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AHs의 환경매체 거동 연구

        이민도(Mim-Do Lee),김소영(So-Young Kim),임용재(Yong-Jae Lim),서석준(Seok-Jun Seo),김영환(Young-Hwan Kim),조기철(Ki-Chul Ch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0 環境管理學會誌 Vol.16 No.1

        본 연구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에 대하여 매체간 거동 및 물리ㆍ화학적 변환 등을 파악하여 대기, 수질, 토양에 대한 평가방법을 구축하고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국 EPA가 개발한 구획모형인 CalTOX 모델을 사용하여 주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의 다매체 거동 및 매체별 분포 특성을 예비모사하였다. 그 결과 run-off 지점의 PAHs 농도 분포 결과, 4개 지점의 총 PAHs 농도는 표토에서 2.34 ~ 49.09 ㎍/㎏, 심토에서 5.96~42.67 ㎍/㎏으로 다양한 농도 범위를 보여주었으며, run-off 지점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기 중 PAHs 결과와 함께 수질 및 퇴적토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산호와 삽교호 인근지역의 8개 매체(대기, 나뭇잎, 표토, 뿌리지역 토양, vadose-zone 토양, 지하수, 지표수, 퇴적물)에 대한 CalTOX 모사결과, 매체별 분포율은 뿌리지역 토양으로 축적되는 것은 40.4~91.0%로 나타났고, 표토층에 축적되는 것은 2.2~5.5%로 나타났다. CalTOX에 의한 일별 매체간 이동량을 모사한 결과, PAHs는 주로 대상지역에 존재하는 석유정제시설로부터 대기로 유입되어 대기중 이류에 의한 모사구간 외부 유출, 매체 내에서 반응기작 및 반감기에 따른 소멸, 뿌리부근토양으로의 침적 등으로 거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diagnostic method of multi-media fate of pollutants and to monitor the pollutant distribution as a basic study for assessment of environmental toxicity of pollutants. CalTOX model, which is developed to study the multi-media transportation, inter-media production, and sink mechanism of chemicals by U.S. EPA, was used to predict the multimedia characteristics of PAHs in Lake Asan and Lake Sapgyo region.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PAHs, calculated by summing up gaseous and particulate PAHs in the atmosphere, is Phenanthrene (3.87 ng/㎥) > Fluoranthene (1.48 ng/㎥) > Indeno(1,2,3-cd)pyrene (1.45 ng/㎥) > Benzo(a)pyrene (0.23 ng/㎥) > Benzo(a)antracene (0.15 ng/㎥), in order of concentration. Dry deposition flux, serving as an index for PAHs in the atmosphere, were Phenanthrene(1.48㎍/㎡/day) > Indeno(1,2,3-cd)pyrene(0.31 ㎍/㎡/day)> Fluoranthene(0.28 ㎍/㎡/day) > Benzo(a)pyrene (0.25 ㎍/㎡/day) > Benzo(a)anthracene(0.23 ㎍/㎡/day) in order of high flux. The order of five PAHs compounds in water was Fluoranthene> Phenanthrene> Benzo(a)pyrene> Benzo(a)anthracene, Indeno(1,2,3-cd)pyrene. Concentrations are ranged from <1.0 ng/L to 11.0 ng/L for Phenanthrene, <1.0 ng/L to 13.2 ng/L for Fluoranthene, <0.5 ng/L to 1.0 ㎍/L for Benzo(a)anthracene and <1.0 ng/L to 1.9 ng/L for Benzo(a)pyrene, <0.5 ng/L to 0.8 ng/L for Indeno(1,2,3-cd)pyrene. The ranges of average concentration of PAHs in forest soil, upland soil, and road soil with land use were as followed by soil depth: ND~92.90 ㎍/㎏ for Phenanthrene, 2.15~97.86 ㎍/㎏ for Fluororanthene, ND~32.01 ㎍/㎏ for Benzo(a)anthracene, ND~10.69 ㎍/㎏ for Benzo(a)pyrene, and ND~22.74 ㎍/㎏ for Indeno(1,2,3-cd)pyrene. PAHs concentrations in surface soil were mainly higher than those in subsurface soils. CalTOX model, As a result, accumulations of PAHs into the root-zone soil were about 40.4~91.0%, with 2.2~5.5% of PAHs accumulated on the ground soil. CalTOX simulation showed that the flux of PAHs transported between media flowed mainly in the atmosphere, 7.7~38.9% of which flowed out, 57.4~87.2% of which disappeared, and 0.7~4.3% of which were deposited into the root-zone soil.

      • 남해안 지역 오존 및 오존 전구물질분포 조사

        서석준(Seok-Joon Seo),김소영(So-Young Kim),이민도(Mim-Do Lee),김수연(Su-Yeon Kim),김영환(Young-Hwan Kim),임용재(Yong-Jae Lim),최진수(Jin-Soo Choi),황경철(Kyung-Chul Hwang) 한국환경관리학회 2010 環境管理學會誌 Vol.16 No.1

        본 연구는 대단위 공업 및 산업단지가 조성된 광양만 지역을 중심으로 한 남해안 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고농도 O₃ 현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 규명을 통한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하고자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광양만 지역을 중심으로 한 남해안 지역에서 지속 상승하고 있는 고농도 O₃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상층의 O₃ 및 O₃ 전구물질 공간분포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항공관측 중 상층의 O₃, NOy, CO, TVOCs 일평균 농도를 보면 O₃ 평균 농도는 32.3~90.8 ppb의 분포를 보였으며 2009년 6월 1일에 최대 132 ppb의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관측기간 전체 오존 평균 농도는 60.5 ppb로 이 기간 동안 우리나라 O3의 배경대기 평균농도 43 ppb(2009,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보(2008))와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의 평균농도 30 ppb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를 바탕으로 한 원인분석을 파악하기 위한 심도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Gwangyang Bay is a region with a large scale of industrial complexes, in which high ozone concentration occurs frequently due to its industrial and coastal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effective measures be established on the issue by identifying the causes of high ozone concentration.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sources of high ozone concentration in the south coastal region of Korea by evaluating ozone spatial distribution in the upper air using aircraft, to obtain the preliminary data of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he region. The daily concentration of O3 in the upper air shows that the mean O₃ concentration ranged between 32 ~ 91ppb, with a maximum of 132pp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