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콘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공공공간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 방법 연구

        이보임(Bo Im Lee),강성중(Sung Joong K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공공공간에서 인터랙션디자인은 하드웨어 중심 디자인의 문제를 극복하고, 공공성 증진, 주민과의 소통, 공간의 경험을 창출한다.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공간 콘텍스트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공공간의 기능과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 고찰을 위한 문헌연구와 적용 유형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로 진행되며, 이용자의 소통이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공공간으로 연구 범위를 제한한다. 건축 콘텍스트는 추상적인 도시의 사회문화적 인자를 중시하며, HCI 콘텍스트는 이용자 환경 정보로 구성되나 사회문화적 관점을 반영하는 추세이다. 공공공간은 거주민, 방문인, 이방인이 모이는 열린 공간으로 상호교류의 장이다. 국내의 공공공간은 가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보행밀도는 공간 콘텍스트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공간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공공공간 인터랙션 디자인은 가로지향형, 목적지향형, 절충형으로 구분된다. 세 가지 유형 인터랙션 디자인은 공간 콘텍스트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특성 및 이용자 행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현재 공공공간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은 사회적 관계형성, 소통과 교류의 기능보다는 경관의 연출, 사용자 참여, 공간 경험 창출에 더 높은 효용 가치를 가진다. 공공공간의 인터랙션으로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을 위해서는 장소성의 배려와 지역 중심의 콘텐츠가 요구된다. Interaction design in public space could overcome the problem of hardware-based design, enhance publicity and communication with people, and create spatial experience. This aims to examine type of spatial contexts for interaction desig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interaction design to improve function and value of public space. The study i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y study and case studies for developing applicable type. The range of study is limited to urban public space. While architectural context puts emphasis on urban socio-cultural factors, HCI context consist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user. Public space is an open space to gether habitants, visitors, and strangers and communicate among them. Public space in Korea are developed as street-centered, pedestrian density has something to do with spatial context. Based on spatial context interaction design for public space is categorized into street-oriented, object-oriented, and comprised type. These types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s given by spatial context. Interaction design for pubilc space has more functions in making new landscape, user participation, creating spatial experience than making soci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o making social relationship for citizens through interaction design, placeness and region-centered content are required.

      • KCI등재

        소셜미디어 특성에 기반한 공공공간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강성중 ( Kang Sung Joong ),이보임 ( Lee Bo 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오늘날 공공공간은 개인주의 팽배로 사회적 소통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이용자들 간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써, 공공공간의 기능과 가치 향상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 등의 소셜미디어의 특성들을 공공공간의 지향점으로 이해하고, 공공공간에서 공공성의 증진, 사회적 소통 강화를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터랙션 디자인과 소셜미디어 관계성 모색을 위한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분석, 인터랙션 디자인의 적용 방법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공간의 인터랙션 디자인은 이용자 간의 소통과 교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기능보다 즉각적 반응을 통한 단선적인 참여, 경관의 연출로 인한 경험 창출에 더 높은 효용 가치를 가진다. 장소성의 배려와 지역 기반의 콘텐츠 적용은 이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랙션 유형이나 공공메시지의 성격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고, 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공공공간의 인터랙션 디자인은 인간적 관계가 상대적으로 결여된 소셜미디어의 한계을 극복하고, 공동체 형성을 통한 사회 통합을 가능케 하는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의 원리 적용과 사회문화적인 공공공간 콘텍스트를 고려한 콘텐츠 적용과 기술의 통합이 요구된다. 즉각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인터랙션, 지역 기반의 공공정보, 안전한 범위 내에서의 개인 정보 공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대감을 형성하고, 대화를 통한 인간적 연결과 사회적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다. Because of the individualized society, the function of urban public space as the space of social communication is emphasized. The interaction design, an equipment making the form of social relations among the users, is used for enhancing function and value of public space.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nd suggest the method applying interaction design to improve publicness and strengthen social communication in public space. Wit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 meaning and value of interaction design of public space are analyzed and methods for applying interaction design are suggested. Case studies shows that for interaction design of public space is more effective in experience creation by one-directional participation and landscape display than the prompt response, exchange and social relations among the users. The consideration of placeness and application of contents based on region draws users` active participation regardless of interaction form and characteristic of public message, and has possibilities to evolve toward social relationships. Social media is useful for publicity emphasized by modern society, especially, form and communication of communities. The interaction design of public space can be a realistic measure to overcome limits of social media and to make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form of communities. It`s requested to apply principle of social media and contents considering public space context such as placeness, etc. and combine them technologically. Under the results responding promptly to interaction, regional and public information and safe range, individual information can be shared by many people, ties can be formed and interpersonal relation by communication can be developed to social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