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사상체질, MBTI 성격유형, 신체자신감에 관한 연구

        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운동유형에 따른 사상체질과 성격유형 및 신체자신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수도권 지역의 각 종목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76명을 연구 자료로 채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사, 교차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상체질과 성격유형에서 외향성은 개인종목과 대인종목이 높은 반면, 단체종목은 내향성이 높았으며, 신체자신감은 대인종목이 신체능력 효능감과 자기표현 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외향성과 인식형의 성격유형은 태음인과 소양인이 높고, 내향성과 판단형은 소음인의 체질이 높았으며, 신체능력 효능감은 소음인의 체질이 높았다. 운동유형별로 개인종목, 단체종목, 대인종목은 다양한 성격유형이 사상체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신체능력 효능감은 개인종목과 단체종목에서 사상체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격유형의 감각형과 직관형은 신체능력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외향성과 감정형 그리고 내향성은 자기표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신체능력 효능감과 자기표현 효능감에 개인, 단체, 대인종목은 성격유형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Sasan constitution and psychological preference among elite athlete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lite athletes of various sport types in Seoul and Kyungki areas, and responses from 476 athlet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First, the results from the Sasang constitution and psychological preference showed, while the extroversion was higher in the personal and man-to-man sports, introversion was higher for the team sports athletes. Also, when the physical confidence was analyzed, athletes from the man-to-man sports showed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and self expression efficacy. Secondly, greater number of Taeum and Soyang type athletes were found among the introversion and perceiving MBTI types. Further, Soum type athletes showed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Athletes with various types of sport(personal, man-to-man, and team sport) displayed different psychological preferences depending upon the Sasang constitution. Physical self-efficacy was different in personal and team sports depending on the Sasang constitution. Finally, Sensing and intuition types of MBTI influenced physical self-efficacy, and Extraversion, introversion, and feeling types influenced self expression efficacy. In addition, the types of psychological preference partially influenced physical self-efficacy and self expression efficacy in all sport types.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 Mass-Marathon 동호인의 참가정도와 인지-정서상태의 관계

        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affective states such as hedonic enjoyment, devotion, self-confidence,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degree of involvement of runners participating Mass-Marathon 1000 subjects who live in Metropolitan area and aged 20 and more was selected by 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s, and data from 943 subjects finally adopted.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C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Higher participation intensity,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period, average distance per week bring more positive affective state, while higher distance level of participation brings negative affective state. Moreover, participation intensity affects hedonic enjoyment, devotion, self-confidence, and self-realiz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affects hedonic enjoyment self-confidence, and self-realization, participation affects self-realization, and lastly participation distance class affects hedonic enjoyment and self-realization. It is noticeable that participation intensity is 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affective stat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고등학교 육상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수행전략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조절효과 검증

        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육상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 수행전략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엘리트 육상선수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총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중 자료의 문제점이 발견된 73부를 제외한 327부를 최종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Ver. 20.0, SPSS Macro, AMOS Ver.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조절회귀분석 및 Johnson-Neyman에 의한 유의성 영역을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육상선수들의 과제목표성향은 스포츠 수행전략의 감정조절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감정조절과 혼잣말에는 자기목표성향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육상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수행전략 간의 관계는 자기관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제목표성향과 컨디션 조절, 심상과 목표설정, 감정조절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조절효과가 있고, 자기목표성향과 감정조절, 긴장풀기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기관리가 뛰어난 육상선수일수록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수행전략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port performance strategy among highschool track and field athletes.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327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the initial screen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showed, first, the task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ports performance strategy except for the emotional control factor, and ego goal orientation influenced the emotional control and self-talk.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ort performance strategy was mediated by the self-management. Specifically, the self-manage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ask goal orientation, condition control, imagery, goal setting, and emotional control. Also, the relationship among ego goal orientation and emotional control and relaxation was modulated by the self-management.

      • KCI등재

        중년여성의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건강상태지각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및 행복의 차이

        김미량(MiLyangKim),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와 건강상태지각 수준에 따라 건강증진행동과 행복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자각적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위와 행복의 중요한 동기적 변인으로 알려져 왔다. 연구를 위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24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군집분석을 통해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건강상태 지각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연구대상을 분류하였다. 둘째, 집단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에 따른 행복에서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건강증진행위와 행복에 대한 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건강상태지각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를 향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appiness among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their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and perceived level of health condition. It has been known that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re important motivational 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nse of happiness.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aged women, and a total of 249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ir regular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perceived level of health condition.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groups in term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ir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happiness across group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both the perceived level of health condition and regular participation in exercise of a given population when conducting studies about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appiness.

