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스포츠시설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이준희(JoonHeeLee),조현민(HyunMinCho)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1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993 organizational members of the sports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in order to analyze causation between empowerment to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e reliability test by using Cronbach's alpha method has the following results: the empowerment reliability was .9283 and the reliability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8874. For data analysis, SPSS 10.0 and AMOS 5.0 statistical package were utilize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The empowerment to sports facilities organizational members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ausation between empowerment to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ports facilities organizational members. greate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Empowerment impa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greatly, when job satisfaction was used as a medium for empowerment.In conclusion, sports faciliti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mproved through realization of empowerment within an organization. Hence, when empowerment is consolidated to max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managing sports facilities, the organizational members' moral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rove. For this reason, management activities strengthening empowerment to organizational members are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생활체육 부상실태 조사를 통한 원인 규명 및 예방프로그램 개발

        이준희(JoonHeeLee),임비오(BeeOhLim)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5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동호인이 증가하면서, 생활체육 중 발생하는 부상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생활체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종목별 부상 원인을 규명하고, 부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국내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되는 스포츠 종목별 부상 종류, 원인 및 부위에 대한 자료는 국내에서 발표된 자료를 온라인 검색사이트(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 후 요약 정리하였다. 생활체육 현장에서 발생되는 부상의 대표적인 스포츠 종목으로는 축구, 배드민턴, 족구, 배구, 마라톤, 농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활체육 부상예방프로그램은 준비운동 3가지, 유연성 향상을 위한 9가지 운동, 근력 향상을 위한 3가지 운동, 점프 기술 향상(플라이오메트릭스)을 위한 7가지 운동, 민첩성 향상을 위한 5가지 운동,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5가지 운동, 정리운동을 위한 5가지 운동 등, 총 37가지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활체육 종목별로 부상의 원인은 준비운동의 부족과 운동기술의 결함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상의 원인을 고려한 잘 만들어진 생활체육 부상 예방프로그램은 생활체육 현장에서 발생되는 부상을 예방하여, 운동을 더 안전하게 운동의 기쁨은 더 크게 할 수 있다. The more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the more increase sports injur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sis sports injury mechanism through the overview of published articles and developing sports injury prevention program in sports for all field. The published articles were searched with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RISS) and reported with summarized data. Soccer, badminton, foot volleyball, volleyball, marathon and basketball were representative six sports event. The sports injury prevention program consists of three warm-up items, nine flexibility items, three strengthening items, seven plyometric items, five agility items, five balance items and five cool-down items. Sports injury mechanism were the lack of warm-up and motor skills. The well-made sports injury prevention program were prevention the sports injury in safe and enhanced the self-contentment.

      • KCI등재

        키네시오 테이핑이 배구선수들의 스파이크 속도에 미치는 영향

        이준희(JoonHeeLee),정홍용(HongYongJung)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는 배구선수의 스파이크 수행에 있어서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배구선수들의 어깨부위 키네시오 테이핑이 스파이크 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내 J도 소속의 고교 남자 배구선수 5명으로 하였으며, 레프트, 라이트, 속공, 후위공격에서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전ㆍ후에 따른 스파이크 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레프트에서는 4구간에서 실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간 및 구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라이트에서는 4구간에서 실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간 및 구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속공과 후위공격에서는 구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volleyball players' spiking and aims at analyzing how Kinesio taping for the shoulder influences spike speed in volleyball players. 5 high school volleyball players in J Province served as the subjects and their spike speed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left, right, a swift attack, and a back attack before and after the Kinesio taping.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ef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ase 4 after the experiment, and also did in both phase interaction and phase-group interaction. Second, the righ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ase 4 after the experiment, and also did in both phase interaction and phase-group interaction. Third, swift and back attack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hase.

