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이공계 대학생의 단기 해외연수 경험 분석

        이정아(Jeong-Ah Lee),장인철(In Chull Ja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대학 국제화 기조와 함께 많은 대학이 다양한 형태의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학생들의 해외연수 경험과 평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참여 학생의 연수 결과보고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미국대학 단기 해외연수에 참가한 이공계특성화대학 학부생 175명의 연수 결과보고서를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연수 경험에 대한 주제 지도를 파악해보았다. 추출된 토픽은 크게 문화와 학업으로 범주화되었고, 전자에는 문화간 의사소통, 인간관계, 일상생활, 여행, 문화체험이, 후자에는 UCB 학업, JHU 학업, 과학 관련 수업, 수업 정보, 수업 활동이 포함되었다. 두 가지 범주를 매개하는 키워드로는 수업, 학생, 영어, 시간, 생각이 추출되었다. 토픽모델링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연수 참가 학생의 경험을 다면적으로 조망한다. 또한, 담론분석방법으로서의 토픽모델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논의한다.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many universities have be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various types of study abroad programs to promote students’ global sensitivity and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students’ post-journey reports on study-abroad activities and evaluation,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ir perceived experience and educational effects of a study abroad progra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175 reports from the students at a STEM-specialized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its short-term study-abroad program hosted by U.S.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corpus of report texts using a topic-modeling method. The analysis shows that generated topic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ulture and study. The former category includ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 everyday life, tourism, and firsthand cultural experience, whereas the topics in the latter category are study at UCB, study at JHU, science-related courses, course information, and classroom activities. The keywords connecting these two categories are class, student, English, time, and idea. The semantic map resulting from the generated topics and keywords were compared with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o gain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students’ study-abroad experience.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opic-modeling as a tool for discourse analysi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텍스트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영어 단어 식별력 비교

        이정아 ( Lee Jeong-ah ),이윤 ( Lee Yoo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20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text typ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rd identification. Eighty-four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were sampled for the experimen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reated during an 8 week period. Students were taught reading instruction using different types of reading materials: Decodable texts and high-frequency vocabulary texts. The reading materials were chosen from popular textbook series and revised based on CWF (Critical Word Factor). Texts were based on curriculum vocabulary, and matching communication functions in the textbook and the word patterns which had low learning difficulties such as CV, VC, CVC, CCVC.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carried out on students’ word identification abilities and the students’ reading miscue was analyzed using Reading Miscue Analysis for students’ word strategies use. The research found that students in the decodable text group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their word identification than the high-frequency vocabulary text group. It means that the decodable texts scaffolded for using word identification strategies. It was shown that they advanced to the latter part of the word identification phase that they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letter-sound relationships for word decoding.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on textbook development and reading instru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이공계특성화대학 학부생의 미국 대학 단기 해외연수 경험과 효과에 대한 인식

        이정아(Lee Jeong-Ah),장인철(Jang In Chul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이공계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방안으로 최근 다수 대학이 운영하는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큰 비용과 자원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교육 효과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은 이공계특성화대학인 D 대학의 학부생 해외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연수참여생의 학습 경험과 그들이 인식하는 효과를 통해 탐색한다. 이를 위해 연수에 참여했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동기와 연수 효과의 경우 전공 지식의 함양보다는 해외 대학 수학과 문화 경험이 더 주요했다. 둘째, 수업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주로 수업에서 요구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셋째, 수업 외 주요활동은 일상적인 생활과 여행이었는데, 여행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과 리더십이 향상된 것으로 인식했다. 넷째, 인간관계 측면에서는 D 대학 동료들이 핵심 인적네트워크였으나, 일부는 수업과 문화체험 행사를 통해 외국인과 관계를 만들기도 하였다. 다섯째, 영어실력 부족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현지에서 직접 부딪히며 영어 사용에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현재 D 대학 해외연수 프로그램은 이문화 경험, 일상적 문화 접촉, 영어에 대한 자신감 향상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교육 효과를 내고 있다.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recently developed and implemented study abroad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global competence,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done on students’ experience and assessment of the programs. Using questionnaire and focus-group interview methods, this paper explores how undergraduate students in a STEM-specialized university perceive their learn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effects of a short-term study abroad in U.S.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studying abroad because of their desire to experience overseas college life and culture. Second, students’ responses to classroom activities show that they mostly carried out the tasks required in the courses. Third, the dominant types of students’ outside-class activities included everyday tasks and travels. In particular, they reported that travels helped to enhance problem-solving and leadership skills. Fourth, students’ social networks were mostly formed with students of their home university. However, some succeeded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local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host universities in class and through cultural events. Fifth, even though students struggled with communicating with locals due to different types of language barrier, they indicated that they could improve confidence in English speaking as they used English in everyday and authentic contex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y abroad program has helped students to improve competence relating to everyday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confidence in English.