      • KCI등재

        학교무용의 교수전략에서 ARCS 학습동기 모델의 적용가능성: 교과연계 융합형 무용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김지영(JiYoungKim),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5

        2005년 문화예술교육정책 이후,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부처협력을 구축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종래의 기법중심 무용수업과는 전혀 다른 학교무용의 교수전략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교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연계 융합무용 수업에서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교수전략을 탐색하여, 학습자 중심의 무용교수 실천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13명의 수업사례와 교수전략에 관하여 Mills(2011)의 실행참여모형에 기반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주의집중 전략(감각, 탐색, 변화와 다양성), 관련성 전략(목표지향성, 모티브 일치, 친밀성), 자신감 전략(학습요건, 성공기회제공, 자기규제), 만족감 전략(내재적 강화, 외재적 강화, 형평성)의 각 영역에서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무용수업 교수전략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학교무용의 교수전략 실천에서 교과지식 연계의 적절한 무용 학습설계, 학제 간 협력적인 교수전략, ARCS 교수전략 범주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하여 수업의 질을 높이는 노력을 수반하여야 하며, 단지 ARCS 학습동기의 범주로 한정짓는 관점이 아니라,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수전략 실천의 유연화를 전제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Keller(1983)의 학습동기 교수설계이론과 ARCS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시켜 줌으로써 문화예술교육정책 이후의 메커니즘 변화를 맞이한 학교무용 현장의 특징을 반영하여 실제적 지식을 이론화하고, 이러한 결과를 다시 현장의 실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tivational instructional design and strategy of subjects connected dance teaching in school. For this, the study selected total 13 dance teaching artist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dance teaching experience based on identification of focus and areas, desig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according to model of Mill(2011). As a result, the study drew dance teaching strategies motivating learning in school in each area of attention (i.e., perceptual arousal, inquiry arousal, & variability), relevance (i.e., goal orientation, motive matching, & familiarity), confidence (i.e., learning requirements, successful opportunities, & personal responsibility) and satisfaction (i.e., intrinsic reinforcement, external rewards, & equity). For this, knowledge of subjects and process of organizing dance activity are prerequisite and cooperative teaching strategy is also required. And further, the study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induce motivations in the simultaneous and circulative ways and that actual classrooms require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applying not only the ARCS elements also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ield, dynamics and flexibility.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motivational design theory of Keller(1983) and the ARCS model in learner-oriented dance teaching practices.

      • KCI등재

        무용전공자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지각 및 공연자신감 구조모형검증

        권영균(YoungKyunKwon),이동현(DongHyunLee),이지항(JiHangLee)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지각 및 공연자신감의 이론적 구조모형을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총 419명의 대학교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무용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지각, 공연자신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검증, 상관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여 몇 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추출한 요인을 바탕으로 측정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세 측정모형 모두 전반적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를 상회하거나 승인할 만 하였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관리, 신체적 자기지각, 공연자신감 간에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가설화된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전반적 적합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x²/df=3.692, GFI=.919, CFI=.914, RMR=.035).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의 인과효과를 분석한 결과 무용수 자기관리는 공연자신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자기지각을 통해 공연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제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model concerning self-management, physical self-perception,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the college dance majors. Total 419 pers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alidities of questionnaires were verified by the explorator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tructural model analyses were followed. First, all three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to be acceptable. Secondly, three factor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Next,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was provided. Analyse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in the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perception, and performance confidence, and physical self-percep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confidence as an inter-mediatory variable. Finally, as a part of discussion, possibl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se results were introduce, and inference of these influences among the variables were suggeste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 KCI등재

        복싱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및 스포츠대처전략의 관계

        김미량(MiLyangKim),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는 복싱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및 스포츠대처전략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자기관리와 성취목표성향은 선수개인의 목표달성과 훈련 및 생활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스포츠대처전략에 매우 관여적인 변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대표 복싱선수 44명, 실업선수 55명, 대학부선수 49명, 고등학교선수 75명 등 총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도구는 성취목표성향 척도, 자기관리 척도, 한국판 스포츠대처전략 척도를 사용하였고 spss 12.0과 AMOS 7.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제목표성향은 정신관리, 대인관리 및 훈련관리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자아목표성향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과제목표성향은 문제중심과 초연에 자아목표성향은 정서중심과 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기관리는 스포츠대처전략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정신관리가 스포츠대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constructs the causations among self-managemen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oping style in boxing players. Data was collected from a specifically-selected group of currently playing 213 boxers including 23 national representative players, 55 payers in business teams, 11 players in the Talented Youth Group, 11 high school players, and 49 college play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designed on ASMQ, TEOSQ, and KASC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2.0 and AMOS 5.0, while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dence level analysis, co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sk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ly effect on mental-management, personal-management, and training-management, whereas self-goal orientation had not significantly effect on self-management. Second, task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ly effect on problem-centered and allof; self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ly effect on emotion-centered and evasion. Third, self-management had partially effect on sports coping strategy, especially mental-management had significantly effect on sports coping strategy.

