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재하중 변화에 따른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벽체변위

        이광우(Lee Kwang-Wu),조삼덕(Cho Sam-Deok) 한국토목섬유학회 2008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 상부에 재하된 상재하중 및 보강재 종류의 변화에 따른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벽체 변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은 높이×길이×폭이 100㎝×140㎝×100㎝인 모형토조 내에 축조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시 뒤채움흙으로는 통일분류법상 SM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고, 보강재로는 인장강도 특성이 다른 3종류의 토목섬유 (지오네트 한 종류 및 지오그리드 두 종류)를 사용하여 총 7종류의 모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후 상재하중 재하에 따른 벽체 변위를 LVD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최대 수평변위는 벽체 저면에서부터 0.7H지점에서 발생하고, 그 크기는 보강재의 인장강도가 증가할 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재하중이 증가할수록 토목섬유 보강으로 인한 벽체변위의 감소율은 감소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model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which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according to different surcharge loads and reinforcement types. The model walls were built in the box having dimension, 100 ㎝ tall, 140 ㎝ long, and 100㎝ wide. Three types of geosynthetics, geonet, geogrid A and geogrid B, are used as the reinforcements. Decomposed granite soil (SM) was used as a backfill material. Seven model walls are constructed and test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model wall, the LVDTs are installed to obtain the displacements of the wall face. As the results of the model tests,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s of the model walls occurred due to uniform surcharge pressure were measured at the 0.7H from the bottom of the wall. The more the reinforcement strength increases, the more the wall displacements decrease, and also the reduction ratio of the wall displacement decrease with increasing the surcharge pressure.

      • KCI등재

        신장성에 따른 띠형 보강재의 인발저항 특성

        이광우(Kwang-Wu Lee),조삼덕(Sam-Deok Cho),한중근(Jung-Geun Han),홍기권(Kikwon Hong)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2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띠형 형태의 보강재에 대하여 신장성에 따른 인발저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재스트립 및 띠형 섬유보강재를 대상으로 대형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약간의 지지저항이 함께 발현되는 돌기형 강재스트립 보강재의 인발시험 결과를 마찰저항 보강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단면적이 작은 돌기형 강재스트립 보강재는 지지저항에 기인하여 마찰저항만으로 인발저항이 발현되는 보강재에 비하여 우수한 인발저항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단면적이 유사한 마찰저항 보강재의 경우에는 신장성 보강재가 비신장성 보강재에 비하여 우수한 인발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large scale pullout test results, in order to evaluate extensibility effect of strip-type reinforcement. The same test for ribbed steel strip reinforcement also is conducted to compare the friction resistance reinforcements" evaluation results.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ribbed steel strip reinforcement, which has a small cross sectional areas, was better than the friction resistance reinforcements" due to the bearing (passive) resistance. In case of friction resistance reinforcements, the pullout resistance of extensible reinforcement was better than inextensible reinforcement" even though they have a similar cross sectional areas.

      • KCI등재

        띠형 섬유보강재의 폭과 설치간격에 따른 변형률 분포 및 인발강도 특성 평가

        이광우(Lee Kwang-Wu),조삼덕(Cho Sam-Deok),한중근(Han Jung-Geun),홍기권(Hong Ki-Kwon) 한국토목섬유학회 2012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블록식 보강토옹벽에 적용이 가능한 띠형 섬유보강재에 대하여 대형인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지반 내에 포설된 보강재의 인장변형 및 유발인발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면적법과 유효면적법을 이용한 인발강도를 평가하였다. 최대인발력은 보강재 폭 및 수직응력 조건에 관계없이 끝단 인발변위가 15㎜ 이내에서 발현되었다. 그리고 보강재의 설치간격과 관계없이 인발력과 끝단 인발변위 관계에 의한 인발거동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발에 의한 변형은 보강재의 폭과 관계없이 선단부에 집중되어 선단부분에서 큰 인발력이 유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직응력 조건에 따른 마찰저항 보강재의 결속력이 인발저항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띠형 섬유보강재는 인장특성이 고려된 유효길이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보다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large-scale pullout test results of geosynthetic strip, which can be applied in reinforced earth wall with block-type wall facing. The pullout test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ain distribution, the induced pullout force and the pullout strength. The maximum pullout force is appeared regardless of reinforcement width and normal stress when end displacement is less than 15 ㎜. The pullout behavior based on horizontal spacing of reinforcement was similar in relationship between pullout force and end displacement. The strain distribution and pullout force distribution of the geosynthetic strip are concentrated in the front part of reinforcement, and it appeared clearly in higher normal stress condition This means that the pullout behavior of geosynthetic strip is affected by the bond between soil and friction resistance reinforcement according normal stress. Therefore, the pullout resistance design is reasonable when pullout behavior of geosynthetic strip should be evaluated by effective length considering tensile characteristic.