      • KCI등재후보

        만성 지연행동과 적응

        이정아(Jeong-Ah Lee),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특정 과제의 착수와 완성을 불필요하게 미루는 지연행동은 목표활동이 아닌 대체 활동을 향해 잘못된 방향으로 노력을 투여하는 적극적인 회피행동으로 볼 수 있다. 광범위한 일상생활 장면에서 다양한 지연행동을 보이는 만성 지연은 불안, 우울, 자아 효능감 저하 등의 심리적 문제와 관련되며, 학업/직무수행 저하 및 건강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다양한 심리적 변인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 만성 지연행동이 단순히 게으름이나 시간관리 기술의 부족이라기보다는 인지, 행동, 정서 요인과 관련된 복합적 특성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연행동이 인지, 동기, 정서과정에서 상이한 특성을 보임에 따라 하위유형을 분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연의 유형별 특성을 밝히려는 이러한 노력은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지연과 적응/건강의 관련성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연행동의 발달에 기여하는 과정변인에 대해 다각적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Unnecessary delay of start and completion of a specific task may be considered as an active avoidant behavior which puts some endeavor into a wrong direction not toward a target activity but an alternative one. Chronic procrastination which refers to a variety of postponing behaviors in a diverse settings of daily lif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low self-efficacy, and etc. In addition, chronic procrastination can produce low academic/job performance and health problems. Research on procrastination and its relation with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has identified that procrastination is not laziness or a lack of time management skill but rather than a complex property with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variables. In addition, as studies have found that procrastin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cognitive, motivational, emotional proces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lassify subtypes of procrastination. The investigation of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ill help us offer sophisticated and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rel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and adaptation/health, future study needs to take a multiple perspective approach to process variables involving in the development of procrastination. (Korean J Str Res 2009;17:199∼207)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정아 ( Jeong Ah Lee ),문성환 ( Seong Hwan M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이 연구는 6학년 실과, 과학, 사회 교과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실과, 과학, 사회 교과의 2007년 개정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과 내 환경교육 내용이 반영된 학습내용 및 단원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와 연계한 12회기 20차시 분량의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정현희(2008)의 환경소양 측정 검사지를 6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과와 연계한 20차시 분량의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환경교육 주제는 에너지 절약, 지구 온난화, 생활자원 관리, 동물보호 등의 12가지이며 각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 및 인쇄 공익자료를 선정하여 학습 자료로 제시하였다. 둘째,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의 환경소양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사후검사의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환경소양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기능을 제외한 지식, 정서, 행동 영역 부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연구 자료들은 실과, 과학, 사회 교과 수업시간을 활용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so as to develop subjects-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ublic advertisement which can be applied to practical arts, science, society subject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2007 revised curriculum of subjects including practice, science and society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ying contents and units which are reflect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confirmed. In addition, based on it, Practice Arts, Science and Society subject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was developed and total 20 times of classes were fulfilled by using classes of the subjects for 12 w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o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ing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and used for the standard of the sixth grade.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elementary subjec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of 20 times was developed. Subjec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re 12 things such as energy conservation, global warming, the management of living resource, protection of animals, and so on. After selecting various images and printed public materials, it was possible to suggest learning materials. The second,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ublic advertisement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nvironment knowledge. When before and after 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after test scores were statistical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est scores. When experiment and comparative group were compared, scores of experiment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higher scores. If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bjects-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public advertisement made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to the fulfill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lasses of practice arts, science and society.

