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키지디자인 조형요소의 변화가 소비자태도와 패키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이철영 ( Lee Chull Young ),전윤희 ( Jun Yun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시점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에 대하여 리뉴얼 시 조형요소 변화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연구하고 각 조형요소 변화가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조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가상의 패키지 실험물을 제작하고, 디자인이 변화된 순서에 따라 5종류의 설문지로 작성한 후, 20, 30대의 수도권 거주 남녀 380여명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 조형요소별 변화 차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모두 유의하였으나, 조형요소별 변화 차이를 인식하는 소비자의 민감도는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조형요소별 변화가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수준이나, 개인의 제품 디자인 중요성 인식 정도와 연관되어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iven the importance of package as one of the most salient at the purchase point, there are relatively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package design. When it comes to reviewing the product package, it has seldom been based on the rigorous market tests. Experimental evidences on what makes the consumers to respond favorably to a new package are still at large.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dividual role of design element changes in package and their impact on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package image. And, their interactive effects are analysed in relation with perceived importance of product design in general. The research questions ar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on the above mentioned two tasks. Over 380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in the greater Seoul area a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umer`s sensitivity to package design changes is confirmed as it varies differently with an individual design element. The interactive effects, however, did not appear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paper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ackage design teams. We urge further studies in the line that would help to better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how we manage to create or renew package design effectively.

      • KCI등재

        광고회사 기획과 제작부서 종사자들의 지능적 성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다중지능이론을 중심으로

        이철영 ( Chull Young Lee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1

        크리에이티브 집단인 광고회사는 전통적인 지능검사 또는 학업 성취도나 적성평가를 통해 인력을 확보하고 관리해오고 있기 때문에 직무에 맞는 개인의 장점이나 역량을 파악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기획자들과 제작자들의 다중지능 성향이 어떠한가를 확인하고 직능에 따라 다중지능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적합도와 직무성과, 업무만족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 요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광고 기획자들은 언어지능, 대인지능, 자기이해지능이 높고, 자연지능과 신체운동지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제작자들은 시공간지능, 언어지능, 대인지능, 자기이해지능이 높고 자연지능과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 지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기획자들과 제작자들은 시공간지능, 대인지능, 자연지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직무적인 특성과 관련한 성향들로 해석되었다. 대인지능은 기획자들이, 시공간지능과 자연지능은 제작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성적합도와 직무성과인식 그리고 업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중지능성향 요인들이 직능별로 다른 부분들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광고회사의 기획 및 제작업무 종사자들의 다중지능 성향과 직능별 차이, 그리고 직무적합도, 직무성과인식, 업무만족도 등 종사자들의 근무만족도와 이직율과 중요한 관련이 있는 경영관리 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광고회사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식적으로 판단하거나 평가하던 직능간 차이에 대한 인식을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확인하였고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 탐색적 연구로서 기본적인 연구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한계점을 향후 연구과제로서 지속적으로 검증해본다면 다른 학문 분야들에서 거둔 다중지능이론의 학술적 성과를 광고커뮤니케이션 산업에 대한 연구에서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기대해본다. Advertising industry is perceived to be an industrial organization that aims to produce a creative communication planning and advertisements. Thus, advertising agencies ought to hire creative employees and to cultivate and train them in order for the company competency to meet the clients needs for successful brand communications. In doing so, ad agencies have to comprehend the individual employees’ competencies and traits as they manage the personnel to be deployed individually to the appropriate jobs. This paper purposed to find out how workers in different functions differ in term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o delve into how they relate to job fitness perception, perceived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s in two functions, account executive and creative, are also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for the account executives, Logic-Mathemat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Intelligences are relatively higher than Naturalistic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s. As for the creative team workers, Visual-Spatial, Linguistic, Intrapersonal, Interpersonal Intelligences are relatively higher than Naturalistic, Bodily-Kinesthetic and Logic-Mathematical Intelligences. Second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job functions showed significant contrasts in terms of three intelligences of Visual-Spatial, Intrapersonal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s. Third, Interpersonal, Linguistic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s have positive relation to job-competence fitness, while Naturalistic Intelligence bears negative relation to it. Linguistic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are positively related to job fitness. Naturalistic Intelligence relates to job fitness negatively. As for the creative workers, Intrapersonal and Visual-Spatial Intelligences are positively related to job-competence while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s relate positively to job-fitness perceptions.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perception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we found out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 with Linguistic,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Logic-Mathematical Intelligences for account executives. While, creative workers relate it to Interpersonal Intelligence. Finally, as for the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s show positive relation to it while Visual-Spatial Intelligence has a negative relation. As for the creative workers Interpersonal Intelligence is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study may be criticized for seemingly a little obvious and confusing as the study of its kind has never been dealt in the advertising literature. However, since the early 90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long been applied to the other major disciplines such as education and psychology, and it produced very useful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education and psychology fields. Advertising is a salient field of communications study.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so pivotal in advertising communication industry that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may further our understanding the particular communication industry and the people at work.

