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치료가 등속성 수축 후의 지연성 근통증 관련 변인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만균(ManGyoonLee),엄지수(JiSooEum),성순창(SoonChangSung),김승환(SeungHwan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5

        등속성 수축의 경우, 등장성 수축과 달리 단축성 수축 후에 지연성 근통증이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등속성 수축 후 나타난 DOMS에 대한 냉치료의 효과를 밝히는 연구가 매우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냉치료가 등속성 수축 후의 DOMS 관련 변인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대 남자 9명을 대상으로, 한 쪽 하지로 등속성 수축을 실시하도록 하여 근통증을 유발시킨 후, 냉치료 처치에서는 운동 후 3일에 걸쳐 하지에 매일 15분씩 냉치료를 실시하였고, 14일 간격으로 실시된 통제 처치에서는 동일한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모든 피검자는 이 두 가지 처치의 실험에 반복적으로 참여하였다. 두 처치 기간 중 운동 전, 운동 후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시점에서 DOMS와 관련된 변인인 CPK와 통증 자각도, 그리고 체력과 관련된 변인인 무릎관절의 ROM과 한발 제자리멀리뛰기를 측정하여, 두 처치 간·네 시점 간에 비교하였다. CPK는 냉치료 처치 후 통제 처치에 비하여 더 빠르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통증 자각도는 두 처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치료는 무릎관절 ROM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한발 제자리멀리뛰기 기록은 냉치료 처치 후에 유의하게 빠르게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등속성 수축에 따라 유발된 DOMS가 냉치료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ryotherapy on variables related to delayed onset of muscle soreness (DOMS) and physical fitness occurred after isokinetic exercise. Nine male subjects, aged 24.0±0.72 yrs, underwent two sets of experiments, such as cryotherapy trial and control trial, repeatedly according to counterbalanced order. Each subject performed isokinetic exercise using concentric contraction, followed by cryotherapy at lower extremities for 15 minutes for following three days in the cryotherapy trial, and no treatment was applied in the control trial. Before the exercise, 24 hrs, 48 hrs, and 72 hrs after the exercise, the variables related to DOMS, i.e., CPK and soreness rating scale,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fitness, i.e., ROM at knee joint and long jump with one leg standing, were measured. The data of the two trials were compared utiliz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CPK was tended to be lower in the cryotherapy test than the control test from 48 hrs after exercise. 2) Soreness rating was significantly lower in cryotherapy test than control test at 72 hrs after the exercise. 3) Long jump with one leg standing of the cryotherapy test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test at 72 hrs after the exercise. It was concluded that the cryotherapy was beneficial to relieve DOMS and to maintain the physical fitness after isokinetic and concentric exercise.

      • KCI등재

        운동생리학 : 남성노인의 활동체력연령 추정식 개발

        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공성아(SungAKong)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5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 regression equation for health-physical fitness age in the male elderly. Two hundred fifty healthy older men, aged 65~85year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irteen items of physical fitness for daily activity, several variables related to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fter performing primary component analysis, a regression equation for health-physical fitness age was created by utilizing first primary component before rotation as dependent variable and seven items representing each item after the rotation as predictors. The validity of the equation was confirmed by cross-validity test performed in other 50 older men. Therefore, the regression equation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index for degree of aging in older men. The regression equation is as follows:FAFS= -8.611+.005X1+0.0009X2+.053X3+.014X4+0.009X5+0.105X6+0.093X7 (R2=0.935) ----(1)(X1=DBP, X2=grip strength, X3=standing from sitting, X4=vertical jump, X5=sit-and-reach, X6=fat-free mass, X7=fat mass) AFA= 5.171FAFS+73.03 -----(2) Z = 1.376age-27.46 ------(3) AFAc = 5.171FAFS+73.03+Z ----(4)(AFA=activity fitness age, Z=correction factor, AFAc=corrected activity fitness age)The physical fitness age calculat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after correction had a difference from chrolonical age, but the average of the physical fitness age was close to the chrolonical age.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ctivity fitness age and chrolonical age was .790(p=0.05). The quation created in the present study was unique because it could evaluate the health-related factors by including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fat-free mass, and fat mass, and because it could assess the degree of aging easily by including the components which could be measured by non-invasive method.The equation would be utilized for the exerdse prescription in the elderly, recruiting and th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pany.