      • KCI등재

        현장시험을 이용한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평가

        이광우(Lee Kwang-Wu),조삼덕(Cho Sam-Deok),한중근(Han Jung-Geun),홍기권(Hong Ki-Kwon) 한국토목섬유학회 2011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장시험 및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지지저항 효과가 고려된 강재스트립 보강재를 적용한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및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강재틀 보강토옹벽은 강재틀 전면벽체, 보강재 및 뒤채움 흙으로 구성되며, 전면벽체에는 골재를 이용하여 속채움을 하며, 보강재는 지지저항 효과를 고려한 강재스트립 보강재를 적용한다. 현장시험은 2개의 계측구간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토압, 전면벽체의 수평변위 및 보강재 인장변형률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전면벽체에 작용하는 토입은 적용된 보강재의 토압분산 효과에 기인하여 이론토압에 비하여 낮은 토압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면벽체의 수평변위는 경험적 변위기준을 만족하는 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강제에 유발된 인장력은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리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강재틀 보강토옹벽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공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stability evaluation of reinforced earth wall with steel framed-facing based on field test. The reinforced earth wall with steel framed-facing is composed of wall facing, reinforcement and backfill soil. The wall facing is assembled by steel frames and the aggregates are fill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steel strip type based on bearing resistance. Field test is conducted to evaluate for two separate sections and the measurement is conducted according to construction elapsed time of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horizontal displacement of wall facing and reinforcement strain.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measured earth pressure is less than theoretical earth pressure due to dispersion effect of earth pressure by the applied reinforcement. Als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wall facing satisfied a empirical criteria and the measured strain of reinforcement had nearly no effect on stability of structure. Therefore, the reinforced earth wall with steel framed -facing has a structural stability and it can be commonly used in field.

      • KCI등재

        띠형 섬유보강재의 장기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이광우(Lee Kwang-Wu),김주형(Kim Ju-Hyeung),조삼덕(Cho Sam-Deok),한중근(Han Jung-Geun),윤원일(Yoon Won-il),홍기권(Hong Ki-Kwon) 한국토목섬유학회 2010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장특성, 크리프 변형, 내시공성 및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장기성능 평가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정기설계인장강도 산정을 위한 강도감소계수를 평가하였다. 먼저, 크리프 변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계 등온법과 시간-온도 중첩법을 이용하였으며, 크리프 감소계수는 1.6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입도 조정된 화강풍화토를 성토재로 사용하여 수행한 내시공성 시험 결과, 보강재의 강도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사의 손상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장기설계인장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내구성 평가 결과 내화학성, 내미생물 및 내후성을 고려한 강도감소제수는 1.1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this study, the long- term performance tests, which have extensibility, creep deformation, installation resistance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 is conducted to apply geosynthetic strip in field. The strength reduction factors using the test results are evaluated in order to calculate long-term design tensile strength. First, the creep deformation was evaluated by both the stepped isothermal method(SIM) and the time-temperature superposition(TTS) method. The creep reduction factor is reasonable to apply 1.6. Second, the result of installation damage test had little damage of yarn, which affected strength of reinforcement. Therefor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installation damage of geosynthetic strip has little effect of long-term design tensile strength. Finally, the durability reduction factor considering chemical, biological and outdoor exposure resistance is reasonable to apply 1.1, which is considered the s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reinforced earth wall using geosynthetic str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