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막질환 환자를 위한 시청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수술적 치료 전 환자를 중심으로

        신은숙(Eun-Suk Shin),김장순(Jang-Soon Kim),이연후(Yeon-Hu Lee),안민정(Min-Jeong An),황윤영(Yoon-Young Hwang)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2

        본 연구는 망막질환 수술 전 환자에게 시청각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환관련 지식, 불확실성, 불안 및 간호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 총 80명이었다. 중재로 실험군에는 입원 당일 시청각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였고, 대조군에는 입원 당일 기존 안내서와 교육자료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질환관련 지식(F=5.32, p =.024)과 간호교육 만족도(F=8.67, p =.004)가 증가하였다. 효과크기는 질환관련 지식과 간호교육 만족도에서 에타제곱 (η<SUP>2</SUP>) 0.07과 0.10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시청각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정보제공은 수술 전 망막질환 대상자의 질환관련 지식과 간호교육 만족도 상승에는 효과적이었으나, 불확실성과 불안을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과 불안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정보제공만으로 효과가 충분치 않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의료진의 정서적지지 등을 포함하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diovisual education program on disease-related knowledge, uncertainty, anxiety,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i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retinal disease.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was applied. A total of 80 patients were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group or a control group(each, n=40, respectively).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the audiovisual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usual c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Upon the intervention completio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F=5.32 <SUP>*</SUP>, F= 8.67 <SUP>**</SUP>, respectively). The effect size for the intervention i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was η<SUP>2</SUP>=.07 and η<SUP>2</SUP> =.10.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uncertainty and anxiety between the groups. This study finding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preliminary effectiveness of the audiovisual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improve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and/or strategies to reduce their uncertainty and anxiety including medical personal emotional support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health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