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암 광화대의 지질구조와 광화작용

        류충렬(Chung-Ryul Ryoo),박성원(Seong-Weon Park),이한영(Hanyeang Lee) 한국암석학회 2014 암석학회지 Vol.23 No.1

        한반도 남서단부의 영암광화대에는 상은과 은적 그리고 바람재 광산이 발달하고 있다. 이 지역은 목포-해남-영암 지역에 걸쳐 확인되는 대규모 화산성 환상구조의 북동부에 해당한다. 조사지역인 상은-은적-바람재 지역에서 확인된 13개소의 석영맥과 광화대는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을 모암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남-북 내지는 북북서 방향의 주향에 서측으로 고각도를 이루고 있다. 상은, 은적, 바람재 지역에 발달하는 석영맥은 단일맥인 경우도 있으나, 주로 폭 1-5 cm의 맥들로 다발을 이루는 특징을 보인다. 석영맥과 평행하게 발달하는 단층면의 발달로 보아 석영맥의 관입과 광화작용이 전후에 단층운동이 존재했음을 지시한다. 또한 이들 석영맥과 광화대는 광화작용 후기에 작용한 북서 방향의 좌향이동 단층에 의해 변위된 양상을 보인다. 북서 방향의 단층은 불치와 상은광산 부근에서 잘 관찰되며, 장동리와 장천리 일대의 석영맥의 분포나 선상구조에 의해서도 이 단층과 평행한 단층들이 발달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역이 서측인 상은적산 남측에서 서측으로 북서 주향의 석영맥이 관찰된다. 은적-상은 광상 주변에서 확인된 12개 석영맥의 현장조사 및 금, 은 품위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남측으로 가면서 석영맥의 발달 양상이 미약해 지고 있다. 바람재 부근 광상의 경우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석영맥이 약 20m 연장되고 있다. 섬아연석, 방연석 등 유화광물은 함유하고 있으나 금-은의 발달은 미약하다. 금품위가 평균 <0.1 g/t, 은품위가 평균 5.7 g/t으로 은적광산(금, 12.3 g/t, 은, 1,380.0 g/t)과 상은광산(금, 2.7 g/t 은, 23.5 g/t)에 비해 남측으로 가면서 금, 은의 품위는 현저히 떨어지는 반면, 그 외 연, 아연 등 유화광물 함량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The Yeongam mineralized zone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Sangeun, Eunjeok and Baramjai miners. This zone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Mokpo-Haenam-Yeongam volcanic circular structure. The 13 sites of quartz vein with mineralization are developed in the Sangeun-Eunjeok-Baramjai area, within rhyolitic welded tuff, showing N-S or NNW tend with highly dipping to the west. The quartz veins occur as a single vein or a bundle of veins with width of 1-5 cm in each. The existence of faults parallel to the quartz veins indicates that the faulting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quartz veins and mineralization. The quartz veins and mineralized zone are displaced by NW-trending sinistral strike-slip faults. The extension of the Sangeun-Eunjeok mineralized belt is traced to the south, following a NNW-trending tectonic line, and the Au-Ag contents are analysed in the 12 sites of quartz veins. Contents of gold and silver are 12.3 g/t and 1,380.0 g/t in Eunjeok mine, 2.7 g/t, 23.5g in Sangeun mine, and <0.1 g/t, 5.7 g/t in Baramjai mine respectively. Therefore, a highly Ag-Au mineralized zone is not develop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tudie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