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요 여행 정보를 찾기 위한 지능 검색 시스템

        윤은일(Un-Il Yun),신현일(Hyeon-Il Shin),류근호(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1

        최근 주 5일 근무의 시행범위가 확대되면서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모바일 인프라가 널리 보급되어 특정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은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유되는 정보의 양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검색되는 정보는 많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만을 제공받기는 쉽지 않다. 단적인 예로, 여행 정보의 경우사용자들은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지만, 그 결과로는 수많은 여행 상품의 광고들을 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 수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여행 정보 검색 시스템(TIRS)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정보 수집 에이전트는 포털 사이트의 여행 관련 카테고리 페이지와 주요 언론사들의 여행 기사 페이지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여행에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광고들에 둘러싸일 필요 없이 TIRS의 질의서버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다. The increasing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of a five-day work per week has been recently prevailed. Additionally, as internet and mobile infrastructures have been becoming widespread, the user can get specific information using a search engin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get accurate information they really want as shared inform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the information has been searched. For example, users can retrieve required travel information, but they also must see a huge number of travel advertisement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retrieval system using travel information collecting agent. The information gathering agent regularly visits travel-related category pages of the portal sites and major media travel-article pages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ravel, and the agent stores the gathered information to a database. Then, users can search the travel information conveniently without the need to view advertisements.

      • KCI등재

        블로그 검색 성능 향상을 위한 주제-랭크 기법

        신현일(Hyeon-Il Shin),윤은일(Un-Il Yun),류근호(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

        1인 미디어인 블로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블로그 검색과 관련된 다양한 랭킹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블로그가 웹 페이지와 다르게 갖는 구조적 특징에 맞게 변형되었으며, 각 블로그간의 연결이나, 댓글, 트랙백들을 통해 이루어진 상호소통 속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바탕으로 블로그의 평판이나 인기도를 수치화하여 검색 시스템에 반영한다. 하지만 실제 블로그 검색에서는 블로그 자체의 랭크뿐만 아니라 검색어와 블로그 글과의 적합성과시간등의요소를복합적으로사용하게된다. 그런데기존에알려진요소만으로는검색결과의품질이낮을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의 주제와 관련도가 가장 높은 블로그를 찾아 낼 수 있는 주제-랭크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블로그와 블로그 글의 색인어뿐만 아니라, 블로그 글을 대표하는 주제와의 관계까지 랭킹을 매기는 방법이다. 제안된 기법을 통해 블로그 검색에서 검색어와 블로그의 연관성에 따라 랭킹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논문 제안하는 주제-랭크 기법을 적용한 블로그 검색 시스템의 정확률과 적용률을 국내의 다른 블로그 검색 시스템들과 비교해 본 결과, 주제-랭크 기법을 사용한 블로그 검색 시스템의 성능이 타 시스템에 비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As people have heightened attention to blogs that are individual media, a variety rank algorithms was proposed for the blog search. These algorithms was modified for structural features of blogs that differ from typical web sites, and measured blogs' reputations or popularities based on the interaction results like links, comments or trackbacks and reflected in the search system. But actual blog search systems use not only blog-ranks but also search words, a time factor and so on. Nevertheless, those might not produce desirable results. In this paper, we suggest a topic-rank technique, which can find blogs that have significant degrees of association with topics. This technique is a method which ranks the relations between blogs and indexed words of blog posts as well as the topics representing blog posts. The blog rankings of correlations with search words are can be effectively computed in the blog retrieval by the proposed technique. After comparing precisions and coverage ratios of our blog retrieval system which applis our proposed topic-rank technique, we kn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blog retrieval system using topic-rank technique is more effective than others.

      • KCI등재

        주제어 가중치 기법에 의한 효율적인 블로그 검색 시스템

        신현일(Hyeon-Il Shin),윤은일(Un-Il Yun),류근호(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4

        Web 2.0으로 불리는 새로운 세대의 웹에서, 블로그를 통하여 누구나 손쉽게 정보나 의견을 세상에 알릴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블로그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 블로그의 특성을 고려한 검색 알고리즘들이 새롭게 제안이 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블로그 검색 시스템에 적용된 키워드 기반 검색이나 블로그간의 링크 분석을 통한 랭킹만으로는 사용자가 기대하는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블로그 글과 검색어와의 연관성을 고려한 주제어 가중치 기반의 블로그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블로그 글 마다 주제어(Topic)를 추출하여 색인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에서 제안된 방법이 실제 검색 결과에서 재현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new generation of Web, commonly called "Web 2.0", blogging has facilitated the publishing information or his/her opinion on the web. Various blog retrieval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search for blogs more effectively. However, actually keyword-based searching or link-analysis blog ranking system cannot satisfy the user's requirement. In this paper, we suggest a topic-based weighting blog retrieval system in which the links between blog writings and searching words are considered to improve the search results. Our system extracts topics from each blog and weights them much higher than other guide words. In the comparison with other systems, we see that the proposed topic-base system has better recall rate of search results.