      • KCI등재

        척수손상 환자의 탄성밴드운동이 골대사지표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홍대석(DaeSeokHong),이준희(JoonHeeLee),남혜주(HeaJooNam)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4주간의 탄성밴드를 이용한 상지 및 몸통근력운동이 척수손상환자의 골대사지표 및 상해부위 이하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 C병원의 외래 환자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휠체어 생활자 10명으로 모두 남자들로 골대사지표와 상해부위 이하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골대사지표로는 골흡수 표지자“DPD, NTx”와 골형성표지자“BALP, ALP, Ca”그리고 칼슘항상성 호르몬“PTH”그리고 좌측 대퇴 경부 및 요추골(L2~L4)의 골밀도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골대사의 골흡수 표지자(NTx)는 감소를, 골형성표지자(Ca)은 증가를 보였다. 골밀도의 경우 측정부위 모두에서 유의성은 없으나 정체를 보였다. 따라서 척수손상 환자의 탄성밴드를 이용한 상지 및 몸통근력운동은 골대사지표 및 손상부위 이하의 골밀도 감소 억제에 긍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strength Training with Theraband in upper body had effects on th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SCI). The subjects were Ten participants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all persons of men in this research, who were Outpatients at Clinic C in Incheon and do not exercise regularly.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of the femoral neck and the lumbar vertebra measured after filled in a questionnaire and consent form. Th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examined DPD, NTx, BALP, ALP, PTH, and C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reduction in bone resorption marker(NTx) and improved growth in Hormone for calcium homeostasis(Ca).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the bone mineral density(lumber spine, femoral neck) tended to be congested. In conclusion, it can be believed that the strength training with Theraband to positively trend on the bone mineral density decrease in a person with SCI.

      • KCI등재

        자전거 트레이닝이 아이스하키 선수들이 혈중 젖산 농도와 스케이팅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창영(ChangYoungLee),이준희(JoonHeeLee)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거 트레이닝이 대학교 아이스하키선수들의 혈중젖산과 스케이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16명의 대학교 아이스하키선수들을 무작위로 A형과 B형 트레이닝 집단으로 구분하여 5주간 자전거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A형은 실제 아이스하키 경기의 패턴과 거의 유사하게 1분30초(90초)간의 참여와 3분간의 휴식을 10회(총 900초) 반복하였고 B형은 15초, 20초, 25초, 30초의 참여와 45초, 40초, 35초, 30초의 휴식을 각각 10회(총 900초) 반복하였다. 그 결과 혈중젖산 분석은 트레이닝 중(p<.002), 트레이닝 직후(p<.001), 회복기 5분후(p<.004)에서 두 측정 집단과 측정 시점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케이팅 능력테스트에서는 18m shuttle×5(p<.03), Line-drill(p<.03), Rink-5 dash(p<.01)에서 두 측정 집단 간에 상호 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혈중 젖산분석과 스케이팅능력 테스트 모두 A형 자전거 트레이닝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아이스하키 선수들을 위한 자전거 트레이닝이 짧은 거리의 스케이팅 능력 보다는 긴 거리의 스케이팅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ort-specific cycle ergometer training on blood lactate levels and skating abilities in ice hockey players. Sixteen male collegiate ice hockey players were decided into A and B type training group and they both participated in cycle ergometer training for 5 weeks. A typ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pedaling time of a minute and thirty seconds (90 seconds) and resting time of 3 minutes and B typ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pedaling time of 15, 20, 25 and 30 seconds and resting time of 45, 40, 35 and 30 seconds. The results of blood lactate analysis shows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ve effects in mid-training (p<.002), post-training (p<.001), and 5minutes after training (p<.004).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skating abilities 18m shuttle×5 (p<.03), Line-drill (p<.03) and Rink-5 dash (p<.01). In conclus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blood lactate level and skating abilities of A type cycle ergometer training group and it showed that this type training methods affected long-distance skating abilities than short-distance.