      • KCI등재

        저관여 제품의 친환경 소구에서 감성 이입형과 정보형 광고크리에이티브의 소비자 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이철영(Lee, Chull Young),최헌(Choi, Hun),최승희(Choi, Seung Hee)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저관여 제품의 친환경 광고소구 유형을 정보형과 감성이입형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비(非)친환경 광고를 실험조사에 추가하여 총 3개의 인쇄 실험광고를 제작, 각 광고크리에이티브 소구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 점검하였다.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활동에서 친환경 주장유형을 소구한 그린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관련된 연구는 있지만, 친환경 주장 광고 크리에이티브가 비친환경 광고와 어떠한 차별적 효과를 유발하는 지를 점검하는 연구는 없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저관여 신제품 광고에 있어 크리에이티브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친환경 광고크리에이티브와 비친환경 크리에이티브 간에 응답자들의 반응이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측정한 태도 변수들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비친환경 광고 보다 친환경 광고에 소비자들이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친환경 광고크리에이티브 유형별 차이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업이 친환경 브랜드 개발과 신제품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실시함에 있어 친환경 광고에 대한 소구 유형을 진정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이라는 학술적 증거로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delve into the discriminating effect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green advertising on the consumer attitudes for a low involvement product. Informatonal, transformational and non-green ad creatives are tested in a between group experimental setting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Although there are quite a few of studies addressing the effects of different creative appeals of green advertising, it has seldom focused on a direct comparison between eco-friendly and non-green advertising creatives.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creative appeals are additionally compared to see how the subjects respond differently. As results. it is found out that clear statistical differences exist between green and non-green ad creatives in favor of the eco-friendly green ad creative. This phenomena are the same across all four consumer attitude variables measured. The discriminating effects of the two green ad creatives did not occur, assumingly, due to the low invol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ed product in the experiment. We would take these results as an additional research evidence that may help in convincing the marketing communication industry to make most of green advertising or marketing strategies and tactics.

      • KCI등재

        미디어 디자인 포맷의 변화가 수용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신문 매체 판형변화를 중심으로

        이철영 ( Lee Chull Young ),이성환 ( Lee Sung Hw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5 No.-

        세계적으로 신문 매체의 디자인 변화가 지속되어 왔고, 국내에서도 적용되고 있지만, 실제 독자들이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학술적 연구나 발표는 국내에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신문의 일반적 사이즈인 대판과 유럽의 국가들에서 사용하는 판형 디자인으로 국내에 도입된 베를리너판을 비교하여, 판형 디자인의 차이가 지면 선호도와 지면 호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신문 판형 디자인의 변화가 독자의 지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실증조사를 통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신문판형별 선호도, 호감도에 대하여 대판에 비하여 베를리너 판에서의 선호도와 호감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지면 안을 통합한 분석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타났다.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ew media are rapidly taking place in the modern society, and opportunities for acquiring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for the younger generation is increasing. Major newspapers of the US and of England were focusing on their layout format to the point that they can easily identified at vendors even when the title is hidden, but Korean newspapers use similar “large” formats,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m when their title is hidden. Based on these point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aders` attitude toward daily newspaper press format. Based on various documents, in order to observe the influences of newspaper press format. Paper preference and paper attractiveness, both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Berliner format than in the large format. This shows consistenci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attitude toward overall press type improves as the newspaper press format is smaller.