      • KCI등재

        성 형평성 관점에서 중학교 체육교과서 삽화와 사진 내용분석

        홍승후(SeungHooHong),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2007년 재편된 중학교 체육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나는 성 역할 정형화의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집필진은 남성이 110명, 여성은 24명이었다. 둘째,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남, 여 그리고 남녀 혼성집단의 출현 비율은 삽화의 경우는 남성, 남녀 혼성집단 그리고 여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진의 경우는 남성, 여성 그리고 남녀 혼성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5개의 생활가치 영역에서의 삽화와 사진에서의 남녀출현비율은 건강, 도전, 경쟁, 그리고 여가의 영역에서는 남성, 여성 그리고 남녀 혼성집단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으며, 표현의 영역에서는 여성, 남녀 혼성집단 그리고 남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 역할 정형화된 활동에서 남녀의 출현 비율은 삽화와 사진 모두 근력 위주의 활동에서는 남성이, 유연성 활동에서는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적인 스포츠에서는 남성이 높게 나타났고, 여성적인 스포츠에서는 여성의 출현비율이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any sex role stereotype is shown in the illustrations and pictures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Korean national middle school curriculum.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alysis on frequency and ratio of sex exposed in the illustrations and pictures of 14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extbooks were written by the authors consisted of 110 male and 24 female. 2) In the illustrations, men, co-ed, and women were arranged in order of frequency. In addition, the pictures of men, women and co-ed were arranged in order of frequency. 3) In the 4 out of 5 sections of value of life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and leisure),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of men, women and co-ed were shown in order of frequency. In express section of value of life, it shows different arrangement in order of women, co-ed and men. 4) Textbooks signified the sex role stereotyped tendency in both illustration and pictures. The Conclusion is that traditional male-centered sex stereotype associated with sports and physical activity is still emerged in the illustrations and pictures in Korean national middle school textbooks.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 호주 아마추어 골퍼들의 시합 중 심리상태 분석

        이규환(KyuHwanLee),이동현(DongHyunLee),심향보(HyangHoSim),유재천(JaeChunYoo),송우엽(WooYeobSong)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skills (concentration, imagery, goal-setting, routine, confidence, etc.) effect golf performance of Australian amateur golfers according to different handicap. There were a total of 191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153 male ; 38 female). The golfers ranged from a handicap of 3 to 36. The Golf Psychology Questionnaire (GPQ) was developed based on questions from the MTE-1 (Partington & Orlick, 1998). It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level of mental strength of golfers, as well as the extent to which golfers practiced certain mental skills. As expected, low handicappers rated higher on mental skill factors. More advanced players were more confident with club selection, able to focus on one shot at a time, mentally rehearse each shot more, visualize their putting stroke and the ball going in the hall, as well as use more pre-shot routine, than higher handicap players. Higher handicappers were more frustrated by a poor start and tend to feel more anxious before hitting off the first tee. Many beginners, intermediate or even advanced level golfers have lessons to improve their techniques. Coaches or teaching professional golfers can help with the physical aspects of the game, but are less able to instruct a golfer adequately on psychological matters. PGA Tour Professional have started to realize this, and may now consultant a sport psychologist. Therefore, developing psychological skills in golf are critical factors to reach one`s potential and peak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형 노인 낙상효능감 척도(FES-K)의 타당화

        허정훈(JungHoonHuh),임승길(SeungKilLim),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는 한국형 노인 낙상효능감 척도(FES-K)를 타당화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FES-I를 우리나라 언어 문화적 상황과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해 문항을 번안, 수정하고 총 487명(남 152, 여 331)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그리고 이원변량분석 등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우선 과빈도 2문항과 공통성이 낮은 2문항을 포함 총 4문항을 삭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일상낙상효능감과 활동낙상효능감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63.73%의 분산을 나타냈다. 단일요인모델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추출된 12문항 두 요인모델이 보다 타당하여 이를 채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도 두 요인 모델이 더 높은 적합도 지수를 나타냈다. 모든 경로계수는 .826~.798로 유의하였다. 성과 연령에 따른 낙상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요인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낙상효능감이 더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낙상효능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상낙상효능은 남자의 경우 75세 이상 집단에서, 여자의 경우 70세 이상 집단에서 급격한 하락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FES-K가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변인과의 관련성을 검증해 낙상의 예방적 조처를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Korean Falls Efficacy Scale. The FES-I was translated and modifi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The subjects were 487 Korean elderly people (male 152, female 331) The measurement is composed of 16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se items were filtered through the content and the face validity.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2 factors, daily life falls efficacy and activity falls efficacy, and 12 items were supported (RMR=.044, CFI=.91, GFI=.89). Cronbach' α was .89-.85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approved.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two factor model because two factor model with 12 items had higher validity and model fit index than one factor model. The result of two-way ANOVA on two factors by sex and age showed some differences. Men had higher falls efficacy than women and the older the people are, the lower falls efficacy they are likely to have. Men over 75 years old and women over 70 years old had a sharp decrease at the daily life falls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FES-K would be used as a falls efficacy questionnaire for the aged acquiring structural and cultural validity. However, preventive measures of falls must be considered after verifying the relations with various variabl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