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

        김영진 ( Young Jin Kim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2008 농업사연구 Vol.7 No.2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를 살피고자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32종의 개화기농서를 분석 고찰 하였다. 그 결과 개화기 농서의 편찬배경은 1876년 한·일 수호조약에서 비롯된 문호개방과 이에 따른 세계열강과의 잇따른 수호조약체결 및 문물교류가 주된 배경이었다. 개화기농서의 편찬자들은 전문적 농학교육을 이수하거나 직업적으로 권농경험이 축적된 노년층이 아니라 비교적 젊은 20-30대의 개화에 민감한 청장년층 이었다. 또 편찬자들은 농서편찬을 정부로부터 위촉받거나 사후보장을 기대하지 않은채 개인적 자발적 노력으로 편찬하였는데 그 뜻은 서양의 실험농학적 성과인 우수한 농업생산기술의 도입정착으로 생산 기술개혁을 이룩하면서 농업도 자급자족적 경영에서 벗어나 수지타산을 목표로 하는 상품생산을 실현함으로써 부국강병의 재정적기초가 되는 농업진흥을 조속히 이룩하고자 한 것이다. 그 내용은 경험농학이 수세기에 걸쳐도 이룩하기 어려운 기술혁명적 내용이며 이를 한국인 스스로의 노력으로 성취한데 더 큰 의미가 있다. 궁극적으로 개화기농서는 개화파 인사들의 애농(愛農)을 통한 애국사상의 자발적 표현이 농서로 나타난 것이다. The authors studied and investigated backgrounds and motivations of editing 32 agricultural books in the period of transitional period of Late Yi Dynasty. The backgrounds of editing these agricultural books are the open-door policy from the treaty of ami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76 and culture exchanges with the world powers. The editors of these agricultural books are not the elderly who have studied special agricultural sciences or experienced farming methods but the 20-30 years old young generations who are susceptive of enlightenment. The editing of these agricultural books were from their own accords without any compensation from the government. The editors thought that these agricultural technologies from western contries would helpful for revolution of farming methods and for the transit to commercial farming from self sufficient farming. Their final aim was the realization of rural development which would be the basement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These agricultural books contained the technology revolutionary contexts which could not be made from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for many centuries. It is very meaningful these books were edited by efforts of Korean themselves. To conclude,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se agricultural books were edited by the voluntary efforts of the progressive patriotic Koreans.

      • 근대수의역사자료 번역 및 편찬활동 (1868-1938)

        심유정 ( Yu Jung Sim ),이길섭 ( Kil Seob Lee ),소병재 ( Byung Jae So ),최정업 ( Cheong Up Choi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2

