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댄스스포츠 지도자 자질에 대한 선수의 기대수준과 지각수준 분석

        이인(InLee),김경숙(KyungSookKim)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는 현 댄스스포츠 선수들이 기대하는 지도자의 자질과 실제 지각하는 지도자의 자질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속된 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 추출하였으며, 수거된 자료 중 207명의 자료를 SPSS v.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및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대하는 자질영역은 ‘전문적 자질'이, 실제로 지각하는 자질영역은 ‘인성적 자질'이 가장 높았으며, 기대와 지각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인간관계적 자질'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에 따라 지도자의 자질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대와 지각 차이에 대한 소속별 차이검증 결과 인성적 자질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세부전공에 따라 자질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기대와 지각 차이에 대한 세부전공별 차이검증 결과 전문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경력에 따라 전문적 자질, 인간관계적 자질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인성적 자질에 있어서는 1-3년 미만, 3-5년 미만, 5년 이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대와 지각 차이에 대한 경력별 차이검증 결과 자질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지도자와 지낸 기간에 따라 자질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기대와 지각 차이에 대한 지도자와 지낸 기간별 차이검증 결과 인성적 자질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ancesport athletes' expectation and perception of coach's virtues. 250 dance-sport athlete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ose who were selected, 207 successfully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12.0. One way ANOVA and t-test was done. 'Professional quality' was ranked at the top of the expected virtues. As for the perceived virtues, 'humanity quality' ranked first. 'Human relation quality'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perception. All virtues of coach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ance-sport athlete's social position, detailed major and the time the athlete and coach have been together. Cross-verif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umanity quality'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and the time the athlete and coach have been together. 'Professional quality' and 'human relations quality' according to detailed major. 'Professional quality' and 'human relations qua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ersonal career of athletes. Significant difference in 'humanity quality' was observed in athletes with experience of 1-3 years, 3-5 years or 5years or more. Cross-verif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irtues.

      • KCI등재

        댄스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인지된 전문성과 종목 이미지, 운동 지속의도와의 관계

        이인(In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에 대한 인지된 전문성과 종목 이미지, 운동 지속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57명의 자료를 SPSS v.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가 신체적 이미지를 높게 인식하였고, 자주 참여할수록 지도자 전문성 및 운동 지속의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2-3년, 4-5년 참여자가 지도자 전문성과 운동 지속의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대회 유경험자가 지도자 전문성 및 신뢰적 이미지와 운동 지속의도를 높게 인식하였고, 라틴과 스탠다드 두 종목 참여자가 신체적 이미지 및 운동 지속의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인성, 실기지식능력, 기본원리강조, 지도기술이 신뢰적 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기본원리강조, 지도기술이 신체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성, 회원관리, 실기지식능력이 운동 지속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종목 이미지는 운동 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지도자 간 교류를 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필요하며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협업, 홍보 등이 요구된다. Among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tise, the event imag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perceived from the instructor was examined from the dancesport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 18.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les perceived the physical image highly. the more frequently participated, the higher the instructor``s expertis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were perceived.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between 2-3 years and 4-5 years perceived the instructor``s expertis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highly. the experienced participants perceived the instructor``s expertise, reliable imag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highly.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both Latin and Standard perceived the physical imag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highly. Second, the personality, knowledge capability of the practical skills, emphasis on the basic principle, and the teaching skill had positive impacts on the reliable image and the emphasis on the basic principle and the teaching skills had the positive impacts on the physical image and the social image. the personality, member management and the knowledge capability of the practical skill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Third, the event image had the positive impacts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 KCI등재

        무용 전공자들의 무용포기 및 진로 고미에 관한 탐색

        함지선(JiSunHam),이인(InLee),김경숙(KyungSookKim)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는 무용을 오랜 기간 지속해온 무용전공자들이 무용을 중도 포기하고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원인과 무용 환경 및 무용교육과정의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무용을 전공한 후에 무용을 포기하고 무용과 관련 없는 다른 분야의 직업을 가지고 있는 무용과 졸업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차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용전공자들은 어릴 때부터 무용수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꿈을 안고 시작한 이후에 심신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공연 후의 희열감과 성취감 등의 경험으로 인해 무용에 매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무리한 동작 및 연습으로 인한 잦은 부상, 신체적인 조건의 한계, 지속적인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내적인 요인과 무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경제적인 부담, 인맥위주의 분위기, 실기위주의 무용교육과정과 같은 행정상 문제 등의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무용을 포기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전공자들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에 대해 성찰하고 다양한 진로를 고민해보는 적극적인 자세로의 변화가 요구되며 무용수 이외의 다양한 경험을 하거나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지인들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할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professional dance performers give up dance and change their career paths, focus on the rationale behind such decisions and investigate any possible improvements in this decision making.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4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y had studied and practiced dance for over 10 years but they gave up their respective dance careers and currently work in fields which are not related with dance. To collect the data, first, semi strustured interview was composed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were executed in two separate occasions. In conclusion, there were internal reasons and external reasons participants abandoned dance as their major. The participants started dance starting dance with vogue dream and yearning and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of their mind and body and also were able to experience of delight and achievement after completion of each performances. Despite such positive changes and experience, the internal factors for giving up the career could be frequent injury caused by burdensome training, limit in physic and stress from continual competition. The external factors are negative recognition of dance, economical issues, negative experience from school/group oriented relationships and dance curriculum that focuses on dance more as a physical activity than in-depth study. To improve these factors, dancers should reflect on each of their possibilities, change to active attitude searching diverse path and various experience expect dance. Also, it is presented effort asking help acquaintance with pride they are able to do what they want to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