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험비용을 고려한 적응적 실험설계법 기반 KF-16 피칭모멘트계수 모델링

        이돈구(Don-Goo Lee),진현(Hyeon Jin),안재명(Jaemyung Ahn),잉영빈(Yeongbin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6

        KF-16의 1/33 축소 모형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풍동실험에 적응적 실험설계법을 적용하는 경우 실험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풍동 실험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추가 실험점 선택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라틴방격법을 이용하여 초기실험점을 선택하였고, Gaussian Process를 통해 불확실성이 가장 크면서도 실험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추가 실험점을 선택하였다. 공력계수 모델링은 가장 비선형성이 큰 피칭모멘트계수를 정확히 모델링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실험 비용을 고려한 적응적 실험설계법을 적용한 경우, 기존의 적응적 실험설계 방법론에 비해 모델의 정확도와 실험에 소요되는 비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A new approach to systematically model aerodynamic coefficients using an adaptive sampling based wind tunnel testing considering cost is proposed. The Latin Hypercube design is used for selecting initial test points. The Gaussian Process (GP) is iteratively used during the experiment to determine additional experimental points that minimizes the uncertainty reduction per incremental cost. A numerical simulation based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c aerodynamic coefficient database a fighter aircraft, which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후보

        PX4-ROS2기반 자율비행 드론 시스템 개발

        이돈구(Lee Don Goo)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5

        본 연구는 자율비행을 위한 드론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드론이 자율적으로 장애물을 회피하는 비행을 수행하고자 시뮬레이션 검증 및 실제 비행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자율비행 드론 시스템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행제어 소프트웨어인 PX4를 사용하였고, 드론에 추가로 임무 컴퓨터를 장착하여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드론의 비행 데이터를 처리하고 외부에서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로봇 제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ROS2(Robot Operating System 2)를 사용하여 범용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드론의 장애물 회피를 위한 시뮬레이션은 가제보(Gazebo) 환경에서 수행하였으며, 스테레오 카메라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인지하고, 인지한 장애물은 옥토맵(Octomap)을 사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장애물의 위치를 맵핑하고 이를 통해 드론이 가고자 하는 목표 지점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검증 후에는 실외 환경에서 소형 축구 골대를 장애물로 인식하여 이를 자율적으로 회피해서 비행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This paper represents about development of autonomous drone system based on PX4-ROS2. The developed drone system is applied to obstacle avoidance system and tested in simulation and real environment. The autonomous drone system implemented open source flight control software PX4 and additional mission computer for communication with external GCS. In order to process flight data and transmit commands from external GCS, ROS2 (Robot Operating System 2) which is widely used in robot control fields, is used to enable general data processing. The simulation for obstacle avoidance was performed in the Gazebo simulator, and the obstacle was recognized through the stereo camera sensor, and the recognized obstacle was mapped to the 3D space using Octomap. Flight test in real environment was carried out after verification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 KCI등재

        KF-16의 DOE기반 정적 공력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실험적 연구

        진현(Hyeon Jin),심호준(Ho-Joon Shim),이돈구(Don-Goo Lee),안재명(Jae-Myung Ahn),최한림(Han-Lim Choi),오세윤(Se-Yoon Oh)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3 No.5

        풍동실험에 적용하는 실험계획법을 연구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KF-16의 정적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풍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기체는 KF-16의 1/33 scale의 모델이며 수평 꼬리날개와 플래퍼론, 방향타를 모두 구현하였다. 크게 실험은 수평 꼬리날개의 유무에 따른 공력 특성 변화를 보기 위한 실험과 플랩, 플래퍼론, 방향타, 그리고 수평 꼬리날개의 변위각에 따른 공력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수행 후에는 각 실험들에 대해서 6가지 공력계수 그래프를 분석하고 반응 표면을 생성하면서 조종면의 변화가 각각 어떤 공력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Wind tunnel testing to construct static aerodynamic database of KF-16 was conducted for preceding research of design of experiments in wind tunnel testing. The test model is KF-16 scaled 1/33 and it has horizontal tail, flaperon, and rudder. The experiments consist of one experiment for analyzing aerodynamic coefficients under whether or not horizontal tail is present and four experiments for analyzing aerodynamic coefficients of changes of deflection angle in control surface which are flap, flaperon, rudder, and horizontal tail. After conducting wind tunnel tes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trol surface changes have a great effect o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