      • KCI등재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을 통해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정아(Jeong-ah Lee),서용원(Young-Won Suh)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직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이직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내적 가치인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터영성을 촉진하는 방법 중, 리더측면에서 영성 리더십의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 측면에 서 조직이 제공하는 영성지원 프로그램의 영향을 분석하며, 개인측면에서 부하의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5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Spiritual Leader Scale’이라는 영성 리더십 척도 개발을 통해 좀 더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영성 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을 일터영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직장인 331명의 응답을 분 석한 결과, 영성 리더십, 지각된 조직지원이 부하의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영성 리더십이 일터영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터영성은 영성 리더십과 직무열의, 이직의도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에서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고, 다양한 복리후생 제공을 통해 부하들의 지각된 조직지원이 높을수록, 영성 리더십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영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조직은 복리 후생을 통해서만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영성 리더 십을 통해 직원들의 내적 가치 체계인 일터영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그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research analyzed 'Workplace Spirituality' focusing on job’s meaning, relationship of people at the workplace. For workplace spirituality facilitation, this research analyzed leader, organization and individual facets. On leader’s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 leadership because it is not studied in this area. On organizati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roviding organization to facilitate individual spirituality. On pers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research consisted of 2 parts. Part 1 redefined comprehensive concept of spiritual leadership and developed a new scale that can contribute to succeeding research in this area. Part 2 verified four hypotheses as below: First, this research verified antecedent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spiritual leadership,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re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organizations provide, the more spiritual leadership strengthen workplace spiritualty. And if employees perceive highly organizational support, then spiritual leadership's effect on workplace spiritualty gets higher, too. Third, the research verified how workplace spirituality is mediating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sion, engagement. Fourth, the research shows that spiritual leadership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engagement, turnover intension. So, this study revealed organization facilitate employees' workplace spirituality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employees' engagement and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sion.

      • KCI등재

        하타요가 운동이 폐경기 비만중년여성의 렙틴농도와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영향

        Jeong-Ah Lee(이정아),Do-Yeon Kim(김도연)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5% 이상인 폐경기 비만중년여성 26명을 대상으로 하타요가 운동이 체조성과 렙틴 및 대사증후군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과 렙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타요가 운동을 16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체조성, 렙틴 및 대사증후군인자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하타요가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내장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골격근량(SMM)은 증가하였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렙틴,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인슐린, 글루코스 및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하타요가집단의 렙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인자는 HDL-C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하타요가운동으로 체지방의 감량이 렙틴저항성을 개선하여 렙틴의 감소와 대사증후군인자의 개선으로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atha Yoga exercise on serum leptin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in obese and menopausal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26 obese women divided into the Hatha Yoga exercise group (n=13), which trained for 1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13). Variables of body composition, serum leptin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16-week Hatha Yoga trai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Hatha Yoga group were as follows: body weight, % fat, BMI, WC, WHR and VFA had significantly decreased, but SMM had increased. HDL-C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ut leptin, TC, TG, LDL-C, insulin, glucose and HOMA-IR had decreased.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changes in VFA were % body fat, BMI, WHR, TC, LDL-C, glucose, and HOMA-IR. Therefore, regular and continuous Hatha Yoga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body composition, visceral fat and serum lipids. Consequently, Hatha Yoga exercise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caused by obesity in obesew and menopausal middle-age women.

      • KCI등재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Jeong-Ah Lee(이정아),Ji-Hyeon Kim(김지현),Jong-Won Kim(김종원),Do-Yoen Kim(김도연)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2% 이상인 폐경 후 비만여성 3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이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집단(18명)과 통제집단(18명)으로 나누어 유산소운동인 라인댄스를 16주간 실시한 후 체조성,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를 운동전과 후로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BF), 체질량지수(BMI), 내장지방면적(VFA), 렙틴(Leptin), 인슐린(Insulin), 글루코스(Glucose),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B,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및 수축기혈압(SBP)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A-1, 그렐린(Ghrelin)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산소운동집단의 내장지방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회귀분석결과에서 주요요인으로 그렐린, 인슐린, 글루코스 및 HOMA-IR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조성, 내장지방,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HOMA-IR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the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obese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hirty-six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mean age, 54.47 ± 2.50 years) with >32 % body fat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aerobic exercise group (n = 18) or to a "no exercise" control group (n = 18). The subjects"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leptin, ghrelin levels, and HOMA-I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 16-week line-dancing program. The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percent body fat, body mass index, visceral fat area, leptin, insulin, glucose, HOMA-I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polipoprotein B,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addition, this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polipoprotein A-I, ghrelin,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energy metabolic factors that influenced the visceral fat included ghrelin, leptin, insulin, glucose, and HOMA-IR. The t-value, which determin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for ghrelin, glucose, insulin, and HOMA-IR (p < 0.05). Regular and continuous aerobic exercise (e.g., line dancing) effectively improved the body composition, visceral fat,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obese postmenopausal Korea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