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스포츠에서의 성희롱 인식 차이 분석

        남상우(SangWooNam),이석호(SukHoLee),여정권(JeongKwonYeo),박창선(ChangSunPark)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문제를 다룬다. 현재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성희롱의 문제가 과연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에 의하여 어떻게 인식되는가를 본 연구는 분석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학생들과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성희롱과 스포츠 상황에서의 성희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첫째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운동선수들이 성희롱 행동에 대하여 무관심하고 무감각하며 관대하다는 사실이다. 또한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을 비롯한 다른 집단의 학생들보다도 성희롱 행동에 대하여 잘못 알고 있고, 상당히 관대한 인식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 여자선수 역시 일반여학생보다 성희롱에 대해 무감각함을 보여주어 현재 스포츠 문화, 더 정확하게 말해 한국의 스포츠 문화가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속에서 획일적인 ‘남성됨’의 문화를 학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about sexual harassment in sports fields. With this trying,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 athletes perceive the sexual behavior and language used in daily life and sporting contexts as sexual harassment. For solving this research ques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general students and athletes in high schools placed in D metropolitan. With the process, we found some significant results about the recognition on the sexual harassment. First, athletes ignored with what behavior can be considered as a sexual harassment in general and sporting field. Second, attitude of male students and athletes were more generous and insensitive toward sexually-violent behavior and language circulated in general and sporting milieu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athletes. Moreover, even female athletes were more insensitive for the sexually-harassed behavior and attitude in their contexts than femal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These results showed that sporting culture of Korea was constructed with the trend of masculine-centered paradigm and in that culture, most athletes keep going to learn the standardized 'maleness' attributes with recognizing that as normality. And in that male-dominated culture, female athletes could not be exception for that lea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