      • KCI등재

        자연과학편 : 12주간의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경태(KyungTaeYoo),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피검자로 참여하여 연구를 완료한 편마비 환자 39명(복합운동 집단 13명, 유산소운동 집단 13명, 통제 집단 13명) 중 복합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20분의 트레드밀 걷기와 20분의 세라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을 실시하였고, 유산소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20분의 트레드밀 걷기와 20분의 고정식 자전거 타기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2주간, 주 3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 간, 그리고 시기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관련하여, 복합운동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환측과 닫힌고리 운동의 환측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유산소운동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환측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근활성도와 관련하여, 복합운동 집단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유산소운동 집단은 닫힌고리 운동 중의 내측광근 환측과 건측을 제외한 변인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통제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대퇴직근 환측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에 비하여 고유수용성 위치감각의 개선과 근활성도의 증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training and aerobic training on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Thirty nine patients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CET: n=13),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AET: n=13), and control group (CON: n=13))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nd completed the study. Subjects in CET performed treadmill walking (20 min) and resistance exercise(20 min) using Thera-band in a session, and subjects in AET performed only aerobic exercise composed of treadmill walking(20 min) and cycling on a stationary (20 min) in a session. Subjects in the two training groups performed the exercise three sessions per week for 12 week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roprioceptive percep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CET, showed a trend of improvement in AET,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n CON. 2) Muscle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variables in CET,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variables except OVM of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in AET,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only ORF of paretic side in CON. It was concluded that both the combined and aerobic train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patients. Moreover,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than aerobic train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백은진(EunJinBaek),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11명의 트레이닝 집단에 무선할당된 피검자는 30분의 겅디과 20분의 줄넘기로 구성된 복합운동 트레이닝을 주 3~4회씩 8주간 수행하였고, 10명의 통제 집단에 무선할당된 피검자는 같은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 처치 전·후에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과 관련된 변인들을 측정하였으며, 반복이 있는 이원 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트레이닝 집단의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통제 집단의 체중과 신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둘째, 트레이닝 집단의 팔굽혀펴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제자리멀리뛰기, 그리고 사이드스텝 기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트레이닝 집단의 혈중 지질과 관련된 변인들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넷째, 트레이닝 집단의 성장호르몬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초등학생들이 장기간에 걸쳐 걷기와 줄넘기를 병행하여 실시하면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성분 및 성장호르몬 등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8-week combined training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growth hormone in Elementary students. Subjects in training group (TR: n=11) participated in the combined training program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for three/four times per week for eight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group (CON: n=10)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The results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as follows: 1)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group, whereas the body weight and BM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 group. 2) Push-up, sit and reach, standing long-jump, and side-step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group, whereas no change was found in CON group. 3) The variables related to blood lipid profile such as TQ LDL-C, HDL-C, and TG changed significantly in TR group. 4) The hGH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ed training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growth in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대학 운동선수의 종목별 척추와 골반 형태의 비교

