬탄하지만, 십자가책형도에서는 극소수의 인물이 그리스도의 죽음을 침착하게 참관한다. 셋째, 人性과 神性의 강조점에 차이가 있다. 열반상에서는 화면의 수평 구도와 깨달은 자의 평범한 면모가, 십자고상에서는 수직 구도와 죽음을 이긴 신적인 면모가 강조되었다. 넷째, 도상의 전개 양상이 대조적이다. 열반도는 붓다의 죽음이라는 역사적 사건 묘사에서 출발해 차츰 열반의 불교적 의의를 강조하는 경향을 띠며 조성되었다. 하지만 초기 십자가책형도에서는 신격화된 재림 그리스도를 보여주고자 했고, 점차 십자가형을 통해 고통받으며 죽어가는 인간적인 모습을 구현했다. This article compares the early iconography of the Buddhist Nirvana and the Christian crucifixion. To understand both characteristics, in Chapter II, the article first identified the posture of the Buddha expressed in the Gandhara Nirvana image and the medium in which the nirvana image appear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Gandhara Nirvana is the Buddha lying on his right side on a bed under the Sal trees. His postur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six types, all expressing the natural resting postures that ordinary people routinely take. These nirvana statues were part of the Biographical Narrative Reliefs of Buddha and were decorated in temple constructions and stupas, along with the significant events that constituted the Buddha's life. Chapter III examines the iconography of Christ's crucifixion and the medium in which they are visualized. In crucifixion images, Christ is represented on the cross with his wrists bound or his hands and feet nailed. His posture can roughly be divided into three types. His pose is confident and shows no signs of pain even though he is about to be executed. These crucifixes rarely appear in church art but are mainly represented in small-scale crafts related to the individual religious life of believers. Chapter IV draws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conography.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by expressing the death of the object of faith(God), both represent that physical death is not the end but a means of obtaining eternal life. Also, both were influenced by Hellenistic and Roman cultures. For differences, the chapter states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contrast between the Buddha's and Christ's impressions. The iconography of nirvana allude to the religious realm of nirvana through the Buddha's calm face as he lies with his eyes closed. On the other hand, the iconography of crucifixion show resurrection with Christ having both of his eyes open in a con社dent pose that shows no signs of suffering. Second, the scale of the characters and the way they express their emotions are different. In the iconography of nirvana, many figures mourn or admire the Buddha's death to their heart's content. In contrast, in the iconography of crucifixion, very few people observe the death of Christ.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mphasis between human nature and divine nature. In the iconography of nirvana, the horizontal composition of the screens and the ordinary aspect of the enlightened are emphasized. In the iconography of crucifixion, the vertical composition and the divine aspect that triumphed over death were emphasized. Fourth, the developments of the iconography are contrasting. The iconography of nirvana begin with a depiction of the historical event of the Buddha's death and gradually emphasize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nirvana. In contrast, the early iconography of crucifixes seek to show the deified Second Coming Christ and gradually embody the suffering and dying of Christ through crucifixion.

      • KCI등재
      • 다보탑(多寶塔)의 미적(美的) 고찰(考察): 곡선(曲線)의 미(美)와 공간(空間) 구성(構成)의 미(美)를 중심(中心)으로

        이해주 ( Hai Ju Lee ) 단국사학회 2009 史學志 Vol.41 No.-

        때로 우리는 종교적인 예술품 앞에서 감동한다. 그리고 이 순간의 심미체험과 종 교체험이 다르지 않음을 경험하게 된다. 숙련된 기교와 신심이 함께 어우러져 탄생 했기에 보는 사람을 감동시키는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것이며, 또 이러할 때 훌륭한 시청각 교재가 되어 보는 사람을 신앙의 세계에 불러들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종교 적인 조형물이 아름다운 이유이며 동시에 아름다워야 하는 까닭이다. 신심과 아름다움이 둘이 아니듯 관념적인 진리와 장엄 또한 서로 통한다. 장식과 꾸밈이 지극한 경 지에 이르러 인간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순간 진리와 예술은 不二다. 관념적인 사상의 연구와 그것의 형상화인 미술사 연구는 이처럼 밀접하다. 하지만 다보탑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미술사 학계와 불교 학계로 양분되어 서로 관계를 맺지 못한 채 진행되어 왔다. 그래서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탑으로 꼽히는 다보탑을 미적인 관점에서 제대로 바라볼 기회를 갖지 못했다. 또한 아름다운 예술작품이자 신앙의 대상이며 동시에 건축물이기도 한 다층적인 다보탑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편의에 따라 요소로 잘게 나눈 후 순차적으로 분석해왔다. 그렇게 되면 그저 신앙의 대상인 사물을 마주하는 것일 뿐, 거기서 비롯된 당시 사람들의 신앙체험이나 종교적인 유물을 만든 이의 염원은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다보탑과 그것이 속한 공간 전체를 이해함으로써 미적으로 통찰하기 위해서는 부분과 전체를 동시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사고의 전환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대상을 분리하여 각각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존의 접근법을 지양했다. 대신 종합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 다보탑의 線과 空間을 다루고 거기서 도출되는 다보탑의 美와 존재의미를 살펴보았다. 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보탑의 곡선의 미와 공간 구성의 묘미를 통해 그것을 만든 의도를 되새겨 보고 또 그탑을 보며 느꼈을 당시 사람들의 감흥을 함께 연관지어 생각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다보탑은 그저 우리 눈앞에 멀찍이 떨어져 존재하는 신앙의 대상인 건축물이 아니라 우리 (신앙) 생활 속에 살아 숨 쉬는 예술품으로 보다 생생하게 다가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의 곡선을 구현한 탑에 만드는 사람의 신심과 보는 이의 염원이 더해져 "믿음을 동반한 최고의 미"가 구현된 것이다. We tend to be moved by beauty of the religious work of art. Through this moment we can learn the fact that both aesthetic and religious experience are not different one. This special experience leads people into the religion. Because of the power of religious art of work (Aura), stupa is also used by propagation of Buddhism. This is why the Buddhist art is beautiful and should be beautiful. As the beauty and the faith join, the religious dogma and the religious ornament are the same category. When we captivated by highly decorative buddhist art which embodies thoughts, this time the true and the art is not the different one. In this way Art histor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thoughts and. To fully understand Dabotap( ) this paper took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tance instead of breaking down a substance into components. For getting overall picture of Dabotap this paper concretely dealt with the line and space of Dabotap. By doing so we could see the beauty of Dabotap. With the beauty of line and space of this stupa, going one step forward, we had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tate of mind of the tongilsilla, such as the purpose of construction of Dabotap, the sensation among the people who saw Dabotap. Through this we could realize the real value of Dabotap not as a construction standing at a distance, but as a living work of art in our religious everyday life.

