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권도 경기 간 다양한 회복방법과 글루코스 섭취가 체력에 미치는 영향

        유덕수 ( Deoksu Yoo ),박훈영 ( Hunyoung Park ),김형준 ( Hyoungjun Kim ),이만균 ( Mangyoon Lee ) 대한무도학회 2015 대한무도학회지 Vol.17 No.2

        태권도 대회에서 우승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6~8경기를 치러야 하기 때문에, 경기 간에 적절하게 회복하여 마지막 경기까지 체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태권도선수를대상으로 하루에 여섯 경기를 치르는 동안 실시한 6가지 처치방법(비처치, 마사지처치, 냉처치, 글루코스 섭취, 글루코스+마사지처치, 글루코스+냉처치)이 1경기 시작 전, 4경기 전, 그리고 6경기 후 체력변인(무산소성 파워, 순발력,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반복되는 여러 차례의 태권도 경기 중 체력 유지에 가장 효과적인 회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최근 2년 내 국내·외 대회 3위 이상 입상 성적이 있는 남자 선수로서, 체급이 -54 kg급부터+87 kg급까지 고르게 분포되도록 12명을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주일 간격으로 6가지 처치(비처치, 마사지처치, 냉처치, 글루코스 섭취, 글루코스+마사지처치, 글루코스+냉처치)의 실험에 반복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각 처치 실험에서 1경기 시작 전, 4경기 전, 그리고 6경기 후 Anaerodash, 제자리멀리뛰기, 그리고 5X10 m 셔틀런을 측정하여, 6가지의 처치가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산소성 파워는 비처치의 경우 경기가 반복되면서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냉처치 및 글루코스+냉처치의 경우 1경기 시점에 비하여 4경기에 오히려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6경기 시점까지도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순발력의 경우 모든 처치에서 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났지만, 6가지 처치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민첩성의 경우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과 처치의 주효과, 그리고 시기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태권도 경기 간에 실시한 냉처치와 글루코스 섭취가 경기가 반복됨에 따라 나타나는 무산소성 파워의 감소를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recovery treatment (massage, cryotherapy, and no treatment) and glucose supplementation performed between games on physical fitness (anaerobic power, muscular power, agility) before the 1st game, after 3rd game, and after 6th game, while six games were performed in one day. Twelve male elite Taekwondo athletes at K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y went through the control trial, massage trial, cryotherapy trial, glucose trial, glucose+massage trial, and glucose+cryotherapy trial repeatedly. Six games of three 2-min rounds were performed in a day of trials, and appropriate treatment was applied for 20 minutes between games in each trial. Massage was performed utilizing a massage stick, and cryotherapy was performed by applying ice on thigh of each subject. Two hundreds ml of glucose (15 % glucose solution; 120 kcal) was provided six times, within 5 min after each game for glucose supplementation treatment.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to detect the difference among trials and among times. All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fitness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ve other trials than the control trial. In particular, anaerobic power remained higher in the three trials with glucose intake than other trials without glucose intake. Muscular power and agility were higher in massage trial and massage+glucose trial than the other four trials. It was concluded that cryotherapy and glucose ingestion would be beneficial for remaining anaerobic power throughout the Taekwondo games.

      • KCI등재

        킥복싱 선수, 동호인 및 일반인 간 체력, 심혈관기능 및 혈액성분의 비교 분석

        황선호 ( Sunho Hwang ),정원상 ( Wonsang Jung ),강창균 ( Changkyun Kang ),이만균 ( Mangyoon Lee ) 대한무도학회 2015 대한무도학회지 Vol.17 No.3

        최근 킥복싱이 엘리트 스포츠 종목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고 생활체육으로서도 널리 보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종목에 대한 운동과학적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킥복싱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균 경력 70.0개월의 킥복싱 선수 10명, 평균 경력 7.8개월의 동호인 10명, 그리고 일반인 10명의 체격, 체력, 등속성 근기능, 심혈관기능, 그리고 혈액성분을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세 집단 간에 각 종속변인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선수집단과 동호인집단의 좌·우측 상완둘레가 일반인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선수집단의 골밀도가 동호인집단과 일반인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2) 선수집단의 팔굽혀펴기, 제자리멀리뛰기, 그리고 사이드스텝 기록이 동호인집단과 일반인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각속도 60°·sec-1과 240°·sec-1의 대부분의 신전 동작에서 선수집단의 등속성 근력과 근지구력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4) 선수집단과 동호인집단의 최대산소섭취량이 일반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5) 일반인집단에 비하여 선수집단과 동호인집단의 TG가 유의하게 낮았고, HDL-C는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킥복싱 수련은 상완둘레, 골밀도, 민첩성, 순발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및 하지 신전 등속성 근기능의 향상과 혈중 지질의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동호인 수준에서 우수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최대산소섭취량, 그리고 하지 신전 근력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킥복싱의 생활체육으로서의 효과를 다양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리고 종단적으로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ysiqu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functi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blood variables among kickboxing athletes (n=10), kickboxing club participants (n=10), and general individuals (n=10). The average career of each group was 70.0 months, 7.80 months, and none, respectively.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Left and right upper arm circumference in athletes and club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individuals. Bone mineral density in athle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wo groups. 2) Push up, standing long jump, and side step in athle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wo groups. 3) Isokinetic strength (60˚·sec-1) and endurance (240 ˚·sec-1) during knee ext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thletes than other groups. 4) VO2max in athletes and club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individuals. 5) TG in athletes and club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general individuals, whereas HDL-C in athletes and club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individuals. It was concluded that kickboxing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to improve upper arm circumference, bone mineral density, agility, muscular power, muscular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sokinetic function during extension, and blood lipid profiles. In addition, in order to be an athlete, club participant need to improve muscular endurance, muscular power, agil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isokinetic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