        유한나(HanNaYoo),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1

        비정상적인 자세는 외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선수의 경우 척추와 골반의 변형이 생겨 비정상적인 자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만, 이와 관련된 과학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9개 종목(골프, 배구, 배드민턴, 야구, 양궁, 체조, 태권도, 필드하키, 핸드볼)의 운동선수 111명을 대상으로 척추와 골반 형태를 종목 간에 비교하는 것이었다. 척추 및 골반의 형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타당도가 높은 3차원 영상분석기(Formetric III)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종목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궁 선수는 몸통의 앞 ㆍ뒤 기울기각과 골반 기울기 길이가 가장 높아 골반의 변위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목 간에 요추 전만곡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모든 운동선수의 요추 전만곡이 정상 범위보다 낮게 나타났다. 체조, 배구, 그리고 태권도 선수는 척추의 측만곡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운동선수가 실시하는 트레이닝이 척추 및 골반의 형태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목에 따라 척추와 골반의 형태가 차이를 보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각 종목마다 세부 변인별로 다른 특성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목별로 상해 예방과 바른 체형 교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 현장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figures of vertebra and pelvis by sports type in athletes, utilizing high-tech equipments entitled Formetric III, which has higher validity and reliability than former instruments. One hundred eleven collegiate athletes(golf 12, volleyball 10, badminton 6, baseball 19, archery 6, gymnastics 6, taekwondo 21, field hockey 18, and handball 13) volunteered to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figures of vertebra and pelvi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sports typ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Archery was the highest in trunk inclination and pelvic tilt.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ordotic angle among sports types; however, the mean values of all athletes were lower than normal range. 3) Gymnastics, volleyball, and taekwondo athletes showed higher surface rotation and lateral deviation than others. In conclusion, wrong or improper position and repetitive one-sided athletic practice could lead a significant changes in the figure of the vertebra and pelvis, suggesting that a program for correct position for each sports typ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field while the athletes are involved in training.

      • KCI등재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이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폐기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유정식(JeongSikYoo),이만균(ManGyoonLee),강창균(ChangKyunKa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이 신체구성, 체력, 폐기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중년 여성(48.45±1.29세) 11명을 대상으로, 와식호흡과 더불어 최대심박수의 55~60% 강도로 기공체조와 북선법 및 회건정심법으로 구성된 석문행공을 주 3회, 회당 48분씩, 그리고 총 10주간 실시하였다. 수련 전과 후에 신체구성 관련 변인, 체력, 폐기능, 그리고 TC, HDL-C, LDL-C, TG, glucose 및 cortisol을 측정하였으며, 종속 t-검증을 이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에 의하여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1,200m 달리기 기록, 그리고 정적 평형성 관련 변인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에 따라 FVC와 FEV1.0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에 의하여 TC와 LDL-C가 유의하게 감소되고, cortisol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0주간의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을 통해 중년 여성의 유연성, 심폐지구력, 정적 평형성, 그리고 폐기능이 향상되고 혈중 지질 특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석문호흡과 석문행공 수련이 중년 여성의 체력 향상과 지질 특성 개선을 통하여 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okmun Breathing Meditation and Seokmun Haengong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pulmonary functions, and blood components. Eleven women, aged 48.45±1.29 yrs, performed the training for 48 minutes per session, 3 sessions per a week for 10 weeks. All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before and after Seokmun Breathing Meditation and Seokmun Haengong training, were compared using 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it-and-reach, 1200m run/walk, and static balance. 2)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ulmonary functions, FVC and FEV1.0 showed a tendency of increments following the training. 3)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significant increase in cortisol.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10-week Seokmun Breathing Meditation and Seokmun Haengong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most components of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s. It is possible that the Seokmun Breathing Meditation and Seokmun Haengong training would be developed as a popular sports for enhancement of health status in middle-aged population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성인 남녀의 에너지소비량 추정을 위한 신개발 운동량 모니터계의 타당도 검증