      •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의 CPTED 기법 적용성에 관한 연구

        이해주(Lee Hae-Ju),강석진(Kang Seok-Jin),이경훈(Lee Kyung-Hoo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Design Seoul Guidelines requires not only design consideration but various complement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ne of them is reducing public space users’ fear of crime and adopting CPTED strategies for safer public spac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PTED in public space by analyzing linkability between Design Seoul Guidelines and principles of CPTED. For this, we checked if each items of Design Seoul Public Space Guidelines has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6 CPTED Principles. As a result, items of public space design guidelines showed wide applicability to CPTED principles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Legibility’, ‘Activity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대기확산모델링을 이용한 화학사고 건강위해성 평가기법 개발

        이해주 ( Haeju Lee ),김주영 ( Ju Yung Kim ),김민영 ( Min Young Kim ),박성훈 ( Sung Hoon Park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9 No.4

        환경과 사람을 위협하는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사고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가 사고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피해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누출 사고의 유해성과 심각성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위해성 평가 모델은 성별, 연령에 따른 노출계수를 적용함으로써 각 노출 경로에 대한 일일 평균노출량을 산정하는 결정론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델은 포트란 코드로서 개발되었고, 코드의 검증을 위해 오염물질이 여수 산단에 위치한 저장탱크로부터 1시간 동안 누출되었다는 상황을 가정하여 사고 주변 주민들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결과는 발암 위해도와 피해정도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 지도상에 표출하였다. Chemical material leakage accidents that threaten environment and human are happening frequently. One of the ways to reduce the impact of these chemical accidents is risk assessment: predicting the degree of residents’ damage surrounding the accident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isk assessment model that predicts the degree of hazard and severity of toxic substance leakage accidents. The risk assessmen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uses a deterministic method that calculates the average daily dose for each exposure route by applying different exposure coefficients depending on gender and age. The model was developed as a Fortran code. To evaluate the code, a test simulation was conducted for the risk assessment of surrounding residents in which materials were leaked for an hour from a storage tank located in Yeosu industrial complex. The results were represented on the map to grasp the risk and damage degree.

      • 노년기 학습참여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련성 탐색

        이해주 ( Lee¸ Haejoo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1 통합인문학연구 Vol.13 No.2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노인들의 경제적 빈곤과 함께 사회적 배제, 자기방임, 우울, 고독사 등의 문제들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어떤 요인들이 성공적 노화와 관련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중 한 요소로 노년기의 학습참여가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성공적 노화에 기여하게 되는지 그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으며 학습에 참여한 60세~70세 사이의 신노년층 2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교육 참여자들은 학습참여후 무엇보다 ‘배움을 통한 즐거움’을 갖게 되었으며, ‘용기와 자신감’이 생겼고 ‘타인에 대한 이해’로 이어지면서 ‘삶의 변화와 성장’이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학습의 결과가 단순한 앎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을 실천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어지면서 봉사활동, 역량향상교육에의 참여, 취업 등의 다양한 사회참여로 확장되어 갔다. 이러한 사회 활동과 참여를 통해 자기 만족감, 성취감을 갖게 되었고 ‘사회적 관계망’이 형성됨으로써 우울이나 소외감에서 벗어나게 되었으며 삶에 대한 만족감, 행복감을 갖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노년기 학습참여는 신체적, 인지적 활동을 통해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갖게 되고 성찰을 통한 사고의 전환, 나아가 사회참여로 이어지면서 삶의 질 향상,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기 학습의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노년기 학습을 촉진시키고 그것을 통해 성공적 노화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learning and successful aging. For this purpose, 23 respondeandents, over late 60-70 years old, are interveiwed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1) What was the meaning of their learning? 2) How your interests of learning are moved to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learning and their successful aging?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ost of participants to the elderly learning felt joy of learning, self confidence, and through reflection, they changed their life. 2) learning became a motive to understand others, help others, and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voluntary activities, new job, 3) Through their learning, they become healthy in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cal condition. With these findings we could find the relation between elderly learning and successful aging positively. And it show us elderly learning have many good meanings and can be a facilitator for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외국사례를 통해 본 대학평생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해주(lee haejoo)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1

        There are growing acceptance of the fact that adult learners is no more minority in the universities and they want to continue their learning to increase their employability and raise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asks university to open its educational opportunity to everyone and to change their curriculum to vocational and practical things from academic on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based on case study of USA and Japan, how to change higher educational system and to find new directions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that suit to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reform of our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