      • KCI등재

        광고창의성에 대한 개념적 재고찰과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의미

        이철영 ( Chull Young Lee ),진진아 ( Jin Ah J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연구배경 광고 창의성의 본질과 보편타당한 개념과 요인에 대한 연구개발이 실전적으로나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공히 연구가 초기 수준에 머물고 있어, 광고와 디자인 분야의 연구자들의 진지한 관심이 요구된다. 광고창의성에 대한 실전적, 개념적 연구들의 재고찰과 정리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실전적이며 학술적인 의미와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브랜드자산, 마케팅, 심리학 등 관련 분야를 포함하여 광고 창의성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로서 연구문제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연구결과 실증적 연구고찰에서는 광고창의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지식이 여전히 많이 미흡하여 학술적 공감대 또는 합의에 이르기에는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밝혀진 광고창의성 요인이 브랜드의 자산을 보호하고 궁극의 판매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광고 창의성 점검 제도의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이 광고창의성 제고에 실무적으로 가장 필요하고 당면한 과제로 보았으며, 이는 광고의 학술적인 과제인 동시에 실무현장에서도 가장 필요한 기초연구 과제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광고 학계에서는 광고의 효율성을 높이는 크리에이티브 효과의 기저를 밝히고 광고창의성의 본질과 보편타당한 요인 및 측정도구를 연구하는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Despite of a general consensus on the important role of creativity in advertising creativity,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its working definition and underlying factors. The paper intends to reexamine advertising creativity concept by reviewing relevant studies and to draw practice and research implications. Methods This paper is basically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of various fields with relevant topics of brand equity marketing, psychology and advertising itself. Result The relationship among advertising creativity, media and brand equity is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of advertising creativity and its underlying dynamics are still at large with a little academic agreement on the issues that have been pending for a couple of decades. Conclusion Research implications are presented in the final chapter. Research endeavor is called on to develop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dvertising creativity, in both terms of effective on the job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광고 크리에이티브에서 브랜드스토리 유형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철영 ( Chull Young Yi ),이근형 ( Keun-hyung Lee ),김정은 ( Jung-e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본 연구는 광고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 활용되는 스토리텔링의 메시지 효과에 관한 것으로, 광고에서 스토리텔링 유형이 광고에 대한 태도, 스토리에 대한 태도,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탐색해 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광고 전략의 접근 방향도 제시하였다. 20, 30대 남녀 420명을 대상으로 3가지 형태의 인쇄광고물을 보여주고 실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 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스토리 태도, 브랜드 태도가 차이가 났다. 둘째, 광고 태도, 스토리 태도, 브랜드 태도에 있어 패션관여도와 스토리텔링 유형 간의 상호작용성을 분석한 결과, 스토리텔링 유형의 주효과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story-telling types on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ing and the brand. Three advertisements with different story-telling types were shown to 420 subjects. Meaningful results are found out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king and understanding for the ads by storytelling type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ory interest and story understanding by storytelling types. There are same patterns of effects on brand attitudes. A few potentials values of the story-telling strategy in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are proposed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환경과 개인창의성 관계에서 동기부여의 매개적 영향에 대한 연구

        이철영 ( Yi Chull Young ),이종락 ( Lee Jong Ra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창의적 집단의 개인의 창의성 제고를 위한 이론적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환경 요소와 개인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외적 동기부여의 매개적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환경과 개인창의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매개가설을 수립하였으며,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 관련 종사자 2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분위기는 내적 동기를 매개하여 개인창의성에 유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동료관계, 제작시간, 자원지원은 내적 동기를 매개하여 개인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제작시간, 자원지원의 경우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광고제작을 위한 인력관리와 교육 및 업무환경 조성에 대한 실무적 의미뿐 아니라 이 분야의 이론적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re is a very few empirical studies on individual creativity in an advertising creative organization. This paper delves into the mediating role of job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ndition factors and individual creativity. The research hypothesis ar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on the above mentioned two concepts. 260 ad creative professionals are surveyed and the hypothesis tests are done with the causal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 motivation do not mediate between team culture and creativity, but, team member relation, job time and resource support are found to affect individual creativity via internal motivation. As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xternal job motivation, job time and resources supports are found to be mediated. The results of the paper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advertising creative teams. We urge further studies in the line that would help to better our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how we manage to create advertisement effectively in ad agencies.

      • KCI등재

        귀인성향과 PPL유형이 UCC 간접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 Lee Eunju ),이철영 ( Lee Chull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5 No.-

        본 연구는 간접광고의 합법화 이후 다양해진 PPL 유형과 귀인성향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은 어떠한 PPL 유형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실험물을 UCC영상 형태로 제작하여 외생변인을 최대한 통제하는 실험연구방법을 택하여 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매체 내에 PPL 브랜드를 스토리 구성에 맞게 화면 속 배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적으로 내적 귀인 하는 것이 브랜드를 직접 사용하여 배치하거나 대사로 언급하는 것보다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가 더 높았으며, UCC 영상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이었다. PPL 광고에서는 스토리 전개와 어울리는 PPL 유형과 그에 따른 소비자의 긍정적인 귀인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PPL type by screen placement, script placement and direct use placement. It examined the effects of PPL type upon affirmative and negative brand attitudes of consumers by using attribution theory. We investigated not only brand attitude depending upon PPL type but also attribution (internal attribution and external attribution) depending upon PPL type, and tested mutual reaction of the attribution, and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s UCC under three different conditions of types. As results, the screen placement in accordance with story with internal attribution in affirmative way had more favorable effect in both brand attitude and buying intention than stories with either direct use of the brand or use of script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