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이수한(Soohan Lee),소경희(Kyunghee S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4

        The transition into posthuman era has called for the departure from humanist and representationalis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that provide specific tools to explore educational phenomena. Actor-Network Theory (ANT) has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qualitative research that focuses on various socio-material phenomena emerging as effects of more-than-human entanglements.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s of analyzing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 ANT as one of posthumanis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to examine the key issues of utilizing it. This article names ANT-ish approaches to analyzing (educational) heterogeneous phenomena as ‘assembling’ and discusses the ‘post-critical’ aspects and the major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ch approaches. Next, it examines the following issu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educational) qualitative researcher’ utilizing ANT; researchers’ positionality, ways of data analysis and writing, and validity of ANT-based qualitative research. Finally, the directions are suggested for developing ANT-ba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orking in practice) to delve into the complexities, dynamics, and ambivalences of certain educational phenomena.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의 ‘학생 주도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한(Soohan Lee),박유나(Yuna Park),이설(Xue Li)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근 교육과정 개혁의 흐름을 특징 짓는 아이디어인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개념을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보다 (장애)포용적인 이해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휴먼 장애학의 등장 배경 및 주요 주장을 살펴보고, 학생 주도성 개념의 기반이 되는 인간 행위성이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사유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관련 정책 문서들을 분석한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 주도성은 다양한 교육과정상의 장치들(고교학점제 등)을 통해 ‘선택-책임’의 논리를 중심으로 의미화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 보면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포용교육에 대한 지향을 내세움에도 불구하고, 자율성, 자기-결정, 자기-책임과 같은 특정한 근대 휴머니즘의 가치들을 기반으로 학생 주도성이 행해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동시에 주도성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 너머의’ 상호의존적 관계성에 충분히 주목하지 못함으로써, 의도치않게 비장애중심주의의 지속에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상에서 주도성을 적극적으로 함양해야 하는, ‘보편적인 학습자’로 상정되는 비장애학생과 달리, 장애학생은 자립을 위한 특수한 종류의 학습경험을 초점에 둔 교육적 개입을 필요로 하며, 그렇기에 상대적으로 ‘덜 주도적인’, ‘예외적인 학습자’의 위상을 점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포스트휴먼 장애학이 제안하는 학생 주도성 개념 및 (장애를 포함한) 학생들의 차이에 관한 대안적인 사유 방식에 터해, 보다 정의롭고 포용적인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n idea that has characterized recent curriculum reform policies,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 disability studies (PDS) and to propose a more inclusive framework for it.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plored how PDS enables us to rethink human agency, which underlies the notion of student agency. Next, the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ts related policy documents revealed that student agency embod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predicated on the logics of choice-responsibility undergirding a range of curricular devices (e.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rawing on PDS, the study argues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y (inadvertently) contribute to the perpetuation of ableism by assuming that student agency can be exercised based on modern humanist values, such as autonomy, self-determination, and self-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unlike non-disabled students, disabled students are positioned in the curriculum as potentially less agentic, i.e., exceptional learners requir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whose focus is on special kinds of learning experiences for their independence. Finally, the study discusses directions for developing a more just and inclusive version of the future curriculum that reflects PDS-based alternative ways of thinking about not only student agency but students’ differences, including disabilities.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학교교육 정책 비판

        소경희(Kyunghee So),박지애(Jiae Park),이수한(Soohan Lee),허예지(Yae-ji Hu)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이 연구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난 25년간 추진되어 온 한국 학교교육 정책들을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먼저 Braidotti(2013/2015)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 터해 지능정보사회의 도래가 인간 주체성 논의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라 새롭게 규정된 인간 주체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학교교육 정책의 주요 특징을 청와대,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교육부및 중앙 관계부처에서 발행된 정책 문서 52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크게 교육 환경, 교육과정 운영 지원, 교육 내용 측면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학교교육 정책이 전제하고 있는 지능정보기술과 인간 주체성의 관계에 대해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가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학교교육 정책들이 기계/기술을 통해 ‘향상’되는 인간, 기계/기술을‘예측 및 통제’하는 인간, 기계/기술과 ‘경쟁’하는 인간 주체성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제는 기계/기술을 인간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일방적으로 활용 및 통제되는 도구로 봄으로써, 인간과 기계/ 기술 간의 대안적 공생 관계를 가로막을 수 있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학교교육 정책의 변형을 위한 방향을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ast 25 years of Korean school policies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from a posthumanist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plores Rosi Braidotti (2013/2015)’s critical posthumanism for how the arrival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effects upon discussions of human subjectivity an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fined human subjectivity are. Next, 52 policy documents issued by Cheongwadae,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s, Ministry of Education, and relevant ministri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 policies for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educational environment, operational support for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In addition, a critical review is made from the posthumanist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s/technology and human subjectivity which the analyzed school policies presuppose.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icies presuppose human subjectivity that would be improved through’, predict and control , and ‘compete with’ machines/technology. Machines/technology are seen as mere tools that are unilaterally utiliz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human purposes and intentions, which obstruct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chapter discusses alternative directions for Korean school policies in response 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