      • KCI등재

        대표 패턴 마이닝에 활용되는 패턴 압축 기법들에 대한 분석 및 성능 평가

        이강인 ( Gang-in Lee ),윤은일 ( Un-il Yu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2

        데이터 마이닝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주요 분야들 가운데 하나인 빈발 패턴 마이닝은 대규모의 데이터 집합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숨겨진 유용한 패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이 기법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내의 다양하고 중요한 특징들을 더욱 손쉽게 자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응용영역에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순히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최소 지지도 임계값만을 가지고 이를 만족하는 모든 패턴들을 추출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빈발 패턴 마이닝 방식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성과 임계값 설정의 정도에 따라 극도로 많은 수의 결과 패턴을 생성하는 문제를 가지며, 이에 따른 시간 및 공간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과도하게 생성된 패턴에 대한 분석의 어려움 역시 심각한 문제가 된다. 기존의 빈발 패턴 마이닝 접근방법들이 직면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능한 모든 빈발 패턴들을 마이닝하는 것이 아닌, 이들에 대한 대표 패턴들만은 선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표 패턴 마이닝의 개념과 다양한 관련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되는 각 패턴의 최대성 또는 폐쇄성을 고려하는 패턴 압축 기법들에 대한 특성들을 기술하고, 이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진행한다. 최대 빈발 패턴 혹은 닫힌 빈발 패턴들을 마이닝함으로써, 효과적인 패턴 압축이 가능하며, 더 적은 시공간 자원으로 마이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패턴들은 필요시 다시 원래의 패턴 형태로 복구가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특히 닫힌 패턴 접근 방법을 이용하면 패턴을 압축하고 다시 해제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정보의 손실도 일어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플랫폼 상에서 동일한 구현 수준의 알고리즘에 대해 실세계로부터 축적된 실 데이터셋들을 가지고 상기 기법들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함으로써, 각 기법이 패턴 생성, 수행 시간, 메모리 사용량과 같은 실제적인 마이닝 성능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층적 분석결과를 보인다. Frequent pattern mining, which is one of the major areas actively studied in data mining, is a method for extracting useful pattern information hidden from large data sets or databases. Moreover, frequent pattern mining approaches have been actively employ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 fields becaus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m can allow us to analyze various, important characteristics within databases more easily and automatically. However, traditional frequent pattern mining methods, which simply extract all of the possible frequent patterns such that each of their support values is not smaller than a user-given minimum support threshold, hav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raditional approaches have to generate a numerous number of pattern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a given database and the degree of threshold settings, and the number can also increase in geometrical progression. In addition, such works also cause waste of runtime and memory resources. Furthermore, the pattern results excessively generated from the methods also lead to troubles of pattern analysis for the mining results. In order to solve such issues of previous traditional frequent pattern mining approaches, the concept of representative pattern mining and its various related works have been proposed.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ones that find all the possible frequent patterns from databases, representative pattern mining approaches selectively extract a smaller number of patterns that represent general frequent patterns. In this paper, we describ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pattern condensing techniques that consider the maximality or closure property of generated frequent patterns, and conduct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techniques. Given a frequent pattern, satisfying the maximality for the pattern signifies that all of the possible super sets of the pattern must have smaller support values than a user-specific minimum support threshold; meanwhile, satisfying the closure property for the pattern means that there is no superset of which the support is equal to that of the pattern with respect to all the possible super sets. By mining maximal frequent patterns or closed frequent ones, we can achieve effective pattern compression and also perform mining operations with much smaller time and space resources. In addition, compressed patterns can be converted into the original frequent pattern forms again if necessary; especially, the closed frequent pattern notation has the ability to convert representative patterns into the original ones again without any information loss. That is, we can obtain a complete set of original frequent patterns from closed frequent ones. Although the maximal frequent pattern notation does not guarantee a complete recovery rate in the process of pattern conversion, it has an advantage that can extract a smaller number of representative patterns more quickly compared to the closed frequent pattern notation. In this paper, we show the performanc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forementioned techniques in terms of pattern generation, runtime, and memory usage by conducting performance evaluation with respect to various real data sets collected from the real world. For more exact comparison, we also employ the algorithms implementing these techniques on the same platform and Implementation level.

