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컨볼루션신경망을 이용한 시계그리기검사의 알츠하이머 치매 선별 가능성 확인

        이시안 ( Lee Si-an ),홍준화 ( Hong Junhwa ),김나연 ( Kim Nayeon ),민혜민 ( Min Hyemin ),양하민 ( Yang Hamin ),이시현 ( Lee Sihyeon ),최서진 ( Choi Seojin ),박진혁 ( Park Jin-hyuc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컨볼루션신경망을 이용한 시계그리기검사의 알츠하이머 치매 선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정상 노인 40명,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20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리기검사를 시행한 후 결과 이미지를 증강기법을 적용하여 총 600장의 이미지를 확보 하였다. 600장의 이미지를 8:2 비율로 훈련과 검증용으로 분류한 뒤 5겹 교차 검증하여 컨볼루션신경망 학습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총 10회 검증의 평균으로 검증 결과를 분석하였고,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정상 노인과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은 인지선별검사(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를 제외하고 성별, 나이, 교육수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컨볼루션신경망의 알츠하이머 치매 선별 정확도는 85%, 민감도는 87.5%, 특이 도는 80.0%를 보인 반면 인지선별검사의 정확도는 80%, 민감도는 87.0%, 특이 도는 65.0%를 보였다. 결론: 비교적 적은 양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컨볼루션신경망을 이용한 시계그리기검사는 인지선별검사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높은 특이도는 기록하였는데, 이는 지역사회 보급 시 위양성을 줄일 수 있다는 선별검사로서의 장점과 인지선별검사의 대체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Clock Drawing Test (CDT)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for detecting Alzheimer’s disease (AD). Methods: 40 healthy older adults and 20 patients with mild AD conducted the CDT and then a total of 600 result images were established using augmentation techniques. 600 image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raining or test data sets, and 5-fold cross validation was applied. The CNN model was validated by 10 repetition tests, and its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groups with exception of the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score. The CNN model achieved the accuracy of 85.0%, sensitivity of 87.5%, and specificity of 80.0%, whereas the CIST showed the accuracy of 80.0%, sensitivity of 87.0%, and specificity of 65.0%. Conclusion: Despite being based on a small amount of data, the CDT with CNNs showed higher accuracy than the CIST. Notably, it achieved a high specificity, which suggests that it has an advantage as a screening test in reducing false positives when disseminated in community settings and it could be a surrogate of the CIST.

      • 이마앞엽 활성도를 이용한 인지 과제 난이도 예측 알고리즘 구축

        전유진 ( Jeun Yu-jin ),김은진 ( Kim Eun-jin ),박도희 ( Park Do-hee ),이시안 ( Lee Si-an ),정다빈(1) ( Jung Da-bin(1) ),정다빈(2) ( Jung Da-bin(2) ),박진혁 ( Park Jin-hyuc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2

        목적: 본 연구는 훈련 시 사용하는 난이도를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fNIRS)를 이용한 이마앞엽 활성도로 사용하여 대상자 맞춤 난이도로 훈련을 제공하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이마앞엽 활성도 기반의 난이도 예측 알고리즘 개발연구로 이를 위해 45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먼저 4가지 인지 과제를 하는 동안 이마앞엽의 뇌활성도를 측정하여 데이터셋을 만들고 기계학습을 통해 변수를 선정하여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예측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구축한 알고리즘을 대상자 맞춤형 난이도로 활용하여 인지훈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로 대상자 1명이 참여하였다. 훈련은 30분간 총 5회를 가상현실 속에서 목표지점을 찾는 가상현실 기반 공간 인지 과제로 훈련하였으며, 매회 직전에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훈련에 사용할 난이도를 측정하고 훈련에 적용하였다. 또한, 실험 전, 후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를 착용한 체 선로 잇기 검사를 시행하여 대상자의 훈련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난이도 예측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는 복외측 전전두엽 피질의 뇌활성도 변수로 종속변수는 2개의 난이도로 군을 나눈 것으로 선정하였고,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을 비교한 결과 로지스틱회귀분석 알고리즘에서 86% 정확도로 가장 높게 난이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구축한 알고리즘을 5회기의 공간인지 훈련에 대상자 맞춤 난이도로 적용한 결과 훈련 동안 이마앞엽 활성도와 공간인지 수행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훈련 전후의 결과에서도 뇌 효율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재활훈련에 있어 대상자의 수행도 뿐 아니라 생체신호 기반의 객관적 근거를 토대로 훈련의 난이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raining with a customized difficulty and confirm its effectiveness by using the difficulty used during training as the activity of prefrontal cortex using fNI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stages. First,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difficulty prediction algorithm based on the activity of prefrontal cortex, and 45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four cognitive tasks, the brain activity of prefrontal cortex was measured to create a dataset, and variables were selected thoroug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re developed, and prediction accuracy was verified. Second, a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training by using algorithm, and one subject participated. Training was conducted five times for 30 minutes as a spatial cognitive task and before each training, the difficulty level to be used for training was measured using fNIRS and applied. Trial making test(TMT) by using fINRS was also evaluated at pre- and post-test. Results: In order to develop an algorithm, the variable was selected as the brain activity of VLPFC and cluster of two difficulty level group. The highest accuracy was 86%, which was logistic regression algorithm.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algorithm to the subject’s customized difficulty level for spatial cognitive training, activation was increased in prefrontal cortex and performance also was increased during train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patial cognitive training with subject-customized difficulty level using activity of brain would be useful in increasing in activation in prefrontal cortex and improving spatial cognition, which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 brain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