        역사적으로 한국 정부기관에서 수의에 관련된 업무를 시작했던 시기는 고려(918~1392) 말로 당시 수의사의 역할은 군사용 말의 질병예방과 치료를 담당했었다. 근대에 들어와 설립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모태인 수출우검역소와 우역혈청제조소는 1909년 한국에서 최초로 현대적인 수의업무를 수행한 정부기관이다. 가축질병을 연구하던 우역혈청제조소에서는 가축질병 연구 및 수의학 전반에 관한 많은 국내외 도서를 소장하고 관련 자료를 발간하였다. 현재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는 1856~1945년 도서를 431종 3,347권(동양서 215종 1,431권, 서양서 216종 1,916권) 소장하고 있다. 2006년부터 일제강점기시대에 작성된 가축질병연구와 방역사항을 기술한 주요 수의서에 대해 활용도를 높이고, 보존을 강화시키기 위해 고서보존사업을 시작하였다. 대부분 일본 고어로 쓰여 있어 활용도가 떨어지고 해석이 어려웠으나 고증을 통해 현대 국어로 번역작업을 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1,2차에 걸쳐 총8권(p.3,375)의 국역서를 출간하였다. 이 책에는 동북아지역의 우역 발생현황, 예방용 혈청제조 방법, 생산량, 효력시험, 원인바이러스의 특성조사뿐만 아니라 소의 주요 기생충질병(주혈필라리라, 폐디스토마)과 닭의 뉴캣슬병, 추백리, 가금콜레라, 계두 백신개발, 돈두 등 당시의 다양한 가축질병의 발생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우역, 탄저, 구제역 등 그 시기의 가축질병 방역상황과 가축질병 예방법, 검역규정, 가축방역과 검역기구 등 근대 수의학의 변천사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수의·축산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가축질병의 퇴치는 축산업을 발전시키고 안전한 식탁을 책임진다. 과거의 기술을 토대로 미래의 과학기술이 성장하므로 고서의 활용과 보존은 중요하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는 2009년 기관설립 100주년을 맞아 검역원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기술한 100년사를 발간했으며, 100년사 발간사업을 통해 수집한 자료와 사진, 수의 관련 유물을 정리하여 보존하고 있다. 향후 고서보존을 위해 수장고 설치와 사료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또한, 소장하고 있는 주요 수의고서에 대한 국역화를 계속할 뿐만 아니라 국내·외에 있는 주요한 수의고서에 대하여도 적극적인 수집과 발굴을 통해 수의 관련 역사자료가 사장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이 사업이 근대수의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나아가 농업사학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길 바란다. The Royal institutions had carried out veterinary tasks late in the Goryeo dynasty (918-1392) reportedly. At that time, veterinarians in the institutions took charge of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military horses. Quarantine Service for Cattle Export (1909) and Rinderpest Antiserum Manufacture Institute (RAMI) (1911) that were the mother institutes of NVRQS, had been established as the first modern veterinary institutions in Korea. Many domestic and foreign books in the field of animal disease research and veterinary science had been kept in RAMI and this institute published many books relating to those fields. As a result, currently NVRQS posseses 3,347 volumes of 431 kinds which are 1,431 volumes of 215 kinds for Oriental books and 1,916 volumes of 216 kinds for the Western books collected from 1856 to 1945. Since 2006, to enhance the availability and preserve the contents of the archive record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kept in NVRQS, we have initiated the NVRQS Veterinary Historical Archive project. Because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old style Japanese language,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use them. So throughout historical research and careful investigation, we could translate them into Korean version It was a total of 8 volumes (3,375 pages) of books. Particularly, they include the reports investigating the outbreaks of rinderpest in Northeast Asia, characterizing its etiological agent and summarizing the methods for producing sera for the purpose of disease prevention. In these reports the quantity of the production and efficacy test results for them are also included. Furthermore, the dissemination of the major bovine parasitic diseases (pulmonary distoma and blood filaria) and Newcastle disease, pullorum disease, fowl cholera, fowl pox vaccine development, swine pox during the period ware described in that book. Because they deliver a lot of facts or events in the history of veterinary services in those days (e.g. the disease control efforts for rinderpest, anthrax and foot-and-mouth disease) and they convey the regulations or organizational information for disease control, quarantine or disease prevention at that time, they would be very informative to the related people even in these days. The successful veterinary services play essential role for livestock industry and contribute importantly to the food safety. All the required knowledges and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veterinary services for them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esent and past experiences, so the use and preservation of old books are so important. NVRQS published 100 year-history describing the future and the past of NVRQS to celebrate its 100th anniversary in 2009. The old data, reports, photographs and records collected during the publication of100 year-history had been listed and preserved. Afterwards, the separate storage room for the historical archive is going to be built. Moreover, we will continue to do additional translation for the left and collect old veterinary books from outside or abroad to keep them from being lost and also make them preserved and useful. We expect that the people concerned in this fields can benefit greatly from this project of NVRQS Veterinary Historical Archive initiated from 2006 and there would be a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and veterinary researches.

      • 북한의 옛농서(農書)와 농업사(史)용어

        김영진 ( Young Jin Kim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2011 농업사연구 Vol.10 No.1

        저자들은 북한에 있는 조선시대의 옛농서로 남한에 없는 농서가 어떤 내용으로 얼마나 소장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남한에서 쓰지 않으면서 북한에서 보통으로 쓰이는 농업사 용어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은 남북분단 이후 65년이 경과하는 동안 남북 간에 문헌정보 교류가 막혀 남북상호 간의 농업사 연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북한에 21종의 조선시대 농서가 소장되어 있고 그 중 『후생록』 상권은 남한에 없는 농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에서 흔히 쓰는 농업사 용어로 남한에서 생소한 71개의 용어를 검색하여 남한에서 쓰는 용어로 풀이하였다. 남한에서 쓰지 않는 용어를 북한이 쓰는 까닭은 북한의 정치적 이유, 한자(漢字)로 된 용어를 대중이 알기 쉽도록 풀어쓴 이유, 북한의 방언 사용 등에 원인하나 궁극적으로는 남북 간에 문화적 교류가 막혔기 때문이다. The authors looked into the old agricultural books in North Korea which is not available in South Korea and also studied the old agricultural historical terms used only in North Korea. It is very difficult to research North-South Korean agricultural history because there was no mutual exchange of literature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for 65 years since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s a result, the authors checked there were twenty-one agricultural books of Chosun Dynasty in North Korea and among them the 『후생록』 상권(厚生錄上卷, HooSaengRok Vol. 1) is not available in South Korea. Additionally we easily explained 71 agricultural terms used in those books which are unfamiliar in South Korea. The reason why there were different term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ainly comes from no cultural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with the political issues, policies to the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and local dialects in North Korea.

