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화호 수질 악화에 따른 시화호와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이태원,문형태,허성회,Lee, Tae-Won,Moon, Hyung-Tae,Huh, Sung-Hoi 한국해양학회 1997 바다 Vol.2 No.2

        Changes of fish species composition were analyz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from Lake Shihwa and adjacent coastal water from October 1995 to August 1996. Pelagic clupeids, Cynoglossus joyneri and Johnius belengerii predominated in abundance in the adjacent coastal water. In the lake, clupeids, gobies and freshwater Carassius carassius were collected in autumn. The clupeids, unable to overwinter in the open water, disappeared after winter. The gobies and C. carassius were also disappeared in spring except a few number of Acanthogobius hasta. A large number of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nd Eleotris oxycephala were collected in summer, supposed to move into the lake during the exchange of water in lake and sea water. However, they were all died in the middle of August. The concentration of ammonium-nitrogen was higher than 2 mg/l, which was higher than 50% lethal concentraton in other fishes. Increase in temperature and pH in spring may elevate the toxicity of ammonium to fish. We discussed the effect of the other factors of the polluted water in the lake on the disappearance of fish. 시화호가 건설 된 후인 1995년 10월에서 1996년 8월 사이 시화호 내부와 외부에서 계절 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출현종의 조성 변화를 분석하고 내부의 수질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호수 외부에서는 청어목 어류 및 참서대와 민태가 우점하여 인접 해역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호수 내에서는 가을에 연안성 부어류, 망둑어류 및 민불어류인 붕어가 채집되었으나, 겨울이 지난 후 외해에서 월동하여야 하는 부어류들은 채집되지 않았고, 망둑어류와 붕어도 숫적으로 감소하였다. 봄이 되어 소수 풀망둑을 제외한 어류는 채집되지 않았고, 여름에는 해수와 호수물 교환 과정에서 들어 온 두둘망둑과 구굴무치가 대량 출현하였으나 8월 중순 폐사하였다. 1996년 3월 이후 암모늄 농도는 다른 어류에서 관찰된 반치사농도보다 높았으며, 수온과 pH의 상승으로 암모니아의 어류에 대한 독성이 강하여지고 다른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어류들이 폐사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이태원,문형태,황학빈,허성회,김대지,LEE Tae Won,MOON Hyung Tae,HWANG Hak Bin,HUH Sung-Hoi,KIM Dae Ji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5

        남해안에 위치한 안골만 잘피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월별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기 간 동안 39종 2,065개 체, 8,930.0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소형 주거종과 회유종의 유어들이 주를 이루었다. 출현한 어류 중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와 볼락 (Sebastes inemis)이 전체 개체수의 $60{\%}$를 차지하였다. 출현 종수와 생체량은 수온이 낮은 12월에서 3월 사이에는 낮았으며, 잘피가 성장하는 4월과 5월에는 주거종과 볼락의 유어들이 대량 채집되어 생체량이 높았다. 6월과 7월에 산란을 마친 주거종이 양적으로 줄어 생체량이 줄었으나, 8월에는 봄에 부화된 경제성이 높은 어종의 유어들이 가입되어 생체량이 증가하였다. 그 이후 잘피의 현존량이 감소하면서 어류의 생체량도 줄었고, 겨울에는 소수 개체만이 채집되었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 분석한 결과 4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온수기에는 주거종인 베도라치, 실고기와 주둥치가 우점하였고, 냉수기에는 살망둑 (Chaenogobius heptacanthus)과 양태 (Plarcephalus indicus)가 출현하였다. 잘피가 성장하는 $3{\~}6$월에는 주거종인 쥐노래미의 유어, 잘피의 현존량이 높은 $4{\~}7$월 사이에는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uoides), 돌팍망둑 (Pseudoblennius percoides)과 볼락의 유어, 그리고 잘피가 시들어가는 $8{\~}9$월에는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와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유어들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은 수온과 잘피의 현존량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였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in Ange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by a beam trawl from April 1998 to March 1999, A total of 39 species, 2,065 individuals and 8,930 g of fish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ish were composed of the small-sized resident species and the juveniles of Leiognathus nuchalis, Pholis nebulosa, Spgnathus schlegeli and Sebastes ineinis predominated in abundance, accounting for $60{\%}$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low from December to March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low, The biomass increased by the catch of a large number of L. nuchalis and S. inemis in April and May when the eelgrass grew fast. The fish numbers decreased in June and July when the adults of the resident species declined after the spawning. A large number of juveniles which had released in spring occurred in August. The biomass of fish decreased from September, and a few number of fish were collected in winter. Species were grouped into four by cluster analysis: the warm season group including P. nebulosa, S. schlegeli and L. nuchalis, the cold season group including Chaenogobius heptaoanthus and Platycephalus indieus, the group of fish species occurr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eelgrass such as P. couoides, S. inermis and P. perooides, and the group of fish species occurred during decaying season of eelgrass such as S. cirrhifer and H. coronatu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at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the water temperature and standing crops of eelgrass.

