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잉글랜드 체육교사교육에 대한 사회사적 연구, 1960-2010

        이계산(LeeGyesan),이창현(LeeChanghyun)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6

        본 연구는 사회사적 관점(socio-historical perspective)에서 잉글랜드의 최근 50년간 체육교사교육의 동향을 학문화와 민영화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잉글랜드 체육교사교육의 40년에 대한 2차 사료를 분석하였고, A대학교 체육교육과의 지난 50년간의 변화과정을 1차 사료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문화 관점에서 나타난 변화는 체육교사 교육기관의 전문대 과정에서 학사 과정으로의 승격이 있었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1970년대 스포츠내용학 관련 이론 강좌가, 1980년대 이후에는 스포츠교육학 관련 이론 강좌가 강화되었고, 이 기간 동안 실기 강좌의 지속적인 시수 감소와 영향력의 약화가 나타났다. 민영화 관점에서 나타난 변화는 최근 단기간 등록금의 급격한 증가, 학생 당 교수 수의 감소, 일반 교육학과 부전공의 폐지, 그리고 교육과정 시수의 급격한 감소가 있었다. 연구 결과 체육교사교육에서 학문화와 민영화는 사회사적으로 큰 흐름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체육교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찾기 위해서 다양한 나라에서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ETE) in England from the 1960 to the present in terms of the socio-histor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show clear consequences of the academicisation and corporatisation. In the perspective of academicisation, first, this course developed from a certificate to degree level. Second, after the initial rise of disciplines (1970s), pedagogical studies (1980s) are now the dominant category. Moreover, there has been a severe reduction of time spent on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for student teachers for this period. In terms of corporatisation,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of tuition fees, a reduction of numbers of staff and students and a demise of education studies and second subjects includ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mounts of hours in this curriculum over time.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the academicisation and corporatisation had a strong trend in terms of the socio-historical perspective. This paper proposes that we need to examine other cases to develop a better grasp of these results.

      • KCI우수등재

        성별과 체육수업 신체활동량에 따른 또래수용, 공격성, 우울의 종단적, 순차적 과정 검증

        이창현(LeeChanghyun),신명진(ShinMyoungjin),이계산(LeeGyesa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T1) 때 또래수용이 낮은 아동이 초등학교 6학년(T2) 때 공격성과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중학교 1학년(T3)으로 진학 한 후에도 또래수용이 낮아지는 순차적 과정을 종단적 접근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런 순차적 과정이 성별과 체육활동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도 함께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한국 아동청소년 1학년 패널자료 중 5차, 6차, 7차 자료(총 1,902명; 여=920명)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또래수용(T1)이 우울(T2)을 매개로 또래수용(T3)에 미치는 간접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지만, 공격성(T2)의 간접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또래수용, 우울, 공격성 간의 악순환 관계는 우울에서만 관찰되었다. 성별과 체육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체육활동을 더 많이 참여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또래수용, 우울, 공격성 간의 악순환 관계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교사는 여학생들이 신체활동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process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f peer acceptance at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1) on aggression and depression at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2), and their peer acceptance decrease even after entering middle school (T3), through a longitudinal approach.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quential processes on gender and physical activity. The 5th, 6th, and 7th data of the 1st grade panel data (total 1,902; female = 920)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indirect effect of peer acceptance (T1) on peer acceptance (T3) by depression (T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direct effect of aggression (T2)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vicious relation of peer accepta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was observed only in depression. As a result of show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physical activity, the vicious circle between peer accepta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was weaker in boys who participated more in physical activity.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ll ne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programs that allow girls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with f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