        안중민(JoongMinAn),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가속도계에 비하여 실용성을 강조하여 최근 국내 기술로 새롭게 개발된 운동량 모니터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인 47명의 대학생(남자 24명과 여자 23명)이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호흡가스분석기의 일종인 Vmax229와 연결하고, Lifecorder와 운동량 모니터계를 착용한 상태로 트레드밀에서 저강도(4.8 km/hr), 중강도(6.4 km/hr), 그리고 고강도(9.7 km/hr)로 각각 6분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세 측정장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을 남녀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1) 남자의 경우 6.4 km/hr에서 운동량 모니터계, 9.7 km/hr에서 Lifecorder, 여자의 경우 4.8 km/hr에서 운동량 모니터계와 Lifecorder가 Vmax229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전체의 경우 Vmax229와 비교하여 볼 때 4.8 km/hr에서 운동량 모니터계는 낮게, Lifecorder는 높게, 그리고 6.4 km/hr에서는 운동량 모니터계에서 낮게 나타났다. 2) 운동강도별로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측정장비로 얻은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체 강도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세 측정장비의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신개발 운동량 모니터계가 Lifecorder에 비하여 Vmax229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운동량 모니터계의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향후 보다 다양한 운동유형과 강도를 적용하여 보다 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Validity evidence of a newly developed activity monitor to predict energy expenditure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Forty-seven collegiate students (24 males and 23 females) walked or ran on a treadmill at three intensities, i.e., 4.8 km/hr, 6.4 km/hr, and 9.7 km/hr, for six minutes for each intensity with connection to Vmax229, a kind of gas analyzer, as well as wearing Lifecorder and the activity monitor on their waist. Energy expenditure measured or predicted by the three instruments were compared.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Energy expenditure in the activity monitor at 4.8 and 6.4 km/hr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Vmax229, energy expenditure in Lifecorder at 4.8km/h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Vmax229. 2)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Especially, the activity monitor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Vmax229 than the correlation Lifecorder showed with Vmax229. It was concluded that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monitor was high enough to use. Research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monitor including more various modes of exercise, intensities, and subjects of other ages and fitness levels would be warranted.

      • KCI등재

        10주간의 줄넘기 트레이닝이 일반 대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인슐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강창균(ChangKyunKang),이만균(ManGyoonLee),임미정(MiJoungL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0주간의 줄넘기 트레이닝이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인슐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그 동안 줄넘기 연구에서 배제되어 왔던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16명을 선정하여 8명씩 트레이닝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트레이닝집단의 피검자들은 최대심박수의 60~75% 수준에서 50분간, 주 4회, 10주간 줄넘기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처치 전후에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인슐린 민감도와 관련된 종속변인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은 트레이닝집단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배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및 심폐지구력이 트레이닝집단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 혈중 지질과 인슐린 민감도와 관련된 변인은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변화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줄넘기 트레이닝은 일반 대학생의 체중 조절과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산소 트레이닝 결과 나타나는 혈중 지질과 인슐린 민감도의 개선이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변화는 트레이닝의 유형, 처치 중 식사 통제, 그리고 트레이닝 기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다양한 기간, 강도, 시간, 그리고 빈도에 따라 구성된 줄넘기 트레이닝의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10-week rope skipping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insulin sensitivity. Sixteen collegiate students were assigned to either training group(TR: n=8) or control group(CON: n=8). The subjects in TR group went through the rope skipping training performed at 60~75% of HRmax for 50 min/session, four times/week for 10 week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s well as between pre test and post test.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Body weight decreases significantly in only TR group due to the training. 2)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ck strength, muscular power, muscular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only TR group. 3)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variables related to blood lipid profiles and insulin sensitivity in both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the rope skipping training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body weight control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of blood lipid profiles and insulin sensitivity, found in many previous studies regarding to effects of aerobic training, may be affected by mode of training, control of diet during intervention, and/or training period.