      • KCI등재

        태권도 발차기 동작 시 숙련도에 따른 체간과 하지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황시영(SiYeongHwang),신윤아(YunAShin),이준희(JoonHee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이 연구는 태권도학과 시범단 8명과 일반학생 8명을 대상자로 선정을 하여 태권도 발차기 동작 시 숙련도에 따른 체간과 하지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태권도 앞차기, 돌개차기, 뒤후려차기 동작 시 이용되는 주요근육을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무릎을 들어올리는 동작(P1)과 발을 차는 동작(P2)구간별로 근 활성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앞차기 동작 시에는 비숙련자들은 체간의 하부복직근의 활성도와 차는발의 대퇴이두근 및 지지발의 내측광근 및 외측비복근의 활성도가 숙련자보다 높고, 허리세움근 2개의 근활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돌개차기(턴차기) 동작 시 회전동작에서는 숙련자들의 대퇴이두근과 척추근의 활성도가 비숙련자보다 높고, 차는동작에서는 하지 근 활성도는 대퇴이두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뒤후려차기 동작 시 비숙련자들의 차는발 외측비복근과 지지발의 대퇴근육 3개의 근 활성도가 숙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숙련자들은 회전동작에서 체간을 사용하며 빠르게 회전하고 차는 발의 근 활성도가 높지 않지만, 비숙련자들은 차는발과 지지발에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차는 동작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체간근육보다는 하지에 힘이 들어가 비효율적인 동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stery of Taekwondo kicking motions with the subjects of 8 demonstration team members and 8 undergraduates in Taekwondo major at University. The muscles mainly used for Taekwondo’s front kick, tornado kick, or turning hook kick are total 8 trunk muscles and 8 lower limb muscles of the kicking foot as well as the supporting foot. Analyzing the muscular activities of those areas comparatively, the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At the front kick, non-experts showed higher lower abdominal muscle, biceps thigh muscle activity of the kicking foot and lateral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of the supporting foot but lower 2 spinals muscular activity than experts. At the tornado kick (or turning kick), in the turning motion, experts indicated higher activity in biceps muscle of thigh and spinalis than non-experts whereas in the kicking motion, they didn’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except biceps thigh muscle activity. At the turning hook kick, non-experts indicated higher lateral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of the kicking foot and quadricpes femoris muscle activity of supporting foot muscular activity than experts. In summary, experts tend to use their trunk in the turning motion for rapid turning and show rather low muscular activity of their kicking foot. However, non-experts indicate high muscular activity in their kicking foot and supporting foot, which means to maintain balance in the kicking motion, they tend to make use of their lower limb more than trunk muscle, and it leads to an inefficient motion.

      • KCI등재

        휠체어농구선수와 마라톤선수의 골밀도 및 골대사지표 특성 연구

        홍대석(DaeSeokHong),남혜주(HeaJooNam),이준희(JoonHeeLee)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 농구선수와 마라톤선수의 상해부위 이하의 골밀도 및 골대사지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대한 장애인 체육회 가맹경기단체 소속의 척수손상 휠체어 운동선수 24명으로, 이 중 휠체어 농구선수와 마라톤선수는 각각 14명이었다. 본 연구는 인천 C병원과 서울의 K건강 검진 센터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자는 검사당일 질문지와 동의서를 작성 후 좌측 대퇴 경부와 요추골의 골밀도와 골대사를 측정하였다. 골대사로는 골흡수 표지자 "DPD, NTx"와 골생성표지자 "BALP, ALP" 그리고 칼슘항상성 호르몬인 "PTH, Ca"를 검사하였다. 운동 유형에 따른 척수장애인 엘리트 선수들의 요추골과 대퇴골의 골밀도를 검사한 결과 농구집단이 측정부위 모두에서 마라톤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골흡수표지자 "DPD와 NTx"에서는 실험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농구 선수군이 낮게 나타났으며, 골형성표지자 "BALP와 ALP"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휠체어 농구선수가 골 감소 예방에 긍정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wheelchair basketball and marathon athletics had effects on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Forty two participants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4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14 wheelchair marathoners.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of the femoral neck and the lumbar vertebra measured after filled in a questionnaire and consent form. Th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examined DPD, NTx, BALP, ALP, PTH, and C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of the lumber spine bone density were significantly shown high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femoral neck was explain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athletes.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DPD and NTx tended to be decreased with the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Moreover, the concentrations of BALP and ALP tended to be increased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In conclus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frequent exercises of versatile ball sports prevent osteoporosis in a person with paraplegia.

