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MPI-2 군집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원 대학상담센터 내담자의 유형 분류

        이상일(Lee Sangil),이유경(Lee Yugyeung),정두영(Jung Doo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원 대학상담센터를 방문한 대학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과학기술원 내 대학상담센터를 방문한 학생들의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제 2판(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이하 MMPI-2)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 그리고 내용 척도와 보충 척도 자료를 사용해 대학상담센터를 방문한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과정에서는 총 151명의 MMPI-2 타당도 및 임상 척도를 사용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특징을 내용 척도와 보충 척도를 통해 구체화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1은 ‘경미한 주관적 불편감 유형(총 60명, 39.74%, 척도 2 = 64.13점, 척도 7 = 62.05점, 척도 0 = 63.40점, ANX = 65.03점, DEP = 62.78점, LSE = 61.15점, SOD = 64.37점, WRK = 62.90점, Mt = 65.80점)’. 유형 2는 ‘심한 주관적 고통 호소 유형(총 28명, 18.54%, FBS = 67.29점, 척도 7 = 75.04점, 척도 2 = 72.14점, 척도 8 = 66.36점, ANX = 76.36점, DEP = 71.43점, HEA = 62.36점, OBS = 61.61점, Mt = 73.25점, PK = 69.57점, A = 66.93점)’, 유형 3은 ‘정상 프로파일 유형(총 63명, 41.72%,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를 비롯해 모든 척도들이 정상범위에 속함)’으로 정의되었다. 특히, 유형 2인 ‘심한 주관적 고통 호소 유형’의 경우 정서적 고통감과 낮은 자존감 그리고 자살 위험성을 나타내는 척도들의 상승이 나타나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각 유형들에서 비방어적인 태도와 낮은 외적 공격성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일반 종합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 방어적 집단이나 신경증적/정신증적 문제를 시사하는 프로파일 유형이 나타나지 않고 주관적 불편감 수준으로 유형이 분류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치료적 함의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ubtypes of university student who visited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Data from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of stud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in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were used. Specifically, we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using the validity scale, clinical scale, content scale and supplementary scale data. In the final analysis process, a total of 151 MMPI-2 validity and clinical scales were used to perform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types were concretized through content and supplementary scales. Type 1 was defined as Types of mild subjective discomfort(60, 39.74%, Scale 2=64.13, 7=62.05, 0=63.40, ANX=65.03, DEP=62.78, LSE=61.15, SOD=64.37, WRK=62.90, Mt=65.80), Type 2 as Types of severe subjective pain appeals(28, 18.54%, FBS=67.29, Scale 7=75.04, 2=72.14점, 8=66.36점, ANX=76.36, DEP=71.43, HEA=62.36, OBS=61.61, Mt=73.25, PK=69.57, A=66.93) , and Type 3 as Normal profile type (63, 41.72%, all scale including the validity scale and clinical scale are within the normal range) . In particular, Type 2 as ‘types of severe subjective pain appeals’ is considered that careful attention is needed because the scales indicating severe emotional pain, low self-esteem, and suicidal risk were elevated. On the other hand, non-defensive attitude and low external aggression were common in each type. And it is noteworthy that unlike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with general university students, no profile types suggesting defensive attitude, neurotic or psychotic problems appear and that the types are classified to subjective levels of discomfort. Finally,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