      • KCI등재

        그래프 마이닝에서 그래프 동형판단연산의 향상기법

        노영상(Young-Sang No),윤은일(Un-Il Yun),김명준(Myung-J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0

        그래프마이닝에서 그래프패턴의 동형판단문제는 지수함수적 계산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래프마이닝의 전체수행시간에서 동형판단 연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그래프마이닝 알고리즘은 그래프동형판단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그래프마이닝에서 빠른 수행시간을 보이는 gaston 알고리즘의 동형판단효율성을 증가시켜 수행시간을 평가해 보았으며, 제시한 방법으로 인해 더욱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Data mining is a method that extract useful knowledges from huge size of data. Recently, a focussing research part of data mining is to find interesting patterns in graph databases. More efficient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graph mining. However, graph analysis methods are in NP-hard problem. Graph pattern mining based on pattern growth method is to find complete set of patterns satisfying certain property through extending graph pattern edge by edge with avoiding generation of duplicated patterns. This paper suggests an efficient approach of reducing computing time of pattern growth method through pattern growth's property that similar patterns cause similar tasks. we suggest pruning methods which reduce search space. Based on extensive performance study, we discuss the results and the future works.

      • KCI등재

        순환 그래프 마이닝에서 중복된 그래프 패턴의 확장을 피하는 효율적인 기법

        노영상(Young-Sang No),윤은일(Un-Il Yun),편광범(Gwang-Bum Pyun),양흥모(Heung-Mo Ryang),이강인(Gang-In Lee),류근호(Keun-Ho Ryu),이경민(Kyung-Mi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2

        그래프 마이닝에서 복잡한 그래프 구조로 인해, 중복된 확장 연산이 수행되며 이로인해 낮은 효율성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순환그래프에서 중복된 그래프 패턴으로의 확장을 최소화하기위해 중복 판단을 효율적으로 하는 그래프 마이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순환간선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간선을 먼저 확장하게 함으로써 중복확장을 줄이도록 하였다. 이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그래프 마이닝의 대표 알고리즘인 가스톤 알고리즘과 성능 평가를 하였으며,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복잡한 그래프 구조에서 반복되어 발생하는 연산중 하나인 순환 그래프에서 패턴 확장 시에 필요한 연산을 효율적으로 줄이도록하여 전체 마이닝의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From Complicated graph structures, duplicated operations can be executed and the operations give low efficienc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graph mining algorithm of minimizing the extension of duplicated graph patterns in which the priorities of cyclic edges are considered. In our approach, the cyclic edges with lower priorities are first extended and so duplicated extensions can be reduced. For performance test, we implement our algorithm and compare our algorithm with a state of the art, Gaston algorithm. Finally, We show that ours outperforms Gaston algorithm.

      • KCI등재

        Power Ramp Rate를 이용한 풍력 발전량 예측모델 구축

        황미영(Mi-Yeong Hwang),김성호(Sung-Ho Kim),윤은일(Un-Il Yun),김광득(Kwang-Deuk Kim),류근호(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1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많이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가 배출되어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의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무공해 청정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추세인데, 그중에서도 풍력발전은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자원량이 무한대이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풍력발전은 전력 생산량이 불규칙한 단점을 갖고 있어 풍력 터빈의 손상과 전력 생산량이 불규칙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풍력 발전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풍력 발전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전력 생산량이 급증 또는 급감하는 것을 의미하는 ramp의 특성을 잘 활용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계층 신경망을 이용해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예측모델은 흔히 사용되는 풍속, 풍향 속성뿐만 아니라 Power Ramp Rate(PRR) 속성까지 사용하였다. 구축된 풍력 발전량 예측모델은 앞서 말한 세 가지 속성을 모두 사용한 경우, 두 속성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 총 4가지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4가지 예측모델을 성능평가 한 결과 PRR, 풍속, 풍향의 속성 모두를 사용한 예측모델의 예측 값이 풍력 터빈에서 관측된 관측 값에 가장 근접하였다. 그로 인해 PRR 속성을 사용하면 풍력 발전량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 Fossil fuel is used all over the world and it produces greenhouse gases due to fossil fuel use. Therefore, it cause global warming and i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n order to decreas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e should use renewable energy which is clean energy. Among several renewable energy, wind energy is the most promising one. Wind power generation is does not pro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uld not be exhausted. However, due to wind power generation has irregular power output, it is important to predict generated electrical energy accurately for smoothing wind energy supply. There, we consider use ramp characteristic to forecast accurate wind power output. The ramp increase and decrease rapidly wind power generation during in a short time. Therefore, it can cause problem of unbalanced power supply and demand and get damaged wind turbine. In this paper, we make prediction models using power ramp rate as well as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to increase prediction accuracy. Prediction model construction algorithm used multilayer neural network. We built four prediction models with PRR,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and then evaluated performance of prediction models. The predicted values, which is prediction model with all of attribute, is nearly to the observed values. Therefore, if we use PRR attribute, we can increase prediction accuracy of wind power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