      • KCI등재

        편측 운동종목 선수의 신체 정렬상태와 평형능력 비교

        정선영(SunYoungJung),남혜주(HaeJuNam),홍대석(DaeSukHong),이준희(JoonHeeLee),김종경(JongKyungKim),노호성(Ho-sungNho)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1

        대부분의 운동선수들은 경기력 향상을 위해 같은 동작을 수없이 반복해야한다. 편측 형태의 움직임은 신체 좌·우 근육의 불균형과 체간 및 흉곽이 변화되는 것뿐만 아니라 골반의 전위를 유발하고 균형능력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 운동을 하는 선수(야구 투수, 배구, 배드민턴, 테니스 총 40명)의 신체정렬상태를 분석하고 평형능력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신체정렬상태는 3차원 영상분석기(Formetric 4D,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평형능력은 자세조절 측정기(Posturomed, Hyder, 독일)를 이용하여 정적과 동적 평형능력의 자세동요지수를 측정하였다. 신체정렬상태에서 몸통의 앞ㆍ뒤 기울기각, 몸통의 좌ㆍ우 기울기각, 골반의 기울기각, 골반의 비틀림 각 ,골반의 회전각은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흉추의 후만곡, 요추의 전만곡, 척추 측만곡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척추 분절회전각은 우측으로 테니스 선수가 가장 높았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적 평형능력과 동적평형능력에서 X축으로 흔들림과 Y축으로의 흔들림의 합은 오른발과 왼발 측정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당종목 운동선수들에게 신체의 바른 자세 유지 및 스포츠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종목에 알맞은 트레이닝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Most of the athletes chronically use the same muscles to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in matches. The one sided movements not only lead to the im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muscles, but also transform truncus and thorax. In addition, these movements can lead to the pelvis dislocation, which affects balance activity as we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baseball pitcher, volleyball, badminton and tennis players as to balance activity and body alignment. Body alignment was measured by using 3D image analyzer(Formetric 4D, Germany). As for the balance activity, Postural Sway Index was measured by posture calibration measurement device(Posturomed, Hyder, Germany)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activity. In case of the body alignment,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omes to the angles when trunk inclination, trunk imbalance, pelvic tilt, pelvic torsion and pelvic rotation. Moreo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kyphotic angle, lordotic angle and lateral deviation. As for the surface rotation, tennis athletes were the highest on the right sid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right and left feet regarding the sum of swaying towards X and Y axes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Our results suggest that an appropriate training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body and reduce sports injuries in athlete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체육계열 학과 입시생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참여 빈도가 순발력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송승은(SeungEunSong),김영재(YoungJaeKim),김경(KyungKim),이준희(JoonHeeLee)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6

        본 연구는 체육계열 입시 준비생에게 대학별 실기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시간에 대해 조사하고, 계획성 있는 입시 준비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S시에 위치한 체육계열 입시준비 기관에서 교육중인 학생 총 60명을 모집하였으며, 6주 동안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3회/주 30분씩 실시하여 입시 운동과 병행하였다. 주기적으로 운동한 집단과 토요일 1회/주, 90분 입시 운동과 병행하여 집중적으로 운동한 집단, 그리고 입시 운동만을 시킨집단 간의 순발력 및 민첩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의 경우 입시 운동을 하면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주기적(3회/주, 각 30분씩)으로 운동한 집단과 입시 운동을 하면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집중적(1회/주, 90분)으로 운동한 집단 간에는 제자리멀리뛰기에서는 주기적으로 운동한 집단이 향상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그리고 여학생들의 경우는 대부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 practice time for practice of each collage and to provide systematic entranceexamination preparation data for students, who prepare for entrance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study, a totalof 60 students studying in the institute for entrance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in S City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and 3times/week plyometric training was conducted along with entrance examination exercise for 30 minutes and for 6 weeks. After that, this study analyzed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power and agility among the groups that did training regularly, didintensive training along with 1 time/week entrance examination exercise for 90 minutes on Saturday and only did entranceexamination exercise.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Two-way ANOVA were carried out using theWindow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for male students, the group that did regular plyometric training(3times/week, for 30 minutes) along with entrance examination exercise, showed an improvement in standing long jump thanthe group that did intensive plyometric training(1 time/week, for 90 minutes) along with entrance examination exercise, but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most of female students showedno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