      • KCI등재

        장기간의 생식 섭취가 운동선수의 최대하운동 중 심폐기능 및 대사관련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박종성(JongSungPark),김주학(JuHak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6개월간의 생식섭취가 운동선수의 최대하운동 중 심폐기능 및 대사관련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M대학교 재학 중인 다양한 종목(축구, 농구, 배구, 테니스, 골프)의 운동선수 20명을 생식섭취군(n=10)과 통제군(n=10)으로 구분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의 70% 수준에서 30분간 수행된 최대하운동 중 얻은 심폐기능 및 대사관련 혈액성분의 변화를 두 집단별로,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생식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2) 최대하운동 중 생식군의 심박수가 통제군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최대하운동 중 산소섭취량은 생식군이 통제군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 최대하운동 중 호흡교환율은 생식군이 통제군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5) 최대하운동 중 glucose의 변화는 생식군이 통제군보다 운동 중 탄수화물 절약 효과가 높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6) FFA, insulin, hematocrit, 그리고 hemoglobin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기간의 생식섭취가 운동선수의 심폐지구력 향상, 심장에 대한 부담의 감소, 회복기 중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운동 중 지방대사의 증가, 그리고 운동 중 탄수화물의 절약효과 등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natural food uptake for 6 months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blood variables regarding to metabolism during submaximal exercise in athletes. Twenty male athletes were divided into one of two groups, i.e., natural food group (NF group; n=10) and control group (CON group; n=10). The data regarding to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blood variables were obtained during submaximal exercise, performed at 70% of VO2max for 30 min.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in only NF group. 2) Heart rate during submaximal exercise decreased more in NF group than CON group. 3) VO2 during submaximal exercise increased more in NF group than CON group. 4) RER during submaximal exercise decreased more in NF group than CON group. 5) Changes in blood glucose during submaximal exercise in both groups indicated that NA group showed higher carbohydrate sparing effect. 6)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FFA, insulin, hematocrit, and hemoglobin between NF group and CON group. It was concluded that long-term intake of natural food induced the enhancement of cardiorespiratory endurance, reduction of burden on heart, increment of energy expenditure during recovery phase, activation of fat oxidation during exercise, and carbohydrate sparing effect.

      • KCI등재

        흡연, 단기간의 금연 및 패치 부착이 유산소운동능력, 심혈관기능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두원(DooWonLee),김예영(YaeYoung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자 흡연자 12명을 대상으로 흡연 처치, 48시간의 금연 처치, 그리고 48시간의 니코틴패치 부착처치가 유산소운동능력, 심혈관기능, 그리고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VO2max와 HRmax는 세 처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금연 처치의 RERmax가 다른 두 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2) 금연 처치와 패치부착 처치의 안정시 심박수(resting heart rate: HRrest),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SBP), 이완기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DBP), 평균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 그리고 심근부담지수(rate pressure product: RPP)가 흡연 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맥압(pulse pressure: PP)과 모든 맥파속도는 세 처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폐기능과 관련된 모든 변인은 세처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흡연자가 48시간 동안 금연하거나 패치를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심혈관기능을 판단하는 일부 지표들이 향상되고 심근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지만, 유산소운동능력과 폐기능의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향후 다양한 기간에 걸쳐 금연과 니코틴패치 부착관련 연구가 진행된다면, 흡연 중인 운동선수의 운동수행능력 감소의 예방을 위한 현장적 가치가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oking, 48-hr non-smoking, and 48-hr nicotine patch application on aerobic capacity, cardiovascular function, and pulmonary function in healthy 20s males. Twelve subjects have smoked over three yrs and 10 cigarettes per da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ree tests repeatedly after 48 hrs of three different treatments, i.e., smoking treatment, non-smoking treatment, and nicotine patch treatment, according to the counterbalanced order. The three tests were performed with 1 wk of interval. All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among three treatment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RERmax in non-smoking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smoking treatment and patch treatment. 2) HRrest, SBP, DBP, MAP, and RPP in non-smoking treatment and patch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moking treatme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regarding pulmonary function among three treatments. It was concluded that short-term non-smoking and nicotine patch application would be beneficial for improving cardiovascular function; however, these treatment performed for 48 hrs would not be enough to elicit positive effects on aerobic capacity and pulmonary function. Further research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non-smoking and/or patch application for various periods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ould be warr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