      • KCI등재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이태원,LEE Tae Won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1

        Seasonal samples of demersal fish in Chonsu Bay were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May 1991 to February 1992, and analyzed in terms of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just after reclamation in 1986.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demersal fish of the present study shows a similar seasonal trend to the previous one. However, the abundance in some species was changed. Gobiid fish such as Cryptocentrus filifer, Chaeturichthys stigmatias and Acanthogobius hasta were diminished, while Repomucenus lunatus, Leiognathus nuchalis and Sillago japonica were increased. This change in abundance of the fish seems to be related to sedimentation of fine particles and irregular discharge of freshwater with high organic content from the reservoir to the bay. 1991년 5월부터 1992년 2월 사이 천수만 입구와 만 내구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저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양적변동 및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방조제 건설 직후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54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며,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민태 (Johnius belengerii), 등가시치 (Zoarces gilli),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 및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가 우점하였다. 출현종의 정점간 차이는 적었으며, 난수기인 봄에서 가을 사이 밀도가 높았고 겨울에는 낮았다. 1986년 같은 해역에서 조사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펄질을 선호하는 돛양태는 증가하였고, 주둥치는 인위적 환경 변화가 큰 천수만을 포함한 서남 연안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감소 경향을 보인 어류는 조간대 가까이에 사는 실망둑, 조간대 가까운 천해역에서 어린 시기를 보내는 풀망둑 등으로 방조제 건설 이후 비주기적으로 유입되는 방조제 내부의 부영양화된 밀도가 낮은 민물이 천해역 어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이태원,LEE Tae Won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5

        1992년 3월에서 1993년 1월 사이 만입구에 설치된 소형정치망 어획 자료를 수집하여 천수만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1981$\~$82년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63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멸치(Engraulis japonicus), 까나리 (Ammodytes penonatus), 횐베도라치 (Enedrias fangi) 및 밴댕이 (Sardinella zunasi)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횐베도라치의 치어와 멸치, 까나리, 밴댕이 등의 성어가 대량 가입되었으며, 이 어종들은 이른 여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 8월부터 봄에 산란부화한 부어류들의 유어가 가입하여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늦가을부터는 이 어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빠져나가 생체량이 감소하였다. 본 조사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은 1981$\~$82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양적으로는 1981$\~$82년에 비하여 높았다. 이것은 1992년 봄과 가을에는 평년 수온에 비하여 약 $2^{\circ}C$ 정도가 높은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둥치 (Leiogathus nuchalis)의 증가는 수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pelagic fish in Chonsu Ba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using a set net from March, 1992 to January, 1993.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981$\~$82. Of 63 species identified, Engraulis japonicus, Ammodytes penonatus, Enedrias fangi and Sardinella zunasi predominated in abundance. Especially E.japonicus occupied $87\%$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In spling, fish abundance increased by recruitment of lariat E. fanti as well as adults of E. japonicus, A. personatus and S. zunasi. These adults moved towards the open sea after spawning in early summer. A large number of juveniles was then collected from August until December. The seasonal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from the present study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ccurred in 1981$\~$82. However, larger number of pelagic fish was caught in 1992$\~$93 than in 1981$\~$82. This result seems to be related to the higher water temperature (>$2^{\circ}C$) than the average mean temperature in spring and autumn, implying that higher temperature provides favorable conditions for spawning and growth of the fish.