      • 쓰다센(津田僊)의 『농업삼사(農業三事)』가 지니는 의의

        구자옥 ( Ja Ock Guh ),김장규 ( Chang Kyu Kim ),한상찬 ( Sang Chan Han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2

        『농정신편』의 저자인 안종수는 1881년 4월 10일부터 7월 2일까지의 4개월간의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 일원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가 일본의 선진 농학자인 쓰다센(津田仙: 1837~1908)을 만나 그의 사상을 배우고, 그의 저서인 『농업삼사』(農業三事)를 구해 왔다. 이를 기초로 하여 안종수는 『농정신편』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농학적 신농서(新農書)를 쓰게 되었고, 이를 발판으로 서양의 실험론적 농학기술과 사상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이다. 우리나라 종래의 전통·경험적 농학기술이 받게 되었던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농업삼사』는 일본의 농학자 쓰다센이 네덜란드의 농학자 Daniel Hooibrenk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한 일본 최초의 서구식 농학서(農學書)라 할 수 있다. 책이 담고 있는 농업의 3대 원리를 저자는 자신의 서문을 통해 잘 요약하고 있다. 삼대법(三大法)의 첫째는 [atmospheric pipe](氣筒)이라 부른다. 벽돌로 만든 통(筒)을 땅속에 조용히 통하게 하여 대기를 땅속에 흡입시킨다. 지질을 비옥하고 기름지게, 가볍고 푸석푸석하게 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돕는다. 둘째로, 나뭇가지[樹枝]를 구부려서 본가지[本幹]의 생명력을 증대시킨다. 이것은 나무뿌리[樹根]가 흡입하는 곳의 가스(gas)는 본가지[幹]로부터 가지 끝에 도달하여 잎사귀 밑에서 흡수하는 탄소와 배합됨으로써 그 역할을 다 하는 것이다. 셋째는 매조법(artificial fertilization; 인공적으로 풍성하게 숙성시킨다는 뜻)이다. 과실의 증숙(增熟)을 돕는 법이다. 대체로 꽃술이 열릴 즈음에 마음대로 꽃가루의 배합을 매개하여 그 결과를 크게 또 많게 한다. 이것을 곡류에 적용하면 알이 크며 양 또한 무겁고 수확도 많다. In 1880, a group of Korean visited Japan to learn and introduce western cultures. One of the member was Ahn Jong Soo and there he met Tsuda Sen. Ahn got Tsuda`s book Hooibrenk`s Method of Cultivation Explained by Three Different Processes and other literatures. After returned home, Ahn studied these books and based on the knowledge obtained he published the first agricultural book in Korea Nong Jeong Shin Pyeon(農政新編). This book has a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modernizing Korean agriculture. Here we hope that if we utilize the wisdom of old scientists and literatures, there might be ways to solve various threatening factors and worldwide hunger problems. This book written by a Japanese Agricultural Scientist Tsuda Sen deals with the overall cultivation technology of Asian countries in the 19th century. He insisted on that the fundamental cultivation methods were influenced by more or less 3,000 years history of Chinese cultivation technology, science and culture. He also mentioned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history of cultivation and modernization in China, Korea and Japan. Hooibrenk`s method of cultivation by three different processes is; The first is Atmospheric pipe method where brick-made pipes are laid under the ground to help inhalation of air into the soil. It will change the soil texture to fertile, light and soft and finally help the plant growth. In turn, it will result in reducing farmers` labour for cultivation. The second is Incline method where the twigs are inclined to help the stalks` vigor. The gas sucked by roots will reach to the edge of twigs through stalk and together with carbon absorbed by the leaves, it will assist the growth of stalks, flowers and fruits be increased and twigs and leaves be luxuriant. The third is Artificial fertilization method. This is a good way of increase and maturation of fruits. By mediation of pollen during flowering stage, the grains become large, heavy and finally results in a reach harv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