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케치코미디’의 숏폼콘텐츠 특성 연구

        윤지아(Ji-A Yun)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3 스토리콘텐츠 Vol.- No.3

        본 연구는 미국 스케치코미디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유튜브 채널 ‘숏박스’, ‘너덜트’를 통해 한국 스케치코미디의 재개념화와 특성, 공감 유도방식을 알아본다.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미국 스케치코미디는 TV, 영화, 희극, 라이브 공연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나타났다. 주제는 정치 풍자, 정체성, 이념, 패러디 등이 주를 이뤘다. 미국 스케치코미디의 특성은 ‘간결성’, ‘단속성’, ‘완결성’, ‘다양성’, ‘재귀성’, ‘가단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호모모빌리쿠스, 호모텔레포니쿠스로 정의되는 현대인들의 콘텐츠 소비변화는 모빌리티 문화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스케치코미디를 맹아로 한 한국 스케치코미디는 향유방식과 구성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 스케치코미디는 ‘SNS에서만 소비되는 숏폼 콘텐츠 형식의 코미디’로 재개념화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스케치코미디의 특성은 ‘자율성’, ‘단축성’, ‘가시성’, ‘휘발성’, ‘한정성’, ‘일상성’이 있다. 간결성과 단속성은 미국 스케치코미디와 공통점으로 볼 수 있으며, SNS 매체로 한정하는 것은 가장 큰 차이점이다. 한국 스케미코미디의 특징인 공감 유도방식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채널 ‘너덜트’는 일상의 시현을 통해 캐릭터 설정보다는 상황 설정과 묘사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채널 ‘숏박스’는 캐릭터의 언어적⸳비언어적 내용과 상황 묘사를 통해 일상의 사소함을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sketch comedy and examines the re-conceptu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empathy of Korean sketch comedy through YouTube channels “Shortbox” and “Nerdult.” The American sketch comedy,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appear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V, movies, comedies, and live performances. The themes were mainly political satire, identity, ideology, and paro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sketch comedy can be summarized into 'simplicity', 'restrictiveness', 'completeness', 'diversity', 'recursivity', and 'tendency'. The change in content consumption of modern people, defined as Homo Mobilicus and Homo Telephonicus, is changing along with the mobility culture. Therefore, there was a change in the method of enjoyment and composition of Korean sketch comedy with American sketch comedy as a blind child. Through this, Korean sketch comedy can be reconceptualized as a “comedy in the form of short form content consumed only on S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ketch comedy include 'autonomy', 'shortening', 'visibility', 'volatile', 'limited', and 'daily'. Simplicity and crackdownability can be seen in common with US sketch comedy, and limiting them to SNS media is the biggest difference. The method of inducing empath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chema comedy, could be divided into two. The channel “Nerdult” focuses more on setting and describing situations than setting characters through daily expressions. The channel “Shortbox” uses a method of expressing the triviality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verbal and non-verbal content of the character and the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