      • KCI등재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이태원,LEE Tae Won 한국수산과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5

        1991년 가을에는 1992년 여름 사이 아산만에서 otter trawl로 저어류 자료를 수집하여 저어류의 계절 및 정점간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출현한 34종 중,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belengeri), 곤어리(Thrissa koreana) 및 등가시치(Zoarces gillii)가 총 채집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위의 4종 중 부어류인 곤어리를 제외한 우점 3종은 저질이 세립질인 만 내부에서 생물량이 많았다. 각 계절 정점간 군집구조를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한 결과, 정점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계절에 따른 군집구조 변화는 뚜렷하였으며, 그 변화는 수온, 혹은 수온과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에 의하여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해역은 수온의 연교차가 크고, 조류에 의한 해수의 혼합이 활발하여 이에 적응한 소수종이 우점하고 이 우점저어류는 퇴적물의 입도에 따라 그 분포가 결정되지만, 출현 개체수가 적은 대부분의 종은 정점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계절에 따라 군집구조가 변하여 가는 것으로 보인다.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es in Asan Bay were studi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autumn 1991 to summer 1992. For each sampling station, three trawl hauls were completed to obtain a reliable sample. Of 34 species identified, Cynoglossus joyneri, Johnius belengeri, Zoraces gillii and Thrissa koreana accounted for $93\%$ of the individuals collected. The former three dominant species were more abundant on the finer sediment of the inner bay than on the sandy bottom of the outer bay. Spatial variation of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es was analys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rank correlation. The community structure did not show a spatial difference, but a clear seasonal trend. This distribution pattern seems to be related significantly to the seasonal temperature fluctuation and to the active mixing of the water by strong tidal current of the bay.

      • KCI등재

        남해안 진해 용원 천해역 어류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

        이태원,문형태,허성회,LEE Tae Won,MOON Hyung Tae,HUH Sung-Hoi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3

        1998년 1월에서 12월 사이 월별로 경남 진해시 용원의 천해역에서 지인망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총 3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줄공치 Hyporhamphus intermedius의 유어,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과 미끈날망둑 Chaenogobius laevis 같은 망둑어류, 그리고 베도라치 Pholis nebulosa와 같은 주거종이 $8{\~}10$월을 제외한 시기에 우점하였다. 난수기에는 밴댕이 Sardinella zunasi,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복섬 Takifugu niphobles와 같은 연안성 부어류들이 출현하였으나 종수와 채집량이 적었다. 평균 생물량은 322 마리/1000 $m^2,\;806 g/1000\;m^2$로, 서해 천수만의 펄질 천해역보다 평균 개체수가 적었고, 대천 모래질 쇄파대보다는 높았다. 생물량은 11월에서 1월 사이 줄공치가 대량 채집되어 높았고, 2월부터는 주거종이 증가하고 4월부터 일시 출현종이 유입되어 6월까지 비교적 높은 출현종 수와 생물량을 보였다. 그러나, 수온이 높은 8월에서 10월 사이에는 일시 출현종 만이 소수 출현하여 출현종수와 생물량이 낮았다. 조사해역은 조간대 하부가 얕은 펄질로 해수 순환이 미약하여 수온이 높은 계절에는 수질이 어류의 서식에 부적합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다른 천해역에서는 계절종의 유어가 대량 출현하려 높은 생물량을 보이는 난수기에 어류밀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hallow water fish off Yongwon, Jinha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monthly samples collected by a beach seine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Among 54 species identified, the resident species such as Favonigobius gymnauchen, Chaenogobius laevis, Pholis nebulosa and juvenile Hyporhamphus intermedius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The temporal species such as Sardinella zunasi, Leiognathus nuchalis and Takifugu niphobles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and September. Mean abundance (322 individuals/1000 $m^2$ or 806 g/1000 $m^2$)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hallow sand surf zone of Teachon, but lower than that in the shallow mud area of Chonsu Bay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A large number of H. intermedius were collected in cold months between November and January. The dominant resident species began to be collected from february,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increased until July. A small number of temporal species were collected and subsequently the abundance was low from August to October when high abundance was expected as in the other shallow waters by recruitment of a large number of juveniles of temporal species. The low abundance in these warm month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water quality by weak water circulation in this shallow mud area.

      • KCI등재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1990-1993) 변화-

        이태원,황선완,LEE Tae-Won,HWANG Sun-Wan 한국수산과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1

        1990년 11월에서 1993년 8월 사이 아산만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저어류를 채집하여 시간에 따른 종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49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며, 그 가운데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곤어리 (Thrissa koreana)와 민태(Johnius belengerii)가 우점하여, 전 채집 개체수의 $84.7\%$, 전채집량의 $70.5\%$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는 뚜렸한 계절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개체수와 생체량은 봄에서 가을 사이의 난수기에 높고 겨울에는 낮은 값을 보였다. 각 계절 채집된 어류의 순위를 이용하여 주성 분분석한 결과, 정점간의 차이는 적었으나 계절에 따른 경향을 나타내어 조사 해역 저어류의 종조성은 수온이나 혹은 수온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 저어류는 한반도 주변 다른 내만역에 비하여 출현종수 및 생물량이 적었으며, 이것은 조류에 의한 해수 혼합이 활발하여 서식처인 해저퇴적물이 불안정한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종수는 해에 따라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감소하는 종은 출현빈도가 낮고 채집량도 적은 종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종들은 환경의 내구범위 한계에 서식하여 왔으나, 최근의 인위적 환경 변화로 인하여 내구범위를 벗어나 더 이상 만 내에서 살 수 없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Temporal variation of demersal fish in Asan Bay was determined by analyz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yawl from November 1990 to August 1993. Of 49 species identified, Cynogiossus joyneri, Thrissa koreans and Johnius belengerii predominated in abundance, consisting of $84.7\%$ in fish numbers and $70.5\%$ in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Fish numbers and biomass were comparatively high 3n spring, summer and tall, and low in winter. Community structu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rank correlation, showed a clear seasonal trend,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seasonal effects such as temperature.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ir abundance in the study area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embayments of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unstability of the sediments by tidal mixing caused this phenomenon. The total number of species decreased annually. The species of whic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ends to diminish as time were mainly composed of the species which rarely occurred with low abundance.

      • KCI등재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이태원,Lee Tae Won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4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samples collected using an otter trawl from January to October 1991. Of 59 species identified, Repomucenus lunatu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Repomucenus heguenini, Ammodytes personatus and Sillago japonica were dominated in abundance. Number of spiecies and biomass were low in winter and high in spring and summer. Species composition did not show spatial variation but showed seasonal variation. Number of spicies, abundance in number of individuals ($630 inds./10^3\;m^2$) and in biomass ($13,131g/10^3\;m^2$), and species diversity (2.00-2.54) of fish in Yongil Ba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astal waters in the Yellow Sea or in the South Sea of Korea. 1991년 1월에서 10월 사이 영일만 3개 정점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춤양태 (Repomucenus huguenini),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가 개체수에서 우점하였다. 출현종수와 채집량은 겨울에는 적었고, 봄과 여름에 많았으며, 종조성은 정점 간의 차이는 적었고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영일만 저어류의 출현종수, 평균 개체수 ($630 inds./10^3\;m^2$) 및 평균 생물량 ($13,131g/10^3\;m^2$)이 서해나 남해 내만에 비하여 높았고, 종다양성지수도 2.00-2.54로 높았다.

      • KCI등재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 방법

        이태원,LEE Tae-Won 한국수산과학회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4

        1990년 8월 아산만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저어류를 채집하여 정점을 대표할 수 있는 저어류 군집 자료수집 방법을 추정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7종, 957개체, 21,840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 곤어리 (Thrissa koreana),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와 민태 (Johnius belengerii)가 출현 빈도도 높고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야 10회 반복 채집결과 종조성은 주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otter trawl 20분 예인의 개체수 자료는 우점종의 경우는 평균에 대하여 $2.2-385.1\%$, 전어종은 $52.2-162.0\%$의 넓은 변이를 보였다 채집면적을 늘려 갔을 때 누적종수는 예인 4회 자료 누적 이후에는 증가가 둔화되었고 종다양성지수는 3회 이후 거의 점관선에 도달하였다. 개체수의 평균에 대한 분산은 자료를 누적시켰을 때 감소하여 4회 이후에는 자료가 Poisson 분포 양상을 보였다.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아산만 저어류를 채집할 때 20분 예인 4회 이상의 자료를 합하면 정성, 정량적으로 한 조사정점을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were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August 1990 to determine optimum sample size for the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A total of 17 species comprising 957 individuals and 21,840 grams in biomass was collected. Predominant species were Cynoglossus joyneri, Thrissa koreana, Hexagrammos otakii and Johnius belengerii.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fish numbers in ten replicate tows ranged from 2.2 to $385.1\%$ for four abundant species and from 52.2 to $162.0\%$ when all species were considered. The cumulative number of species increased rapidly until 4 hauls, and less than 1 species per haul in average was added thereafter. The cumulative diversity index reached nearly an asymptote value when three of samples were combined. Varianc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diminished as the sample size increased. The ratio of variance to mean numbers (dispersion inde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nity when first 4-haul samples were combined. Four of 20-minute trawl haul are proposed to be a proper sampling size for the unbiased estimation of abundance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야 및 계절변동-

        이태원,김광천,LEE Tae-Won,KIM Gwang-Cheon 한국수산과학회 199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5 No.2

        1989년 가을에서 1990년 여름 사이 아산만에서 otter trawl로 저어류 자료를 수집하여 아산만 저어류의 주야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주야 자료는 각 조사시기마다 주야 각각 3-5회씩 수집하였다. 동정된 32종의 저어류 중, Chaturichthys stigmatias, Cynoglossus joyneri, Thrissa koreana, Repomucenus lunatus와 Hexagrammos otakii가 총개체수의 $79.5\%$를 차지하였고, 생체량에서는 C. jeyneri, T. koreana, H. otakii, Raja kenoiei와 Kareius bicoloratus가 $67.1\%$%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밤에 채집된 개체수와 생체량이 낮보다 많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각 계절별 어류 군집구조 및 주요 저어류의 평균체장도 밤낮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여름에 높았고 겨울에 낮아 조사 해역 저어류의 양적 변동은 수온, 혹은 수온과 같은 변화를 보이는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fishes of Asan Bay were studi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autumn 1989 to summer 1990. For each sampling period, three to five trawl hauls were completed to obtain day and night samples. Of 32 species identified, Chaturichthys stigmatias, Cynoglossus joyneri, Thrissa koreana, Repomuenus lunatus and Hexagrammos otakii accounted for $79.5\%$ of the individuals collected, and C. joyneri, T koreana, H. otakii, Raja kenojei and Kareius bicoloratus constituted $67.1\%$ of the biomass obtained. Apparently, larger number of individuals and greater biomass were collected in night haul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samples in community structure, mean abundance and body length of the dominant demersal species. The greatest numbers and biomass of fishes were collected in summer and the lowest in winter. The abundance of fishes in the study area were dependent upon seasonal effects such as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